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세포"(으)로 총 476건 검색되었습니다.
- 착한 줄기세포 만들기어린이과학동아 l20070629
- 뇌염에 걸렸던 쥐는 이 주사를 맞고 병이 나았죠. 연구에 쓰인 바이러스는 광견병 바이러스래요. 광견병 바이러스가 뇌 장벽을 뚫고 뇌세포를 감염시키는 성질을 이용한 거죠. 물론 바이러스의 단백질 조각을 이용했기 때문에 우리 몸에 해롭지 않답니다. 이 기술을 이용하면 뇌질환을 더 잘 치료할 수 있을 거예요. [소제시작]추락하는 명왕성[소제끝] ‘수 ...
- 점점 커지는 구덩이는 외계인의 흔적?어린이과학동아 l20070629
- 부르는 닥터고글. 지층을 이루고 있는 암석을 알려 달라고? “지각을 이루고 있는 가장 작은 단위는 광물이에요. 생물로 치자면 세포에 해당하는 게 광물이죠. 이 광물이 모이면 암석이 되는 거고요.” 암석은 만들어지는 원리에 따라 퇴적암, 화성암, 변성암으로 나뉜다. 퇴적암은 물, 바람 등에 의해 운반된 광물과 퇴적물들이 쌓여 만들어지고, 화성암은 ...
- 똥꼬가 간질간질, 기생충이 산다!(2)어린이과학동아 l20070613
- 막는 약을 개발하는 연구가 이뤄지고 있어. 또 톡소포자충에 감염되면 우리 몸에서 암세포를 파괴하는 백혈구가 늘어나는데, 이 세포를 이용해 암을 치료하는 방법이나, 인슐린을 만드는 유전자 변형 기생충이 몸에 자라게 해 당뇨병을 치료하는 방법 등이 활발하게 연구 중이라구! 어때? 이 정도면 우리를 기생충이 아니라 공생충이라고 불러야 되 ...
- 똥꼬가 간질간질, 기생충이 산다!(1)어린이과학동아 l20070613
- 네 얼굴의 눈썹 모낭 속에 살고 있는 털집진드기야. 다리가 달린 부분이 머리인데 모낭 속에 머리를 박고 네 몸에 필요 없는 죽은 피부세포를 주워 먹으며 살아. 그래서 너에게 아무런 해도 주지 않지. 간지럽지도, 병에 걸리지도, 눈썹 모양이 이상해지지도 않아. 이렇게 아무런 해도 주지 않으면서 몸에 몰래 숨어 사는 것을 ‘편리공생’이라고 부른단다 ...
- 넷째 손가락 길면 수학 잘할까?어린이과학동아 l20070613
- 과학자였다. 1869년 6월 27일 독일의 발생학자 슈페만 출생 {BIMG_R11}정자와 난자가 결합한 수정란은 어떻게 아기가 되는 걸까? 수정란은 세포분열을 계속해 배아를 만든다. 슈페만은 배아의 각 부분이 서로 영향을 주어 각각 심장과 팔 등 특정한 조직과 기관이 되도록 유도한다는 ‘배 발생 유도’현상을 발견했다. 그는 1935년 노벨생리의 ...
- 빛의 기원 파헤칠 새 우주망원경 등장어린이과학동아 l20070531
- 또 속에 들어 있는 물질까지 구분할 수 있다. 금속 탐지기로 찾기 어려운 플라스틱 폭탄도 쉽게 찾는다. 특히 T선은 암세포와 건강한 세포를 잘 구분해서 보여 준다. T선의 장점은 X선보다 안전하다는 점이다. X선은 에너지가 높아서 몸에 해롭다. 그래서 자주 찍을 수 없다. 그러나 T선은 에너지가 낮기 때문에 몸에 해롭지 않다. 암 ...
- 스파이더맨 결혼 대작전(1)어린이과학동아 l20070511
- 영양분은 그대로이면서 색깔도 없고, 냄새도 안 나는 상태로 변한다. {BIMG_R11}▶ 수술할 때 사용하는 감마 나이프는 뇌에 생긴 암세포나 혹을 칼을 대지 않고 치료할 수 있게 도와 준다. {BIMG_R12}▶ 감마선을 쪼인 꼬마 무궁화. 크기가 50㎝밖에 되지 않고 벌레도 많이 생기지 않아 집에서도 키울 수 있다. [소제시작]유전자 조작 ...
- 킁킁~ 향기에 취하다(1)어린이과학동아 l20070412
- 한다. 실제로 향기성분 중에는 휘발성이 높은 알코올 성분이 들어 있는 경우가 많다. 또한 콧속 끈적끈적한 점액질을 뚫고 후각상피세포에 도착해야 하기 때문에 물에 잘 녹아야 한다. 그리고 후각수용체 표면에 달라붙을 수 있는 구조를 하고 있어야 한다. 이것은 냄새 분자의 특징이기도 하다. 클레오파트라의 향수 클레오파트라는 남자를 유혹하기 위해 몸에 ...
- 뇌에서 잠 스위치 발견어린이과학동아 l20070412
- 복제동물을 만드는 방법과 같아요. 연구팀은 먼저 서울대공원에서 기르던 회색늑대의 귀에서 세포를 뽑아 냈어요. 이 세포를 세포핵이 제거된 개의 난자에 넣어 수정란을 만들었어요. 수정란 안에는 늑대의 유전물질이 그대로 들어 있죠. 이 수정란을 개의 자궁에서 길러 늑대를 태어나게 한 거예요. 신석기 신석기 식물에 봄이 왔어요 ...
- 우등생 비결은 잠자기어린이과학동아 l20070228
- 신경세포가 필요한 기능을 대신 맡은 거죠. 병으로 이상한 행동을 보이던 쥐도 다시 정상으로 돌아왔다고 해요. 인간의 뇌 질환도 줄기세포를 이용해 치료할 수 있을까요? 김 교수팀은 미국의 과학자 들과 4월부터 뇌종양 환자를 대상으로 임상시험에 들어간다고 해요. 시험에 성공하면 뇌종양으로 고생하던 환자들이 큰 도움을 받을 수 있을 거예 ...
이전414243444546474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