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장소
스페이스
공백
여지
간격
빈틈
자리
d라이브러리
"
공간
"(으)로 총 5,533건 검색되었습니다.
생활속의 '야누스' 정전기
과학동아
l
1997년 11호
드럼은 정전기를 띠고 있고 실리콘 분말과 같은 물질로 얇게 코팅돼 있다. 원본의 빈
공간
, 즉 흰 부분은 밑에서 쏘아올린 빛을 드럼에 반사시켜 정전기를 제거한다. 원본의 검은 부분은 빛을 반사하지 않기 때문에 드럼의 정전기는 그대로 남는다. 이렇게 정전기가 남아 있는 부분은 토너라는 검은 ... ...
21세기 길라잡이 GPS
과학동아
l
1997년 11호
현재 개인이 휴대할 수 있는 소형 수신기의 가격은 1백40-2백달러 정도이다. 이러한 시
공간
에 대한 정보는 기존의 정보통신에서 다루던 오디오, 비디오와 같은 멀티미디어 정보에 새로운 형태의 정보를 추가함으로써 지금까지 없었던 수많은 새로운 응용분야를 탄생시키고 있다. 개인휴대통신(PCS), ... ...
무중력 어디가 위 어디가 아래인가
과학동아
l
1997년 11호
작용하고 있기 때문에 가능하다. 중력이 작용하지 않으면 인공위성은 행성 사이의
공간
으로 날아가 버릴 것이다. 그러나 인공위성 안에 있는 우주인은 “무게가 전혀 없는”상태에서 둥둥 떠다니기 때문에 혼동이 생긴 것이다.커다란 포탄이 있어서 사람이 탄 채로 발사되었다면 그 안에 있는 ... ...
상상물 전시회
과학동아
l
1997년 11호
했다.희원은 한 부스 앞에 멈춰 섰다. 발명품의 작동 원리들이 덕지덕지 붙어 있는 좁은
공간
에서 두 사람이 논쟁을 벌이고 있었다.“글쎄 타임머신은 여기 출품할 수 없는 거라니까요. 그건 백년 내엔 불가능해요. 101년 후라면 몰라도.”“내가 일년 빨리 출품한 게 불만인 모양이군요. 그럼 당신 건 ... ...
80년 후 지구상에 열대우림은 없다.
과학동아
l
1997년 11호
파괴와 생물종의 멸종 사이에는 밀접한 상관이 있다. 다양한 생물종들이 서식하던 생태
공간
인 열대우림이 사라짐으로써 그곳에 살던 생물종까지 멸종되는 것이다. ‘천혜의 약상자'생물 멸종이 우리의 생존과는 아무런 상관 없는 현상으로 생각할 수 있지만, 사실은 그렇지 않다. 흔히 생물종의 ... ...
외래 생물종 각축장 한반도
과학동아
l
1997년 11호
호흡기에 질환을 일으킨다는 점이다. 이런 추세라면 토박이 식물이 국내에서 발붙일
공간
은 점점 줄어들고, 사람 건강에 미치는 악영향도 늘어날 것이다. 물고기 30년 길들여외래종으로부터 입는 피해를 없애기 위해 어떻게 해야 할까. 유입 외래종을 규제하기 위한 첫째 관문은 공항에서 이뤄지는 ... ...
3. 고공능력
과학동아
l
1997년 11호
다다를 수 없는 세계인 것이다. 그러나 인간은 과학과 기술을 이용해 고공과 우주
공간
에까지 인간의 한계를 넓혔다. 우주로 향해야하는 필요성이 생겼기 때문이다 ... ...
메두사를 쓰러뜨린 영웅 페르세우스
과학동아
l
1997년 11호
11월의 밤하늘은 용맹스런 사람들의 것이다. 바람에 실려온 초겨울의 추위는 별을 찾는 이들의 대화를 질투한다. 그러나 서리맞은 쑥들도 하얗게 인내 ... 밝은 별들이 많고 넓게 퍼져 있어 날씨가 좋으면 맨눈으로도 찾을 수 있다. 보름달만한
공간
에 70여개의 8-10등급의 별들이 모여 있다 ... ...
'이드레스' 없으면 '디제라티' 아니다.
과학동아
l
1997년 11호
인터넷을 돌아다니다보면 스팸(spam)이란 단어와 심심치않게 조우한다. 영어사전에는 돼지고기 통조림 상표 이름이라 나와 있는데, 이 뜻 ... 하는 핵심 도구 노릇을 하듯이, 사이버 스페이스의 번성과 함께 등장할 신조어들은 이
공간
내의 새로운 인간 관계에서 피할 수 없을 것으로 보인다 ... ...
노벨물리학상/추·코엔타누지·필립스
과학동아
l
1997년 11호
미국 스탠포드 대학의 스티븐 추 교수는 1985년에(당시 AT & T 벨 연구소에 있었다) 3차원
공간
상에서 움직이는 원자를 냉각하기 위해 6방향에서 레이저 빛을 쪼여주는 실험을 성공적으로 수행했다. 이후 레이저를 이용한 원자의 냉각 및 포획 연구는 전세계적으로 확산됐다. 현재 이런 형태의 레이저 ... ...
이전
437
438
439
440
441
442
443
444
44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