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세포"(으)로 총 476건 검색되었습니다.
- 모모와 함께한 해저 2만리 (2)어린이과학동아 l20060814
- 얼렸다가 꺼내면 다시 살아나는 걸 보고 몹시 신기했어. 하지만 사람의 몸은 얼렸다 녹이면 몸 속의 수분이 얼음결정이 되어 세포를 파괴한단다. 극지에 사는 생물들이 얼음 속에서도 살아남는 방법을 연구하면 냉동인간도 가능할 거야. 심해생물들은 전혀 귀엽지 않아요 사람들은 오랫동안 깊은 바닷속에는 어떤 생물도 살 수 없을 거라고 생각했어. 하지만 열 ...
- 3짱 프로젝트-쑥쑥 키 크기!어린이과학동아 l20060714
- 자라게 하는 것이지요. 그렇다면 뼈는 어떻게 자랄까요? 뼈의 끝부분에는‘성장판’이라는 연골 조직이 있는데 이곳에서 새로운 뼈세포가 많아지면서 뼈의 길이가 늘어나는 것이죠. 엑스레이를 찍어 보면 성장판을 볼 수 있는데, 성장이 끝난 어른들은 성장판이 보이지 않는답니다. 그래서 엑스레이를 통한 성장판 검사로 앞으로 자랄 수 있는 기간이 얼마나 남았 ...
- 현미경과 망원경이 보여 주는 놀라운 세계(2)어린이과학동아 l20060629
- 보는 것을 해결하려고 물이 담긴 플라스크를 이용하여 램프의 빛을 모았다. 훅은 이 현미경으로 병마개로 쓰이는 코르크를 관찰하여 세포를 처음으로 발견한다. {BIMG_l10}1886년 에른스트 아베. 광학현미경의 분해능 한계의 발견. 에른스트 아베는 가시광선 빛을 이용하는 현미경은 0.0005 밀리미터보다 작은 사물을 볼 수 없음을 밝혔다. 이것 ...
- 현미경과 망원경이 보여 주는 놀라운 세계(1)어린이과학동아 l20060628
- 볼 수 없다. 세포가 처음 발견된 것도 현미경을 처음 만든 로버트 훅에 의해서다. 대략 크기가 10마이크로미터 정도 되는 양파세포의 경우 학교에 있는 현미경으로도 충분히 관찰할 수 있다. ※ 맨눈으로 볼 수 있는 가장 작은 크기 밀리미터 단위까지는 눈으로 볼 수 있지만 그보다 작은 것들은 맨 눈으로 보기가 정말 힘들어요. 이렇게 작 ...
- 맛있는 빛의 요리사어린이과학동아 l20060613
- 맑은 개의 눈을 보면 시력도 좋을 것 같지만 그 반대다. 개의 눈은 색맹에 가까우며 지독한 근시다. 게다가 색깔을 느끼는 원추세포가 매우 적어 개가 보는 세상은 흑백에 가깝다. 투우사가 소를 향해 휘두르는 천이 꼭 빨간색일 필요는 없다. 소도 개와 마찬가지로 색맹이기 때문이다. 소는 망토의 움직임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이지 색깔을 보고 달려드는 ...
- 화학나라 참살이시의 시장은 바로 나!어린이과학동아 l20060511
- 활동하기 위해서는 하루에 약2000리터, 즉 드럼통 10개분의 산소를 필요로 합니다. 만약 산소가 30초 정도만 공급이 안 되어도 뇌 세포는 파괴되기 시작해 2〜3분 정도면 식물인간, 더 심각한 경우 뇌사에 이르기도 합니다. 저는 인체의 질환에도 좋은 작용을 합니다. 고혈압이나 당뇨병, 암 등에 제가 지속적으로 공급되면, 혈당을 떨어뜨리고 헤모 ...
- 간질 간질 알레르기, 비켜!어린이과학동아 l20060428
- 것이 있는데, 이런 내독소들이 면역계를 자극해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물질에 대한 방어력을 만들어 준다는 것이죠. 내독소는 세균의 세포벽에 붙어 있는 독소로 사람과 가축의 대변에서 많이 발견된답니다. 아기일 때 많은 형제와 함께 살거나 애완동물이 있거나 농장에서 살아 적당한 더러움에 노출된 아이들은 알레르기가 적게 걸린다는 연구결과가 있어요. 또 ...
- 토끼를 세자! 토끼어린이과학동아 l20060414
- 것이다. 하지만 대칭을 이루며 정돈된 구조를 가진 생명체들이 결국 살아남았고 생명체는 그 방향으로 진화했다. 생명의 성장은 바로 세포가 나누어지고 여러 개로 복제되는 과정이기 때문이다. 우리 몸의 모든 유전정보를 지닌 염색체 역시 좌우대칭의 구조를 선택했다. 그렇다면 사람의 몸은 어떨까? 일찍이 레오나르도 다 빈치는 인체의 비율을 연구했다. 그 ...
- 우리는 너희와 달라어린이과학동아 l20060228
- 우리의 유전자를 가진 아기를 낳고 또 그 아이도 아기를 낳게 되겠지요. 이렇게 아주 옛날로부터 이어져 온 유전자를 가진 작은 세포가 자라서 새로운 생명이 된다는 것은 정말 놀랍고 신비스러운 일이지요. 최근 생명과학의 발달로 인간배아복제, 복제동물들의 이야기가 자주 들려오고 있어요. 이런 과학의 발달로 자칫 사람들이 생명의 소중함을 잊지 않을까 ...
- 수정, 그 위대한 경쟁어린이과학동아 l20060228
- 굳어 다른 정자가 들어오지 못하게 합니다. 수정란은 처음에는 하나의 세포이지만 처음에는 2개, 다음에는 4개, 또 다시 8개로 계속 세포분열을 하는데요. 이것이 바로 배아랍니다. 배아는 자궁으로 움직여 수정된 지 약 7일째 되는 날 자궁내막 안으로 들어가기 시작합니다. 아기로 자라기 위해 엄마의 뱃속에 자리를 잡는 것이지요. 이것을 ...
이전43444546474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