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표
연설
공고
강연
웅변
스피치
표명
d라이브러리
"
발표
"(으)로 총 10,165건 검색되었습니다.
누가 해수면 높이를 묻거든 호주를 보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18호
연구팀은 호주에 비가 많이 내릴수록 지구의 해수면 높이가 낮아진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
했어요. 지구의 해수면은 지구온난화로 인해 물의 부피가 늘어나고 빙하가 녹는 현상 때문에 계속 높아지고 있지요. 그런데 지난 2010~2011년 사이에는 7㎜ 낮아지는 이상한 현상이 일어났어요.연구팀은 이 ... ...
눈이 번쩍 뜨이는 시력짱 프로젝트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17호
한 연구팀은 밖에서 활동을 많이 하는 어린이일수록 근시가 덜 생긴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
했습니다. 덴마크와 영국 연구팀도 각각 실외에서 햇빛을 쬔 시간이 많을수록 근시가 덜 발생한다고 했지요. 연구를 진행한 과학자들은 햇빛을 받을 때 눈에서 안구 길이를 조절하는 물질이 나와서 근시를 ... ...
가짜 기억을 만들 수 있다면?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17호
언젠가는 사람 뇌에도 가짜 기억을 심을 수 있을 거 아니야! 당장 ‘사이언스’에 논문을
발표
한 연구자들을 납치해서 연구시키는 거지. 이제 내 꿈인 브레인 컨트롤 칩을 만드는 날도 머지않았군! 크하하하하!역시 과학기술은 어떻게 사용하느냐가 무척 중요하군요. 악당 아누비스가 이영도박사 ... ...
탐나는 멋진 점퍼, 북극곰 뇌에는 ‘극약’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16호
공동 연구팀은 그린란드에 사는 북극곰 뇌에서 유해 화학물질과 발암물질을 발견했다고
발표
했어요. 특히 방수성이 좋아 아웃도어 의료나 프라이팬 같은 제품에 쓰는 탄화플루오르옥탄술폰(PFOS)이 많았지요. PFOS는 쉽게 분해되지 않는 유독 물질로, 도시 지역뿐 아니라 북극과 남극에서도 여러 ... ...
‘태양’ 앞을 지나가는 ‘별’을 잡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16호
수 있지요.미국항공우주국(NASA)은 최초로 태양계 밖 행성의 일식 현상을 발견했다고
발표
했어요. 일식의 주인공은 지구에서 63광년 떨어진 곳에 있는 항성 HD189733이에요. 이 항성에 딸린 행성 HD189733b는 2.2일에 한 번씩 HD189733 주위를 돌고 있지요. NASA는 찬드라 위성과 XMN 뉴턴 위성이 찍은 두 별의 ... ...
남해를 찾은 귀한 손님 ‘팔색조’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15호
경남 남해군 금산지구에서 멸종위기종인 팔색조가 번식하고 있다는 사실을
발표
했어요. 팔색조는 여름철새로 새끼를 낳아 기르기 위해 매년 5월경 우리나라를 찾지요. 숲속의 어두운 바위틈이나 바위 위에 둥지를 틀고 알을 4~6개 낳아요. 이번에 찾은 둥지도 어둡고 습기가 많은 숲속 돌무더기 위에 ... ...
제12회 전국학생 산업·기술·과학 논술대회 수상자
발표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15호
경쟁을 벌였답니다.치열한 경쟁을 뚫고 상을 받게 된 친구들은 누구일까요? 지금 바로
발표
할게요~!논술 어렵지 않아요이번에는 제12회 전국학생 산업·기술·과학 논술대회에서 대상을 받은 친구를 직접 만나 볼게요. 안양 귀인초에 다니는 6학년 김채은 친구랍니다. 채은 친구는 어떻게 대회에 ... ...
모래성 쌓기 챔피언, ‘모래아리 까르까르’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15호
움직이는 모래성’입니다.”2013년 모래성 쌓기 대회 챔피언“지금부터 우승자를
발표
하도록 하겠습니다. 2013년 모래성 쌓기 챔피언 대회 최종 우승자는…, 바로 지난해 우승자인 모래아리 까르까르!”예상대로 올해도 우승은 움직이는 모래성을 만든 모래아리 까르까르에게 돌아갔다.“감사합니다 ... ...
20세기 기하학의 방향을 바꾼 동양의 작은 거인, 천싱선
수학동아
l
2013년 12호
역사에 두고두고 남을 주요 업적을 쌓았다. ‘가우스-보네 정리’의 우아한 증명을
발표
하며 ‘특이류’라는 개념을 도입했는데, 이 기하학적 불변량은 이제 ‘천류(Chern class)’라고 불린다. 이 개념은 미분기하학을 넘어서서 위상수학과 대수기하학에까지 큰 영향을 끼쳤다. 그리고 많은 ... ...
[수학뉴스] ‘숫자 감각’ 생후 6개월에 결정?!
수학동아
l
2013년 12호
숫자 감각이 좋은 아이는 생후 6개월에 그 특성을 드러낸다고 미국국립과학원회보에
발표
했다.브라논 교수는 생후 6개월 된 아기 48명을 대상으로 두 가지 화면을 보여 주는 1차 실험을 했다. 화면에서 검은 동그라미들의 크기와 위치를 계속 바꿨는데, 한 화면만 동그라미들의 총 개수를 일정하게 ... ...
이전
469
470
471
472
473
474
475
476
47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