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기술"(으)로 총 12,250건 검색되었습니다.
- 꿈꾸는 삶이 아름다운 삶이다 (정형민 건국대 의학전문대학원 교수)과학동아 l2013년 11호
- 물론 줄기세포를 연구하면서 목표로 삼았던 것은 사람에게 도움이 될 수 있는 실용화 기술을 개발하자는 것이었다. 기초연구자에게는 어울리지 않겠지만, 응용과학자에게는 내가 하고 있는 일이 나중에 어떻게 쓰일 수 있을 것인지는 항상 염두에 두고 있어야 한다는 것이 정 교수의 지론이다.또 ... ...
- 남들이 하지 않은 길을 찾아 희열 느낀다 (서울대 화학생물공학부 현택환 교수)과학동아 l2013년 11호
- 현 교수는 “나노기술이라는 것는 IT나 BT 등과 결합되기 쉬운 매개체 역할을 하는 기반 기술”이라며 “어떻게 하면 다양한 분야에 응용될 수 있는 고품질의 나노입자를 만들 수 있는가가 주요 연구 테마”라고 설명했다. 나노 소재는 나노입자의 크기에 따라 성질이 확 바뀌게 된다. 좋은 ... ...
- 걷고, 뛰고, 춤추는 두발 로봇 ‘휴보’를 만들다 (오준호 KAIST 교수)과학동아 l2013년 11호
- 그 성과를 공유하는 ‘휴보 공동 연구그룹’이 형성되고 있다”며 “휴보가 세계 로봇기술 발전을 위한 기틀이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오 교수는 과학자가 되고 싶은 젊은이들에게 “무엇보다 열정을 가져라”라고 주문했다. 자신이 정말 하고 싶은 일, 그것만 하면 가슴이 벅차도록 즐겁고 ... ...
- 사람의 복제 배아줄기세포 탄생!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오리건 보건과학대학교 연구팀은 지난 5월 16일, 체세포 복제 기술을 이용해 사람의 배아줄기세포를 만드는 데 성공했다고 발표했어요. 배아줄기세포는 수정란에 있는 원시세포인데, 인체에 있는 어떤 세포로도 자라날 수 있지요. 이 세포를 실험실에서 복제해 키우면 없어진 장기를 대체할 새로운 ... ...
- 아리랑 3호, 벌써 1년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우리나라 기술로 만든 다목적실용위성 ‘아리랑 3호’가 발사한 지 벌써 1년이 되었어요. 아리랑 3호는 2012년 5월 18일에 발사된 뒤 지구 곳곳의 모습을 사진과 영상으로 담아 왔지요. 국내 최초로 해상도 1m 이하로 지상을 관측할 수 있는 ‘서브미터급 위성’으로 개발했기 때문에 지상의 풍경을 높은 ... ...
- 수학으로 푸는 성공의 비밀! 매스 CEO 클럽수학동아 l2013년 11호
- 열었다. 바로 미국 전역에 숨겨 놓은 10개의 빨간색 풍선을 찾는 대회다. 그런데 군사 기술을 연구하는 곳에서 아이들 놀이 같은 대회를 연 이유는 뭘까?사실 이 연구소는 인터넷의 시초라고 할 수 있는 ‘아르파넷’을 개발한 곳이다. 인터넷 탄생 40주년을 기념해 인터넷의 정보 확산 속도와 ... ...
- 수학을 사랑한 기기묘묘 음악가 열전!수학동아 l2013년 11호
- 시작과 끝에 사용하는 도구.사실 이 곡의 원곡은 20분 20초에 불과해요. 하지만 수학적 기술을 활용해 원곡을 1000년의 길이로 확장했어요. 우선 원곡을 6개로 복제한 뒤, 특정한 규칙에 따라 곡에 변주를 만들어냈어요. 그리고는 6개의 음악을 동시에 재생해서 1000년 간 음악이 반복되지 않고 연주되게 ... ...
- [체험] 만화영화 감독에 도전하다! 애니메이션 기구 만들기수학동아 l2013년 11호
- 초부터 100년 동안 많은 발명가들의 손을 거치면서 정교한 장치로 발전했다. 이후 사진 기술과 접목되면서 애니메이션 영화라는 장르를 탄생시켰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수학자들이 두각을 나타냈다.페나키스티스코프는 오스트리아의 수학자 사이몬 본 스탬퍼와, 벨기에의 물리학자 조셉 플래토가 1 ... ...
- 소통 전도사 안몽 동물회의장에 떴다!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전도사로서 사람과 동물의 소통을 이어 줄 거예요. 소통을 위해 노력하다 보면 미래 우리 기술도 더 발전할 거라고요. 그리고 ‘어린이과학동아’를 읽고 있는 여러분도 저 몽이처럼 주변의 동물과 생각과 느낌을 나눠 보세요. 이렇게 동물언어에 따뜻한 관심을 갖고 세상을 보면 주변의 동물이 더 ... ...
- 전자오락을 열심히 하다가, IT 전문가가 됐어요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어렸을 때 일과의 3분의 1을 전자오락실에서 보냈습니다. 갤러그, 버블버블 등 수 많은 오락을 섭렵했어요. 전자공학과에 가면 전자오락 만들 ... 어떻게 소통하는가 입니다. 자기가 아는 것을 다른 사람들에게 전달할 수 있는 역량이 기술 비즈니스 세계에서는 매우 중요한 스킬이니까요 ... ...
이전45045145245345445545645745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