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생물학"(으)로 총 2,540건 검색되었습니다.
-
- [Origin] 몸 밖의 몸, 오가노이드과학동아 l2018년 02호
- 맞춤형 암 치료제 개발을 위해 오가노이드 바이오뱅크 구축에 나섰습니다. 생물학자들은 지금까지의 성과에 안주하지 않고 새로운 도전에 임하고 있습니다. 제임스 웰스 미국 신시내티아동병원 교수는 주로 상피를 배양하는 데 집중돼 있던 오가노이드 연구를 장의 연동운동에 관여하는 장 ... ...
-
- [Culture] 과학동아가 선정하는 이달의 책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생태를 들여다보는 창문’ 쯤 된다. 존스 회장은 “대변은 더러운 단어가 아니다. 생물학적 관점에서 볼 때 배변 활동은 멋진 과정이며 배설한 이후에도 배설물의 생태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고 말했다. 책 전반에서 이렇게 혐오스러운 이미지를 갖춘 대변(大便)을 대변(代辯)한다. 인간이 ... ...
-
- Part 1. 30대 중반, 제 건강 상태는요과학동아 l2018년 01호
- T), 구아닌(G), 시토신(C)의 염기가 쌍을 이뤄 배열돼 있다. 30억 쌍의 염기서열 중에 실제 생물학적인 기능을 지닌 단백질을 만드는 유전자 서열이 차지하는 비중은 1.1~1.4%이며, 현재까지의 연구결과에 의하면 2만5000~3만 개로 추정된다. 그밖에 단백질을 만들지 않는 유전자가 약 1만 개 정도 있어서 ... ...
-
- [Origin] 발생학 강의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유전학, 발생학 등을 가르치며 새로운 대학 과학교육 시스템을 개발하고 있다. 생물학에서는 유전자 또는 기작이 내는 효과를 크게 둘로 분류합니다. 기준은 그것이 세포의 자율적인 효과(cell autonomous effect)인가, 비자율적인 효과(cell non-autonomous e ect)인가죠. 예를 들어 볼게요. 세포 A에 유전자 X가 ...
-
- [인터뷰] 위상수학, 느낌 아니까~수학동아 l2018년 01호
- 대한 특집 프로그램을 봤어요. 무척 흥미롭더군요. 그래서 대학교 전공을 선택할 때 생물학과와 컴퓨터과학과 사이에서 크게 고민했어요. 결국에는 컴퓨터과학과를 가려고 마음을 먹었지요. 그런데 여기서 반전이 있어요. 엉뚱하게도 저는 예술학과에 들어갔거든요. 하하. 컴퓨터 그래픽은 ... ...
-
- Part 1. 작지만 강한 큐브샛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2호
- 2014년부터는 기술 검증을 위해 만들어지는 비율이 20% 정도로 줄었고, 지구 관측이나 우주 생물학 실험에 사용되고 있지요. 실제로 미국항공우주국(NASA)은 2020년 화성에서 식물을 재배하는 실험실로 큐브샛을 사용할 예정이에요. 탐사선에 큐브샛을 실어 화성에 보낸 뒤, 지구에서 챙겨간 공기와 물을 ... ...
-
- [현장취재] 지구에서 떠나는 화성 여행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2호
- 초기 지구에 산소가 어떻게 생겨났는지 궁금해졌지요. 그래서 이 분야를 연구하는 우주생물학자인 NASA의 마틴 반 크라네동크 박사에게 무작정 메일을 보냈어요. 결국 박사를 만나게 되었고, 이것이 인연이 되어 NASA의 과학자들과 함께 서호주를 탐사하게 된거예요.” 마지막으로, 문경수 ... ...
-
- Part 1. 깃털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1호
- 더 화려하고 짙은 붉은색을 띨 때가 있어요. 바로 짝짓기 시기예요. 2010년 스페인 도나냐 생물학 연구소 후안 아마트 박사팀은 큰홍학이 짝짓기 시기에 깃털을 더 화려하게 만들어 짝을 유인한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어요. 연구팀은 우선 홍학의 꽁지에 있는 ‘우지선’이라는 샘에서 ... ...
-
- [가상인터뷰] 모기 먹는 모기 등장!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7호
- 모기를 없애니? 이렇게 천적을 이용해 해충을 죽이거나 서식 밀도를 줄이는 방법을 ‘생물학적 방제’라고 해요. 왕모기를 이용해 다른 모기를 죽이는 방법은 1929년 하와이에서 시작됐어요. 우리나라에서는 지난 2015년 딱정벌레목 곤충인 ‘잔물땡땡이’를 이용해 모기 유충을 없애는 기술을 ... ...
-
- [Career] 슈퍼컴퓨터로 단백질 연구하는 물리학자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어떻게 전파되는지 양자역학적으로 계산했다. 2년 이상 연구에 매달린 김 연구원은 “생물학적인 현상을 물리학적인 문제로 정의하는 게 가장 어려웠다”고 말했다. 문제를 제대로 정의해야 올바른 답을 얻을 수 있는 만큼 이 과정이 핵심이다. 김 연구원은 “동일한 신경세포에서 신호가 발생해도 ... ...
이전43444546474849505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