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생각
아이디어
의견
이념
착상
구상
뉴스
"
착안
"(으)로 총 583건 검색되었습니다.
재래종 ‘차조기’ 개량해 관절염 치료제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7.02.07
보호한다는 연구결과를 학술지 ‘농업 및 식품화학 저널’에 발표한 바 있다. 이에
착안
, 연구진은 차조기에 방사선을 쬐여 이소에고마케톤 성분을 10배 늘어나게 한 신품종 ‘안티스페릴’을 개발했다. 식물에 방사선을 쬐여 유전자나 염색체 돌연변이를 일으켜 우수한 형질을 갖는 새로운 ... ...
휘어지는 기판에도 철썩...잘 달라붙는 투명전극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7.02.07
플래시광의 자외선이 은 나노와이어가 교차하는 지점에서만 강한 열을 낸다는 점에
착안
, 와이어가 중첩된 부분을 녹여 하나의 그물망처럼 연결했다. 상용화의 걸림돌이 됐던 높은 저항 문제를 해결한 것이다. 이렇게 제작한 전극의 저항은 5Ω/sq(옴스퀘어)로 전류가 통하는 정도가 기존보다 6배 이상 ... ...
사라진 전통 코팅제 ‘명유’, 현대과학으로 재탄생
동아사이언스
l
2017.02.03
명유를 끓이며 저어주는 과정이 산소를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이에
착안
해 99.9%의 순수한 산소를 투입하며 섭씨 80~120도의 고온에서 끓여 촉매 없이 명유를 제조하는 데 성공했다. 전통 문물을 복원하면서도 현대 과학의 힘을 더해 친환경적으로 ‘업그레이드’한 것이다. 촉매가 ... ...
연꽃잎 닮은 오염물질 검출 센서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7.01.19
센서가 오염돼 점차 신뢰성이 떨어진다는 게 문제다. 연구진은 연꽃잎의 구조에
착안
, 구리 표면 위에 나뭇가지 모양의 은 나노 구조를 쌓아올린 모양의 센서를 개발했다. 이 센서의 표면에서 액체는 표면에 흡수되지 않고 방울 모양을 그대로 유지한 채 흘러간다. 연구진이 설계한 방향으로만 ... ...
눈물 한 방울만 있으면 통풍검사 한 번에 OK
동아사이언스
l
2017.01.17
사진 - KAIST 제공 연구진은 사람의 눈물 속에도 요산이 섞여 나온다는 사실에
착안
했다. 얇은 종이 표면에 금 나노입자를 덮어 새로운 검사지를 만들었다. 이 검사지에 눈물을 묻혀 빛을 쪼인 다음, 분광장비로 확인하면 손쉽게 요산 농도를 알 수 있다. 검사 정확도는 혈액검사와 큰 차이가 없었다. ... ...
암 전이 조절하는 유전자 23개 새로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17.01.12
알려진 유전자였다. 이중 ‘Spns2’라는 유전자가 가장 큰 변화를 일으킨다는 점에
착안
연구진은 Spns2 유전자를 제거한 돌연변이 피부암 생쥐를 이용해 실험을 계속했다. 그 결과 Spns2을 제거하면 피부에 있던 종양이 폐로 퍼지는 확률이 4배 감소함을 확인했다. 폐뿐 아니라 Spns2의 발현을 ... ...
영하에서 얼음은 한 층씩 녹는다
과학동아
l
2017.01.09
관찰했다. 고체일 때보다 액체일 때 물 분자의 수소결합이 약하다는 점에
착안
해, 얼음 표면에 적외선을 쏜 뒤 온도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지 분석했다. 그 결과 연구팀은 영하 38℃에서 이미 얼음 표면의 분자 층 하나가 준 액체로 변해 있는 것을 발견했다. 서서히 온도를 높이자 영하 16℃에서 ... ...
“한 달에 한 번, 천사같던 여자친구가 전사가 돼요”
동아사이언스
l
2017.01.03
무엇인지는 알려진 바 없다. 연구진은 월경전 증후군의 56%가 유전된다는 사실에
착안
, PMDD 여성과 일반인 백혈구의 유전자 발현을 비교했다. 그 결과 PMDD 환자는 뇌에서 성 호르몬 분비 및 스트레스 민감도를 조절하는 ‘ESC/E(Z)’ 유전자 복합체가 과도하게 발현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이 ... ...
[FACT&VIEW] “그래도 ‘미인도’는 위작이다”라는 프랑스 업체...그 근거는?
2016.12.28
일치도를 확인하는 방법입니다. 진품 9점과 미인도가 모두 인물을 그린 그림이라는 것에
착안
해 눈코입만 보이도록 그림을 정사각형 형태로 자르고 푸리에 변환을 이용해 각 그림의 주파수를 확인했습니다. 이 역시 뤼미에르 테크놀로지의 분석에 따르면 미인도의 주파수가 13으로 다른 그림보다 ... ...
세균의 내독소, 우리 몸속에서 어떻게 움직일까?
동아사이언스
l
2016.12.26
‘내독소’가 면역세포의 표면에 있는 수용체에 결합해 면역 반응을 일으킨단 사실에
착안
해 연구를 시작했다. 내독소가 체내로 많이 들어갈수록 염증반응이 더 많이 일어났던 것이다. 하지만 내독소가 우리 몸으로 들어간 뒤 일어나는 반응을 분자수준에서 관찰한 적은 없었다. 김 교수는 “이번 ... ...
이전
39
40
41
42
43
44
45
46
4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