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역
지방
세계
이승
세상
고장
초록별
뉴스
"
지구
"(으)로 총 7,093건 검색되었습니다.
[표지로 읽는 과학]인류,토성에 더 다가서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0.07
D 고리로부터 토성 대기권으로 유입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토성의 자기장은
지구
와 달리 여러 층위에 걸쳐 있다는 것과 토성과 토성 고리 사이에 방사선 벨트가 있다는 것 등이 이번에 밝혀졌다. 사이언스는 “이번에 소개된 연구 결과는 마지막 임무의 초기 분석 결과”라며 “향후 더 많은 연구 ... ...
[2018IAC결산]작은기업도,제3세계도…차별없는 우주개발 시동건다(上)
동아사이언스
l
2018.10.06
모여 지역별 기술 전수와 협력 연구가 필요하다고 역설했다. 5일 오전(현지시각) 열린 ‘
지구
-달-화성에 어떻게 모두를 참여시킬까?’라는 주제의 토론에서는 세계 각국의 우주기구 사이의 협력이 가능한지를 논의했다. ‘젊은 여성을 우주 분야에 참여시킬 방안은 무엇인가’라는 소규모 토론회 등, ... ...
日·獨 "소행성 착륙 탐사로봇 '마스코트' 임무 성공" 공식 선언
2018.10.05
풍부한 ‘C형’ 소행성인 류구의 시료를 확보해 내부의 물과 유기물을 연구함으로써
지구
바다와 생명의 기원을 밝히는 게 목표다. 한편 이번 마스코트 임무의 성공 이면에는 국제 우주연구기구의 긴밀한 협력이 큰 역할을 했다는 분석이 나온다. 르 갈 국제우주연맹(ISA) 이사장은 "'모두를 ... ...
[여기에 과학]
지구
온난화 맞서 1.5도 사수할 해양정책
동아사이언스
l
2018.10.05
일상에서 또는 여행지에서 우리가 서 있는 바로 그 지점. ‘여기’에 숨어 있는
지구
와 우주, 생물에 대한 궁금증을 풀어봅니다. 매주 금요일 찾아올게요! ... ...
지구
사랑탐사대 어벤져스 '앤트맨'과 함께 숲속 개미 찾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8.10.05
첫 개미 탐사에서 대원들은 어떤 개미들을 만났을까요? 개미를 찾고 있는
지구
사랑탐사대 대원들 - 동민수 연구원 제공 장님침개미를 아시나요? “개미들은 주로 돌 아래에 집을 많이 지어요. 그래서 산에 있는 큰 돌을 들추면 쉽게 개미를 찾을 수 있답니다.” 탐사를 시작한 동민수 연구원은 ... ...
태양계밖 8000광년 외계위성 추정 천체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18.10.05
있고
지구
에서 떨어져 나갔다는 설이 유력하다. 가스형 천체인 케플러-1625b 행성계에는
지구
와 같은 이유로 위성이 생성됐다고 보기 어려워 그 생성원인을 다시금 추정해 봐야 한다. 사이언스 어드밴시스의 키드 호지스 부편집장은 현지 언론과의 기자회견에서 “만약 이번에 발견된 천체가 ... ...
“토성 고리에 물보다 유기물이 더 많아”
동아사이언스
l
2018.10.05
美 우주탐사선 ‘카시니호’가 발견… 9개 중 가장 안쪽 ‘D고리’서 확인 “얼음이 주성분” 기존 학설 뒤집어 토성을 둘러싼 둥근 띠는 ... 대기권으로 유입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영국 임피리얼칼리지 소속 과학자들은 토성은
지구
와 달리 여러 개의 자기장이 둘러싸고 있음을 발견했다 ... ...
[과학 읽어주는 언니]총알 막고 화염에도 거뜬한 그래핀 슈트
동아사이언스
l
2018.10.04
화염에 휩싸여도 끄떡없는 셈이다. 가볍고 강한 방탄복이나 우주에서도 쓰일 수 있다.
지구
저궤도에서 활동하는 우주인의 우주복을 방탄 소재로 만들면 극초음속으로 날아다니는 우주쓰레기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 ...
"AI·로봇 연구 꿈도 꾸지마?"…늙어가는 노벨상
과학동아
l
2018.10.03
개선할 수 있는 방법으로 연구 단체의 이름으로 노벨상을 준 선례들을 들었다. 2007년
지구
온난화에 관한 연구를 해 노벨 평화상을 받은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패널’이 대표적인 예다. 국제적십자 또한 세 차례 노벨 평화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키팅 박사는 “이런 것들이 노벨상의 잘못된 ... ...
인도네시아 지진 피해 키운 건 액상화
동아사이언스
l
2018.10.02
역시 해안지역인데다 강과 지류가 많아 액상화 문제가 불거진 것이다. 신동훈 전남대
지구
환경과학부 교수는 “술라웨시섬의 이번 지진 발생지역은 바다와 만나는 강과 하천 등이 모여있어 퇴적물이 많다”며 “처음 지진이 발생했을 때 이곳에서 지하수와 섞여 일부 액상화가 발생해 물렁해진 ... ...
이전
468
469
470
471
472
473
474
475
47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