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생각
아이디어
의견
이념
착상
구상
뉴스
"
착안
"(으)로 총 583건 검색되었습니다.
암 환자 ‘방사선 치료’ 부작용 줄이는 길 열려
동아사이언스
l
2016.12.23
재발하거나 전이되는 등 방사선 치료 특유의 부작용이 나타나는 원인이 된다. 이에
착안
한 연구진은 실험용 쥐를 이용한 동물실험을 통해 이 사실을 확인했다. 먼저 두 miRNA 인자가 손상되지 않도록 처리해 인터류킨-4의 발현을 억제한 유방암 세포를 만든 뒤, 이를 실험용 쥐에게 주입했다. 이후 ... ...
슬픔을 피하지 않는 사람이 더 행복한 이유
2016.12.20
건강과 관련을 보인다고 한다. 연구자들은 생태계에서 종의 다양성을 측정하는 원리에서
착안
해 사람들마다 평소에 느끼는 감정의 다양성이 어느정도 되는지를 수치화했다. 평소에 느끼는 감정의 수가 0이라면 감정 다양성 수치는 0이고, 감정의 수가 늘어날수록 감정 다양성 수치 또한 증가하는 ... ...
기후변화 막을 새로운 신무기 ‘GMO 식물’이 뜬다
2016.11.24
식물이 직사광선을 받을 때와 그늘에 있을 때 광합성의 양을 스스로 조절한단 사실에
착안
했다. 식물은 직사광선 아래에 있을 땐 과도한 에너지 생산을 막기 위해 광합성 효율을 떨어뜨린다. 그러다 갑자기 구름이 지나가거나 그늘이 생기면 수 분 내에 다시 광합성 효율을 높인다. 연구팀은 이 ... ...
전기신호로 뇌 속 신경세포 자극하는 방법 찾았다
2016.11.23
그로스만 연구원팀은 뇌의 신경세포가 낮은 주파수의 전기에만 잘 반응한다는 사실에
착안
했다. 실험용 쥐의 양쪽 귀 뒤쪽에 높은 주파수의 전류를 일으키는 전극을 붙였다. 두 전류는 뇌 속에서 서로 교차하면서 상쇄돼 낮은 주파수로 바뀌었다. 연구진은 이 원리를 이용해 전극의 위치와 ... ...
불가능했던 췌장암 조기 진단 혈액검사만 받으면 OK
2016.11.17
면역반응을 돕는 단백질의 집합인 ‘보체인자B(CFB)’(사진)가 다량으로 발견된다는 점에
착안
해 이를 이용한 췌장암 초기 진단 기술을 개발했다. - 연세프로테옴연구원 제공 이제까지 췌장암 진단에는 ‘CA19-9’라는 단백질 분자를 바이오마커로 이용했다. 하지만 CA19-9는 췌장암 말기 환자에게서만 ... ...
“정밀도-안정성 월등… 현대 의료 한계 극복”
2016.11.04
‘크리스퍼 서열’이라고 불렀다. 크리스퍼란 ‘반복된다’는 의미가 있다. 여기에
착안
한 에마뉘엘 샤르팡티에 독일 막스플랑크연구소 감염생물학과 교수와 제니퍼 다우드나 미국 버클리대 교수는 세균 속에서 크리스퍼 서열을 바탕으로 바이러스를 공격하는 ‘Cas9’이라는 단백질을 2012년 ... ...
파란 잎 식물 ‘베고니아 파보니나’의 비밀 풀렸다
2016.10.26
베고니아 파보니나는 특이한 식물인 셈이다. 연구팀은 베고니아 파보니나의 이런 특징에
착안
해 그 생존 비결이 독특한 엽록체 속에 있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이 식물은 엽록체 속에 특이한 ‘틸라코이드’란 구조로 되어 있는데, 이 덕분에 광합성 효율이 다른 식물보다 높았다. ... ...
연탄가스 주성분 ‘일산화탄소’로 뇌 손상 치료한다
2016.10.25
일산화탄소를 고혈압, 항암제, 염증 억제제로 사용하고자 하는 연구가 진행 중인 것에
착안
해 이를 외상후뇌손상 치료에 적용했다. 뇌 손상에 걸리게 한 쥐에게 손상 1시간 뒤 체중 1kg 당 4mg에 해당하는 소량의 일산화탄소를 투여했다. 그 결과 일산화탄소가 쥐의 혈관주위 세포를 보호하고, ... ...
미래형 ‘양자컴퓨터’ 개발 성큼… 고성능 양자광원 개발
2016.10.18
복잡한 기판 등이 가리고 있어 이곳에서 광자를 추출할 생각은 하지 못했다. 이 사실에
착안
한 KAIST 연구진은 기존 방법을 포기하고, 양자점 반도체를 기판에서 떼어낸 다음, 피라미드 아랫부분에서 양자를 포집하는 방법을 개발했다. 이렇게 만든 피라미드 반도체 소자는 쉽게 다른 광학 소자들과 ... ...
지극히 개인적인, 과학적 합리성의 3가지 요소
2016.10.15
노동안전청에서 무작위로 지역의 작업장을 골라서 안전 감시활동을 했다는 데에서
착안
했습니다. 감시를 당한 적이 있는 사업장 409개와 캘리포니아 지역에서 감시활동을 경험하지 않았던 비교가능한 사업장 409개를 찾아 행정데이터와 산재보상 데이터를 이용해서 일종의 무작위 비교연구 (Simulated a ... ...
이전
40
41
42
43
44
45
46
47
4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