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기술"(으)로 총 12,250건 검색되었습니다.
- [가상 인터뷰] 무엇이든 잘 먹는 수달, 생태계의 VIP로 뽑히다!수학동아 l2013년 12호
- 종의 영향력을 효과적으로 측정하기 위해서 종들 간의 상호작용을 변수로 세우는 분석 기술을 만들었죠. 그 결과 수명이 길며 다양한 종을 먹는 육식 동물들이 멸종할 때 생태계가 가장 큰 위협을 받는 것으로 나왔다고 해요. 우리 수달도 그 중 하나죠. 처음에 소개했듯이 우린 물가에서 잡히는 ... ...
- 재미있는 전공탐험-강풍에도 끄떡없는 튼튼한 다리과학동아 l2013년 12호
- 분야의 메가트랜드는 무엇인가요? 2006년 건설교통부(현 국토교통부)에서는 미래유망기술로 ‘VC10(Value Creator 10)’을 선정했습니다. U-ECO City, 초고층 복합빌딩, 초장대 교량, 해수담수화 플랜트, 고속철도시스템 등 10개 주요 과제를 중점적으로 연구해 앞으로 고부가가치 산업을 키운다는 계획입니다. ... ...
- 세포는 금 주사기로 DNA 맞는다!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2호
- 한국과학기술원(KAIST) 화학과 김봉수 교수와 생명화학공학과 이상엽 교수 연구팀이 세포용 금 주사기를 개발했어요.세포의 유전자에 문제가 생기면 암이 ... 뜻이지요. 연구팀은 금 주사기를 이용해 유전자를 치료하거나 약물을 세포에 정확히 전달하는 기술을 개발할 계획이라고 밝혔어요 ... ...
- 선박의 안전을 지켜주는 슬로싱 방지 기술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우리나라에서 가장 큰 대형 슬로싱 실험 인프라를 만들었습니다. 이를 통해 우리나라의 기술이 외국으로 유출될 가능성을 줄이고 실험 비용도 3분의 1 정도로 낮췄습니다.어떤 프로젝트가 진행 중인가요? 슬로싱 연구 이외에도 바다의 구조물이나 배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연구, 해양에너지 관련 ... ...
- 외국계 회사에서 영어보다 중요한 것은 공학에 대한 열정 (전용구 퀄컴 씨디엠에이 테크날러지 코리아 이사)과학동아 l2013년 11호
- 흐름이 경제 전체의 흐름과도 무관하지 않기 때문이다. 그는 또 “외국 신문을 읽는 것은 기술 경제 흐름을 살피는 것과 함께 영어 공부에도 도움이 된다”고 더붙였다. 전 이사는 마지막으로 외국계 회사에서 일하고 싶은 인생 후배들에게 “외국계 기업에서 일하면 넓은 경험을 할 수 있으며, ... ...
- 노화 정복 꿈을 실현한다 (박종화 테라젠이텍스 연구소장)과학동아 l2013년 11호
- 동시에 연구소장, 순수 비영리 민간연구재단인 게놈연구재단의 대표이사장, 서울대 융합기술대학원 나노사이언스학과 겸임교수로 공식 직함만 3개다. 수원 광교테크노밸리에 자리잡은 테라젠이텍스 사무실에서 그를 만났다. 고등학교 때 반 석차 32등이었을 때가 가장 행복했던 소년박 소장은 ... ...
- 과학기술자가 창업하는 나라를 위해 (천종식 서울대 생명과학부 교수 / 생명과학 벤처 ‘천랩’ 대표)과학동아 l2013년 11호
- 특히 기술로 승부하면서도 일상을 움직이는 특별한 경험을 하고 싶다면 먼저 과학기술자를 꿈꿔보는 게 어떨까. 창업의 길이 손짓할 것이다. 준비된 당신이라면 ... ...
- 수리온 하늘에 띄웠다. 다음은 민간 항공기다 (이대성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차세대중형항공기 사업단장)과학동아 l2013년 11호
- 한다는게 그의 주장이다. 이 과정에서 가장 곤란한 건 역시 외국기업과의 협력이다. 기술이야 연구비를 투자해 개발하면 되겠지만, 마케팅 차원에서 꼭 협력이 필요하다고 했다. 지금까지 한국산 비행기를 만들어 본 적이 없는 ‘메이드 인 코리아’ 비행기의 판로 확보가 문제다. 또 비행기란 ... ...
- 우리 땅에 ‘바이오디젤’을 뿌리 내리다과학동아 l2013년 11호
- 하지만 폐 목재 등에서 상용화가 가능한 만큼의 셀룰로오스 분해를 성공한 사례는 없다. 기술적으로는 가능하지만 분해하는데 오히려 더 많은 에너지가 들기 때문에 채산에 맞지 않기 때문이다. 많은 과학자들이 결국 산이나 알칼리, 열 등으로 셀룰로오스를 처리해 분자구조 변화를 살펴보는 ... ...
- 5년을 몰입하면 인생이 재밌어진다 (박흥식 한국해양과학기술연구원 태평양해양연구센터장)과학동아 l2013년 11호
- 때도 스피루리나를 키웠다가 수확하는 체험을 직접 해볼 수 있었다. 어느 정도 양식 기술은 개발했고, 이제 대량생산 시스템만 갖춰주면 된다. 물론 쉬운 일은 아니다. “우리 연구센터 중심으로 열대해양네트워크를 주도하고 있는 것도 중요한 일이에요. 괌대학, 일본 고베대학, 태국 대학, 타이완 ... ...
이전44844945045145245345445545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