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발표"(으)로 총 10,165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학뉴스] 단순한 코드로 만든 ‘돌고래 번역기’수학동아 l2013년 12호
- 케르센바움 박사가 최근 이 주장에 대한 증거를 찾았다고 미국 공공과학도서관회보에 발표했다.케르센바움 박사는 우선 돌고래 20마리가 서로 이야기하는 소리 400마디를 녹음했다. 그리고 이를 파슨스 코드 알고리즘으로 변환했다. 파슨스 코드 알고리즘은 바로 앞의 음을 기준으로 상대적인 높낮이 ... ...
- 수학으로 만든 화폐, 비트코인!수학동아 l2013년 12호
- 증명하면서 ‘우주 간 기하학’이라는 새로운 분야를 창시했다는 점이 비트코인 체계를 발표한 논문과 흡사하거든요.만약 비트코인 시스템의 창시자가 신이치 모치즈키가 아니고, 끝까지 밝혀지지 않는다고 해도 비트코인 시스템에 창시자만 알 수 있는 치명적인 약점은 있을 수 없어요. 비트코인 ... ...
- 수학 공식? 그림 한 장이면 OK!수학동아 l2013년 12호
- 옳다. 도형 분할로 유명한 퍼즐가 그렉 프레데릭슨의 책에 따르면 페리갈이 이 그림을 발표한 것은 1873년, 듀드니는 1917년이기 때문이다. 그림의 주인으로 혼동되는 두 사람의 이름이 공교롭게도 헨리로 똑같다는 점도 묘한 일이다. Part 2 부등식와! 아저씨 덕분에 이제 피타고라스의 정리 공포증은 ... ...
- Part 1_ 우주를 팽창시키는 힘, 암흑에너지과학동아 l2013년 12호
- 있었던 학회에서 적색편이를 이용해 아인슈타인의 중력이론을 검증할 수 있다는 논문을 발표한 적이 있었다. 불과 6년 전이었는데도 수백만 개의 은하 적색편이를 정밀하게 관측할 필요가 있다는 부분에서 흄 펠드만 같은 전문가도 난색을 표했다.하지만 수천 개의 광섬유를 집적해, 수많은 은하의 ... ...
- [knowledge] 인류는 지금도 진화하고 있다과학동아 l2013년 12호
- 관련이 없어졌다는 뜻이었습니다.하지만 21세기에 유전학 분야에서 새로운 연구 결과가 발표되며 사정이 바뀌었습니다. 인간의 유전체(게놈)가 해독되고, 해독된 유전체의 수도 나날이 늘고 있습니다. 이제는 여러 사람의 유전자를 서로 비교해 볼 수 있을 만큼 많은 유전 정보가 쌓였습니다. 이를 ... ...
- 정자(精子) 추적, 나노입자에게 맡겨봐과학동아 l2013년 12호
- 개발하고, 그 특성을 실제 정자를 대상으로 실험한 결과를 ‘나노의학’지 11월호에 발표했다.정자는 크기가 작고 모양이 특이한데다 수명이 짧아 제대로 조사하거나치료하기가 어려웠다. 그래서 연구팀은 폴리에틸렌이민 등으로 지름이 수~수십nm인 나노입자를 만들었다. 이 입자는 표면에 미세한 ... ...
- [과학뉴스] 명예퇴직한 아버지가 유난히 늙어 보이는 이유과학동아 l2013년 12호
- 사람보다 더 빨리 짧아진다는 연구를 ‘미국공공도서관학회지(PLoS ONE)’11월 20일자에 발표했다.텔로미어는 염색체의 끝부분에 달려있는 염기 서열로 유전정보를 가진것은 아니지만 DNA가 복제 될 때 염색체 끝이 바깥에 직접 노출되지 않도록 한다. DNA가 소실되는 것을 막는 것이다. 세포분열이 ... ...
- 과학으로 아기 키웠던 네안데르탈인?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2호
- 모유 수유 방법이 현대 영양학자가 권하는 것과 비슷하다는 새로운 연구 결과도 발표됐답니다.미국 하버드대학교 연구팀이 벨기에에서 발견한 아기 네안데르탈인 어금니의 ‘바륨’과 ‘칼슘’의 비율을 분석했어요. 이렇게 하면 이가 만들어질 무렵에 아기가 무얼 먹었는지 정확히 알 수 있지요. ... ...
- 우주의 비밀을 푸는 열쇠, 수학수학동아 l2013년 12호
- 거의 동시에 특수상대성 이론을 완성했다. 그리고 아인슈타인이 특수상대성 이론을 발표했을 때, 푸앵카레는 아인슈타인이 자신의 아이디어를 참조하고도 참고문헌에 자신의 논문 제목을 적지 않았다며 아인슈타인을 비난했다. 하지만 아인슈타인은 푸앵카레의 논문을 읽지 않았다고 밝혔고, 결국 ... ...
- [수학뉴스] 수학 연구로 슈퍼 광합성의 비밀 밝혀수학동아 l2013년 12호
- 런던임페리얼대 수학과 이안 존스톤 박사 연구팀이 슈퍼 광합성의 수학적인 모델을 세워 발표했다.연구팀은 일반적인 식물보다 광합성 효율이 50% 정도 좋은 옥수수와 사탕수수, 기장 등의 계통도(종자 간의 관계)를 먼저 확인했다. 그 결과 이 식물들은 다른 식물보다 물을 사용하는 효율성은 3배, ... ...
이전47047147247347447547647747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