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데"(으)로 총 12,271건 검색되었습니다.
- [Reth?nking] 우리는 왜 미분에 관심을 갖게 됐는가?수학동아 l2023년 09호
- 프린키피아)>이지요. 라이프니츠는 뉴턴과 별개로 여러 서신에 미분학적 연구를 진행했는데 수학자들과 주고받은 초고들이 남아있습니다. 다음 시간에는 미분의 짝꿍인 적분을 이야기해보려고 합니다. 이때 뉴턴과 라이프니츠가 정립한 미적분 이야기도 조금 더 깊게 들어가 볼게요 ... ...
- [광고] “중학교 도형 단원의 큰 지도를 얻어가면 좋겠어요”수학동아 l2023년 09호
- 수학도 마찬가지예요. 그렇지만 어려운 내용이 논리적으로 연결돼 있다는 것을 깨닫는 데에서 오는 기쁨이 있어요. 그걸 깨닫는 속도는 학생마다 다르죠. 그러니 온전히 자신의 속도에 집중해서 꾸준하게 나아가세요. 자신을 찾는 여행을 통해 자신감을 찾았던 주인공처럼 누구와 비교하지 말고 ... ...
- [기획] 86, 230, 345. 메달이 한국에 온이유과학동아 l2023년 09호
- 하더라도 EHT 연구자들이 다주파수 동시 수신 체계에 큰 관심이 없었다”고 말했다. 그런데 시간이 지남에 따라 한국 연구자들과 교류가 많아지고, EAVN의 관측 성과가 EHT 공식 논문으로 발표되며 점차 관심을 받기 시작했다. 특히 ngEHT 프로젝트가 시작된 이후에는 본격적으로 다주파수 동시 관측 ... ...
- [과학사 극장] 다윈은 용물용설을 부정하지 않았다?과학동아 l2023년 09호
- 2년에 출판된 종의 기원 제6판은 한발 더 나아가 획득형질의 유전을 진화의 메커니즘 가운데 하나로 언급하기도 했다. 여기서 다윈은 비판자들이 자신의 이론이 진화의 유일한 원인으로 자연선택만 주장하는 것으로 왜곡한다고 불만을 표시했다. 즉 다윈이 라마르크의 진화론을 거부했던 것은 ... ...
- [커리어] 3화. 우리학교 과학시간엔요, STEM과학동아 l2023년 09호
- 발생하는 전자기 유도를 이용해 물체를 빠르게 발사하는 장치)을 직접 제작하기도 했는데요. 학생들이 전자기학의 개념과 원리를 쉽게 이해할 뿐만 아니라, 해당 개념의 공학적, 기술적 활용까지 배울 수 있었습니다. 과학의 다른 과목에 비해 화학의 경우엔 실험의 역할을 강조할 여지가 크다고 ... ...
- [이달의 책] 인간처럼 생각하는 로봇과 살아야 한다면?과학동아 l2023년 09호
- 그림과 그래프를 참고하면 누구나 흐름을 따라갈 수 있다. 우주과학에 관심은 있는데 물리학이 약하다고 생각하는 이들을 위해 본문의 여백엔 짤막한 핵심 설명을, 각 장 마지막엔 요점 정리를 실었다. 더 적은 연료로 막강한 지구 중력을 벗어나는 법, 혜성에 착륙선을 보내 자원을 채취하는 것의 ... ...
- 수학 국가대표 어머니가 전하는 응원 메시지수학동아 l2023년 09호
- 방식대로 문제를 해결하려고 했어요. 그런 점이 문제해결력을 기르는 데 도움이 됐지요. 지후가 하고 싶은 일을 하면서 그 일로 다른 사람들에게 도움을 줄 수 있다면 앞으로 행복한 삶을 살 수 있지 않을까 기대합니다. - 이지후 어머니 우진은 스스로 무엇이 부족한지 객관적으로 파악하는 ... ...
- IMO 대표를 수학자로 이끈 결정적 순간수학동아 l2023년 09호
- 문제였어요. IMO 대표가 되려고 페르마의 소정리부터 시작해서 정말 많은 정리를 공부했는데, 결국 문제를 풀려면 가장 기본적인 것만 알면 됐던 거예요. 그때 수학은 본질만 제대로 알면 된다는 걸 깨닫고 나니 단순명료한 수학이 훨씬 더 좋아졌어요. 여러분도 수학의 본질에 항상 집중하시면 좋을 ... ...
- 우주에서 친환경 에너지 생산하고 지구에서 쓴다!수학동아 l2023년 09호
- 있다. 그중 하나가 지구 대기나 해양에 고반사 분진을 뿌리거나 막을 덮자는 것인데, 만약 환경적으로 더 큰 재앙을 일으키는 것으로 판명될 경우 대책이 없다는 점에서 막히고 있다. 대신 지구-태양 라그랑주 지점에 초대형 막을 펼쳐 태양 에너지를 줄이자는 아이디어는 필요할 때 막을 치워버릴 ... ...
- Part1. 별 탄생의 순간을 엿보다과학동아 l2023년 09호
- 프로젝트에 관한 이야기를 처음 들었습니다. 그때는 ‘쟤네 SF소설 쓰나?’ 하고 생각했는데, 20년이 지난 지금 현실이 돼 제가 그 망원경으로 연구를 하게 됐군요. 기대가 큽니다 ... ...
이전41424344454647484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