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배낭세포
배낭
베낭
세포단체
단체
원형질체 단위
cell
뉴스
"
세포
"(으)로 총 6,929건 검색되었습니다.
[사이언스영상] 우리집 주방에 무슨 일?…니콘 스몰월드2024 수상작
SEIZE
l
2024.09.19
막 되려는
세포
를 포착했다. 희소돌기아교
세포
는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신경
세포
를 감싸는 역할을 한다. 지아싱 리 미국 오리건보건대 연구원의 작품이다. (작가 : Dr. Jiaxing Li) ● 4위 액정에서 일어나는 일 액정에서 일어나는 마찰 전이를 20배 확대한 영상. 이그나시 세론 ... ...
'인체 씨앗' 단계까지 구현한 인공배아…윤리 논쟁 재점화되나
동아사이언스
l
2024.09.17
살펴 인공배아와 자연배아의 차이점을 비교하는 연구가 대표적이다. 다만 이러한 방식도
세포
위치와 같은 정보는 놓칠 수 있다는 한계가 있다. - doi.org/10.1038/d41586-024-02915- ... ...
투명인간이 되는 두 가지 방법
과학동아
l
2024.09.17
체내의 수분과 지방을 제거해 피부조직은 물론 뼈와 신경까지 모두 투명하게 만든다.
세포
를 투명하게 만들면 내부 조직을 더욱 쉽게 관찰할 수 있기 때문에 여러 질병을 연구하는 데 유용할 것으로 보인다. 독일 헬름홀츠 뮌헨 연구소 연구팀이 만든 투명 쥐. nature biotechnology 제공 다만 이 기술을 ... ...
점점 줄어드는 헌혈량…인공혈액, 인류에 '새로운 피' 수혈할까
과학동아
l
2024.09.15
한다"며 인터뷰를 마무리했다. "지금의 기술로 일본, 미국은 물론 한국도 실험실에서 줄기
세포
를 이용해 극소량의 인공혈액을 만들 수 있습니다. 하지만 최종적으로는 대량 생산을 해야 합니다. 그 목표를 이루는 길에 한국이 앞장서길 꿈꿉니다." ※관련기사 과학동아 9월호, 인공혈액, 인류에 ... ...
[동물do감] 물속 산소 농도, '맛'으로 알아내는 물고기
동아사이언스
l
2024.09.13
실험 결과 미각
세포
는 산소 수준이 낮을 때 활성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각
세포
를 제거하면 저산소 조건에서 물고기의 호흡 패턴에 혼란이 생겼다. 미뢰에서 나오는 신경을 활성화하면 호흡이 촉진됐다. 일반적으로 산소 농도가 낮으면 호흡이 촉진된다. 연구팀은 "미뢰가 미각 신호를 ... ...
"당뇨 치료제가 원숭이 뇌 노화 속도 늦춰"
동아사이언스
l
2024.09.13
확인했다. 'NRF2'라는 단백질을 활성화하고 이 단백질이 부상과 염증으로 인해 유발되는
세포
손상을 보호하는 것이다. 다만 연구팀은 메트로포민의 노화 방지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일부 원숭이를 대상으로만 실험한 데다 모두 수컷이기 때문이다. ... ...
"장 건강이 뇌 건강"…헬리코박터 감염 위궤양, 치매 위험 3배 높여
동아사이언스
l
2024.09.13
미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헬리코박터 감염으로 발생한 소화성 궤양은 신경
세포
재생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영양소의 흡수를 방해한다"며 "이로 인해 장내균총이 변화하게 되는데 이는 치매 발병 위험을 더욱 높이는 요인이 된다"고 덧붙였다. 연구팀은 제균치료 시기와 치매 위험도도 ... ...
이마주름에서 뇌주름까지…인체 주름 형성 과정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24.09.12
요인이 주름 형성 메커니즘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압축력이 상피
세포
층을 변형하자 ECM 층과 함께 기계적 불안정성이 유발되며 주름 구조를 형성했다. ECM 층의 탈수 현상이 주름 형성의 핵심 요인 중 하나라는 것도 밝혀졌다. 연구팀은 "노화 등으로 피부 기저 조직층의 수분이 ... ...
"혈관은 또다른 장기"…고규영 IBS 단장, '혈관내피
세포
' 분석한 종설 논문 발표
동아사이언스
l
2024.09.12
밝혔다. 그는 또 “현대의 발전된 기법들을 이용한 최신 연구들에서 혈관내피
세포
의 역할이 다시 한번 강조되고 있다”며 “최신 연구 결과들을 총망라해 재정립함으로써 혈관과 관련된 다양한 질병에 대한 이해를 넓힐 수 있다”라고 전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셀’에 6일 ... ...
DNA가닥 빛으로 구부리고 옮긴다…새 유전자 교정 기술 주목
동아사이언스
l
2024.09.11
'셀'에 게재됐다. 연구팀은
세포
핵 내에서 생성되는 일종의 작은 물방울에 주목했다.
세포
핵 내부에 존재하는 액체 성분이 둥글게 뭉쳐 생성된 이 물방울은 400nm(나노미터·1nm는 10억 분의 1m) 범위의 파장을 가진 청색광에 노출되면 더 커지는 특성이 있다. DNA의 정확한 부위의 물방울을 부착한 ... ...
이전
45
46
47
48
49
50
51
52
5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