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솜씨
테크닉
재주
기량
서술
숙련
수완
d라이브러리
"
기술
"(으)로 총 12,250건 검색되었습니다.
전자칠판에서 스마트폰으로 ‘쓱’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21호
수도 있지요. 수업에서 배운 내용을 집에서 그대로 보며 복습할 수도 있답니다. ETRI는 이
기술
을 학교에서 쓰는 전자칠판에 사용할 예정이라고 해요. 언제 어디서든 스마트폰으로 수업을 들을 수 있는 세상이 곧 올지도 모르겠네요 ... ...
일본산 해산물은 입국 거부!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19호
물질을 바다로 계속 뿜어내고 있기 때문이죠. 다행히 국립수산과학원과 한국원자력안전
기술
원이 2011년부터 두 달에 한 번씩 우리나라 해역 바닷물의 방사능 함유량을 측정한 결과, 방사성 요오드와 세슘 함유량은 사고 이전과 크게 다르지 않았어요. 일본의 다른 지역에서 잡히는 수입이 가능한 ... ...
조상님도 뵙고 까마득한 후손도 만나고 한가위 타임머신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18호
거의 하지 않아 다리가 점차 퇴화한다고 예측하고 있다.새로운 병이 많이 나타난다
기술
이 발달하면 그만큼 주변 환경도 깨끗해진다. 하지만 지나친 위생관리로 오히려 면역력이 떨어질 수 있다. 지금은 사람이 면역으로 충분히 이겨내거나 가볍게 치료할 수 있는 병이 미래에는 심각하게 다가올지도 ... ...
우주에 울려 퍼지는 레이더 아리랑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18호
카메라와 센서로 지상을 살피고 사진을 찍고 있답니다. 특히 아리랑 3호는 순수 우리
기술
로 만든 첫 번째 위성인데다 1m보다 작은 지상의 물체까지 파악할 수 있는 서브미터급 기능을 갖고 있어서 더욱 주목을 받았지요. 올해 5월에는 아리랑 3호가 찍은 사진과 함께 임무 내용을 자세하게 실은 ... ...
눈이 번쩍 뜨이는 시력짱 프로젝트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17호
2학기가 시작됐어. 날씨도 선선하니 딱 책 읽기 좋은 날씨인걸? 그럼 오늘부터 열심히 공부해 볼까? 어라, 그런데 왜 이렇게 앞에 뿌옇게 보이지?잘 안 보이는 이유가 궁금하니?으악, 깜짝이야!나는 시력의 수호천사, ‘눈알이’야. 우리 친구들의 시력을 지키기 위해 이곳저곳을 떠돌고 있지. 어떻 ... ...
원자력이 안전해? 정말? 정말!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17호
이런 식으로 반응을 조절하며 원전을 안전하게 가동해요." _신원기 박사(한국원자력안전
기술
원)2 두 번째 검증! 방사선이 새로운 세상을 연다고?원자력에 대한 설명을 듣고 방재 센터까지 봤더니 원자력 안전에 대한 ‘감’이 잡혔어. 하지만 원자력을 내는 원자핵이 분열할 때 나오는 무서운 ... ...
뉴칼레도니아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17호
2013 뉴칼레도니아 생태탐사 대원들, 잘 지내고 있니? 포트폴리오 마무리는 다 했고? 나는 지난 탐사에서 너희들과 함께했던 최새미 기자란다. 한 명 한 명 개성 넘치는 너희들 덕분에 뉴칼레도니아 탐사는 고난의 연속…. 하하, 힘들수록 더욱 기억에 남는 법! 그래서 이번 기사에서는 함께 만든 추억 ... ...
가짜 기억을 만들 수 있다면?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17호
거지. 이제 내 꿈인 브레인 컨트롤 칩을 만드는 날도 머지않았군! 크하하하하!역시 과학
기술
은 어떻게 사용하느냐가 무척 중요하군요. 악당 아누비스가 이영도박사 뇌에 가짜 기억을 넣어 조종한 거라니…, 신기하면서도 무섭네요. 코봇과 친구들을 끈질기게 괴롭히는 악당 아누비스의 과거 이야기, ... ...
쉬운 일 어렵게 하는 과학장치 골드버그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16호
뿐이야.자동으로 턱을 닦는 냅킨?루브 골드버그는 1883년 미국에서 태어난 만화가다. 첨단
기술
에 의존해 점점 복잡해져만 가는 현대사회를 풍자하기 위해서 쓸데없이 정교한 기계를 만화로 그렸다. 골드버그가 그린 만화 ‘스스로 움직이는 냅킨’에는 엄청나게 복잡한 기계가 사실은 냅킨으로 턱을 ... ...
썰렁홈즈의 희한한 얼음 여행 앗! 세상에 이런 얼음이?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16호
끈다. 그런데 일본 과학자들이 물 대신 얼음을 이산화탄소와 섞어 불을 더 빨리 끄는
기술
을 개발했다. 이들은 물 분자를 이산화탄소와 함께 얼려 이산화탄소 하이드레이트를 만들었다. 이 물질을 잘게 부셔서 뿌렸더니 불이 더 빨리 꺼졌다.썰렁홈즈는 얼음여왕과 같이 살다가는 꽁꽁 얼어버릴 것 ... ...
이전
445
446
447
448
449
450
451
452
45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