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생물
생명체
생태학
biological
biology
d라이브러리
"
생물학
"(으)로 총 2,540건 검색되었습니다.
[가상인터뷰] 나무를 올라타는 염소가 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2호
함께 뱉어낸답니다.그럼 씨앗의 크기에 따라 소화 과정이 다르니?네. 스페인 도냐나
생물학
연구소 연구팀은 우리 염소가 씨앗을 크기에 따라 다르게 소화하는지 알아봤어요. 염소에게 올리브 나무 열매와 산사나무 열매 등 크기가 서로 다른 5가지 씨앗을 먹였지요.그 결과 크기가 큰 씨앗일수록 ... ...
[Culture] 지옥구더기의 분류학적 위치에 대하여
과학동아
l
2017년 12호
호의는 꼭 도움이 필요한 순간을 위해 아껴두고 싶으니까. 그 때가 되면 유황불 속의
생물학
자가 과연 어떠한 도움을 내게 제공해줄지, 그 의문이 마침내 풀릴 순간을 나는 조용히 기다리고 있다 ... ...
[과학뉴스] 네이처 지구과학
과학동아
l
2017년 12호
매달 발행하는 국제학술지다. 지구물리학과 지질학, 지구대기학, 빙하학, 고
생물학
등 지구과학 관련 모든 연구를 아우른다. 올해 5월호에는 이성근 서울대 교수 등 공동연구팀이 진행한 지층 속 석영의 녹는점에 대한 연구결과가 실렸다. 연구팀은 석영이 99%를 차지하는 암석인 규암을 빠른 속도로 ... ...
Part 1. 뇌는 어떻게 얼굴을 인식하나
과학동아
l
2017년 12호
전인데, 이들은 어떻게 구별하는 걸까. 올해 7월 도리스 차오 미국 캘리포니아공대
생물학
및생명공학부 교수팀은 하나의 세포가 하나의 얼굴을 인식하는 것이 아니라, 얼굴 인식 세포 200여 개가 얼굴이나 표정에 따라 활성화되는 패턴이 다르고 이를 통해 얼굴을 인식한다는 열구 결과를 국제학술지 ... ...
[Origin] 그 많던 개미는 다 어디로 갔을까
과학동아
l
2017년 12호
펴낸 동민수 씨(강원대 응용
생물학
과 2학년)와 개미를 찾아 나섰다. 그는 중학생 때부터
생물학
연구정보센터(BRIC)의 곤충 종 동정위원으로 활동하면서 개미를 알리고자 노력해 온 ‘개미 마니아’다. 겨울 개미 찾기 TIP 1: 사람 발길 적은 곳으로 떠나라스산한 바람이 불던 11월 10일 금요일 오전 ... ...
[Career] 슈퍼컴퓨터로 단백질 연구하는 물리학자
과학동아
l
2017년 12호
어떻게 전파되는지 양자역학적으로 계산했다. 2년 이상 연구에 매달린 김 연구원은 “
생물학
적인 현상을 물리학적인 문제로 정의하는 게 가장 어려웠다”고 말했다. 문제를 제대로 정의해야 올바른 답을 얻을 수 있는 만큼 이 과정이 핵심이다. 김 연구원은 “동일한 신경세포에서 신호가 발생해도 ... ...
[정수 남매의 가상인터뷰] 노화를 막을 방법은 없다!
수학동아
l
2017년 12호
하려는 경쟁을 펼쳐요. 정수 남매: 조아나 메이셀 미국 애리조나대학교 생태학 및 진화
생물학
과 교수팀은 두 세포의 경쟁능력을 나타내는 함수와 세포 간 경쟁이 생명력에 기여하는 정도를 나타내는 함수로 생물의 노화 수준을 알려주는 모형을 개발했어요. 모형에 따르면 제 기능을 못하는 ... ...
[Origin] 이기적 유전자는 왜 중요한가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유전자’의 학문적 공헌은 눈부시다. ‘사회
생물학
’을 쓴 미국 하버드대 사회
생물학
자 에드워드 윌슨은 2014년에 낸 책 ‘인간 존재의 의미’에 이렇게 적었다. “과학 저널리스트 리처드 도킨스는 인기 도서 ‘이기적 유전자’를 통해 (해밀턴의 포괄 적합도) 이론을 일반 대중에게 소개했다 ... ...
[과학뉴스] 전세계 꿀 75%에서 살충제 성분 검출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10월 6일자에 발표했다. 에드와르드 미첼 스위스 노이샤텔대
생물학
연구소 교수팀은 전 세계에서 수집한 198종의 꿀 샘플에서 네오니코티노이드 계열의 살충제 성분이 남아 있는 지 조사했다. 네오니코티노이드는 니코틴계의 신경자극성 살충제로 다섯 종류가 가장 널리 ... ...
[Issue] 잘 나가는 크리스퍼 ‘처녀생식’ 논란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정자 DNA에 붙는 순간을 포착하기가 쉽지는 않을 것 같다”며 “난자 DNA를 이용하는
생물학
적 메커니즘을 밝히는 일은 새로운 연구 주제로 다뤄져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논란2: 처녀생식 가능성 고려했나? 미탈리포프 교수팀이 실험 결과를 잘못 해석한 것은 아닐까. 처치 교수 측에서는 이 ... ...
이전
44
45
46
47
48
49
50
51
5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