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배낭세포
배낭
베낭
세포단체
단체
원형질체 단위
cell
뉴스
"
세포
"(으)로 총 6,929건 검색되었습니다.
가장 자세한 초파리 뇌지도 작성…뇌 비밀에 '한걸음'
동아사이언스
l
2024.10.04
연구에서는 시냅스의 전기적, 화학적 작용이 일어나는 모습은 담아내지 못한 만큼 신경
세포
가 상호작용하는 다양한 방식을 관찰하는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 ...
순간 의사 결정 돕는 새로운 뇌 회로 원리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24.10.03
바뀔 수 있음을 알아낸 것이다. 또 신경
세포
의 전사체 분석을 통해 억제성 신경
세포
인 '뉴로텐신(Neurotensin)'을 전대상피질에서 발견했다. 전사체란 발현된 모든 리보핵산(RNA)의 총합이다. 연구팀은 뉴로텐신이 전대상피질과 시상핵 회로의 의사 결정 정보 출력을 조절하여 행동의 편향을 ... ...
바이오 기술 개발 6개국 공동연구에 한국 5개 팀 선정…5년 간 250억원 지원
동아사이언스
l
2024.10.02
7개 바이오파운드리와 협력해 표준화된 핵심 워크플로를 개발하고 이를 첨단 미생물
세포
공장 개발에 적용한다. 한양대 연구팀은 기후변화 및 환경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전통적인 석유계-난분해성 플라스틱을 친환경-생분해성 플라스틱으로 전환하는 연구를 진행할 계획이다. 생물 기반 ... ...
세포
노화·사멸 핵심 '텔로미어' 메커니즘 밝혔다
동아사이언스
l
2024.10.02
유전체 지도를 완성하고 독특한 특징을 규명했다"며 "이를 통해 텔로미어 위기를 극복한
세포
의 유전체가 진화한 과정을 추적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는 유전체 보존 프로그램의 중요한 축이자 노화와 암 발생 과정의 한 부분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한 것"이라며 이번 연구의 ... ...
류마티스 관절염 발병 예측·치료 돌파구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4.10.02
치료에 중대한 돌파구를 마련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
세포
사멸과 분화’에 8월 24일 게재됐다. - doi.org/10.1038/s41418-024-01367-6 연세대 의대 의생명과학부 김락균 교수. 강남세브란스병원 ... ...
과학계 난제 '불균일 확산' 160년 만에 풀렸다
동아사이언스
l
2024.10.02
해결하지 못했던 문제들을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연구팀이 발견한 확산 모델은
세포
내 물질 이동이나 약물 전달 시스템을 더 정확하고 효율적으로 설계할 수 있고 환경과학 분야에서는 오염 물질의 확산 경로나 제거 전략을 세우는 데도 활용될 수 있다. 산업 공정에서의 에너지 절감과 ... ...
생명연, 막스플랑크와 혈관질환 극복 실마리 찾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4.10.02
김재호 부산대 교수, 이남경 생명연 박사의 주제 발표와 토의가 열린다. 유전자‧
세포
‧항체 기반 혁신 치료 접근법을 통해 혈관질환 치료의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한다. 김장성 생명연 원장은 “한국이 내년 호라이즌 유럽 프로그램 준회원국 가입을 계기로 국제협력의 기회가 확대될 것으로 ... ...
쥐눈이콩, 비 알코올성 지방간 개선 효과 확인
동아사이언스
l
2024.09.30
개선됐으며 간 손상 지표인 'ALT'와 'AST'의 혈중 농도도 각각 40%, 30% 감소했다. ALT와 AST는 간
세포
내에 존재하는 효소로 간 손상 시 혈중으로 빠져나와 혈중 수치가 증가하게 된다. 쥐눈이콩 추출물의 지방간 개선 효과는 유전자 차원에서도 증명됐다. 생쥐에게 고지방 사료를 먹였을 때 지방간 유발 ... ...
폐암 치료제 '에롤로티닙', 치매 치료 가능성
동아사이언스
l
2024.09.30
아밀로이드 베타가 과발현되는 동물모델에게 에롤로티닙을 투여했을 때도 해마에서 신경
세포
수상돌기 수가 증가했다. 해마 의존적 인지기능은 개선됐고 아밀로이드 베타 플라크 축적 및 타우 과인산화 현상은 줄었으며 뇌 염증도 감소했다. 허 단장은 “이번 연구는 EGFR 저해제가 항암뿐 아니라 ... ...
조현병 신약 70년만 등장 기대 만발…"정신질환 치료에 혁명"
동아사이언스
l
2024.09.29
작용 메커니즘을 가진 조현병 치료제가 등장한 것이다. 코벤피는 신경
세포
와 다른
세포
사이에 신경전달물질 신호를 전달하는 ‘무스카린 수용체’라는 뇌 단백질을 타깃으로 한다. 무스카린 수용체를 활성화하면 환각, 망상 등 조현병 증상과 연관된 화학적 도파민의 방출이 줄어든다. ... ...
이전
42
43
44
45
46
47
48
49
5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