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역
지방
세계
이승
세상
고장
초록별
뉴스
"
지구
"(으)로 총 7,093건 검색되었습니다.
적 위성 요격하고 1시간만에
지구
반대편 폭격하는 '우주전' 현실로
과학동아
l
2018.10.01
변영환 건국대 항공우주정보시스템공학과 교수는 “마하5 이상으로 비행한다면
지구
상 어디든 한두 시간 내에 도달할 수 있다”면서 “이렇게 극초음속으로 비행하려면 기존 항공기와는 다른 새로운 엔진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일반 항공기는 고도 9~10km에서 공기를 고압으로 압출시킨 ... ...
[2018국제우주대회]“인류에 의한, 인류를 위한 우주개발” 독일서 개막
동아사이언스
l
2018.10.01
토마스 야좀빅 독일 연방정부 우주협력관은 “브레멘은 소위 ‘메가 시티’가 아니지만
지구
에서 가장 ‘우주화된’ 도시”라며 “100개국 이상에서 온 다양한 전문가가 모였으니 다양햔 협력이 일어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그는 “빨리 가려면 혼자 가라. 하지만 멀리 가려면 같이 가라”는 ... ...
[2018노벨상] 영화 속 주인공된 노벨상 과학자들
동아사이언스
l
2018.10.01
구성하는 틀이 되기도 한다. 미국의 스릴러 영화 ‘아웃브레이크’(1995)는 “인류가
지구
에서 삶을 계속 영위하지 못하도록 막는 유일한 장애물이자 가장 큰 위협은 바이러스”라고 말한 조슈아 레더버그(1958년 노벨생리의학상 수상자)의 말에서부터 이야기를 풀어 나간다. TV 드라마인 ... ...
IPCC 송도 총회 '1.5도 보고서' 채택 여부 주목
동아사이언스
l
2018.10.01
기후와 이산화탄소 농도와의 관계를 알기 위해 2014년 NASA가 쏘아올렸다. 무게 500㎏으로
지구
표면 위 약 705㎞ 높이에서 돌고 있다. 위성은 대기 중의 이산화탄소 분자에 반사되는 태양빛을 계산한 값과 식물에서 광합성 후 나오는 태양빛 값을 통해 간접적으로 농도를 계산한다. 이를 이용하면 ... ...
인류 최초로 달 밟은 닐 암스트롱 유품 3000점 경매 나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9.30
그는 올드린과 함께 사상 최초로 달에 착륙해 2시간 반가량 달 표면을 탐사한 뒤 무사히
지구
로 돌아왔다. 이후 대학 교수, 기업 경영인 등으로 지냈던 암스트롱은 2012년 병세가 악화되면서 82세의 나이로 타계했다 ... ...
[2018노벨상]올해 어떤 분야가 상 탈까?
동아사이언스
l
2018.09.30
고안한 산드라 파버 미국 샌타크루즈 캘리포니아대 교수가 선정됐다. 안경진 조선대
지구
과학교육과 교수는 “은하의 움직임이 우주의 온도를 변화시킨다는 것을 확인한 서나예프나 은하의 기원을 추적하는 수식을 제안한 파버가 중요한 역할을 한건 맞다”면서 “하지만 우주론 내에서 (은하 ... ...
[2018노벨상]입자물리서 시작해 반도체·우주기원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18.09.30
물리학상을 수상했다. 2016년 논문을 발표한 지 1년 여 만에 수상으로 이어진 셈이다.
지구
에서 10억 광년 이상 떨어져 있는 블랙홀 2개가 서로 합병되는 과정에서 일어난 충돌로 태양 질량의 3배에 이르는 중력 에너지를 방출하면서 시공간의 뒤틀림과 함께 중력파가 관측됐다. - 노벨위원회 제공 ... ...
“PCB 때문에 범고래 절반 50년내 사라질 것”
동아사이언스
l
2018.09.28
고래나 물범류를 사냥하는 영리한 바다 사냥꾼 범고래 집단의 절반 이상이 30∼50년 내에
지구
상에서 사라질 수 있다는 경고가 나왔다. 14년 전에 사용이 전면적으로 금지된 오염물이 아직도 바다를 떠돌며 최상위 포식자인 범고래의 몸에 축적돼서다. 역대 최대 규모의 범고래 환경오염 연구를 ... ...
고속도로 주변 오염물질의 90%는 타이어 탓
과학동아
l
2018.09.27
부위는 비단 엔진뿐이 아닌 것으로 최근 확인됐다. 레토 기레 미국 펜실베이니아대
지구
환경과학부 교수팀은 자동차의 타이어와 브레이크 패드, 그리고 도로 자재가 조금씩 마모되면서 대기 오염물질이 발생한다는 사실을 확인하고 국제학술지 ‘에어로졸 및 대기질연구’ 8월 15일자에 발표했다 ... ...
“北 6차 핵실험 이후 발생한 여진, 3차례 더 있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9.26
드물다”며 “모두 폭발에 의한 여진으로 보고 있다”고 설명했다. 라몬트-도허티
지구
관측소가 새로 개발해 활용한 지진파 분석 기술 덕분에 지진 발생 위치에 대한 정밀도가 기존보다 높아졌다는 게 연구진 측의 설명이다. 이 기술은 기존 방식보다 주파수가 훨씬 낮고 느린 지진파를 집중 ... ...
이전
469
470
471
472
473
474
475
476
47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