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생물
생물학
생명
뉴스
"
생명체
"(으)로 총 1,300건 검색되었습니다.
[IBS 코로나19 리포트 시즌2] 바이러스 변이체 위협적인가?
2021.01.12
대략 3개의 바이러스가 생산될 때마다 1개의 돌연변이가 생긴다. 돌연변이는 모든
생명체
에서 일어나는 자연현상이며 진화의 원동력이다. 바이러스에서 빈번하게 일어나는 돌연변이는 바이러스 생활사의 지극히 자연스러운 삶의 한 부분일 뿐이다. 돌연변이는 무작위로 일어나며, 돌연변이체 ... ...
코로나 백신 만드는 mRNA 원리 설명할 새 분석방법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1.01.11
개발한 방법을 통해 밝혀낸 RNA와 단백질 상호작용이 역동적으로 변화하는 현상은
생명체
발생과정에서 RNA 결합단백질의 숨은 원리를 연구하는 단초가 될 것”이라며 “아데닌 꼬리가 없는 세균이나 바이러스 RNA에 결합하는 단백질을 찾는데도 활용할 수 있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결과는 ... ...
화성에 물이 흐를 수 있었던 비결은 지열?
과학동아
l
2021.01.11
의해 데워진 물은 생명이 유지될 수 있도록 돕는다”며 “화성의 땅속은 가장 오래된,
생명체
가 거주 가능한 환경”이라고 설명했다. doi: 10.1126/sciadv.abb166 ... ...
우주 전체 찍는 적외선 망원경, 천문연∙NASA 제작 돌입
동아사이언스
l
2021.01.06
우주에 얼음상태로 존재하는 물과 이산화탄소 등의 분포 지도를 작성해 지구와 같이
생명체
가 존재할 수 있는 행성계 탐사 연구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스피어x 프로젝트는 미국 캘리포니아공과대의 주관으로 천문연을 포함해 NASA JPL과 볼 에어로스페이스, 미국 아리조나주립대, ... ...
[프리미엄 리포트]영면에 들어간 천문학의 노병들
과학동아
l
2021.01.02
행성계도 찾아냈다. 푸에르토리코 거주가능행성 연구실(PHL)에 따르면 이 중 4개의 행성은
생명체
가 거주 가능한 환경의 행성으로 분류된다. 스피처 우주망원경 프로젝트의 매니저로 활동했던 NASA의 리사 스토리-롬바르디아 박사는 e메일 인터뷰에서 “트라피스트-1 행성계 발견은 스피처의 가장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팬데믹의 희망과 과학자의 고난
2020.12.31
유전물질의 지위를 DNA에 내주고 난후엔 DNA가 담당하지 못하는 여러 기능을 수행하는,
생명체
유지에 필수적인 물질이다. 대부분의 원핵생물과 진핵생물의 유전물질은 DNA로 진화했지만, 여전히 바이러스의 상당수는 RNA를 유전물질로 사용한다. 코로나19 바이러스도 마찬가지다. DNA의 정보가 ... ...
한국 연구팀 ‘남극이빨고기’ 유전체 전체 세계 최초로 해독
동아사이언스
l
2020.12.30
Mb, 1Mb는 100만 개의 염기)고 621개의 유전자 군에서 적응과 진화의 흔적이 확인됐다.
생명체
의 성장이나 발달에 관여하는 유전자에서 특이점이 나타났다. 연구팀은 이 특이점이 남극 바다처럼 추운 곳에서 몸집을 키울 수 있었던 요인이라고 예측했다. 진화 과정에서 남극이빨고기의 세포막 성분 ... ...
네이처 ‘올해의 10대 과학 인물’
동아사이언스
l
2020.12.16
꼽은 미국 질병예방통제센터(CDC) 차기 센터장 로셸 발렌스키와 금성에 거주하는
생명체
여부를 연구하고 있는 제인 그리브스 영국 카디프대 교수도 함께 선정됐다. 네이처 제공 ... ...
가장 가까운 지구형 행성 프록시마 b
생명체
서식 가능성 작아
연합뉴스
l
2020.12.10
자기장이 관측된 적은 없다면서 "설사 자기장이 있다고 해도 M형 왜성에 근접한
생명체
서식 가능 영역을 고려하면 보호막 역할을 하기에는 충분하지 않다"고 지적했다. ... ...
6시간→1시간→5분…코로나19 진단법 속도경쟁 얼마나 빨라질까
동아사이언스
l
2020.12.07
유전자 가위를 이용해 감염 여부를 확인하는 진단법도 등장했다. 크리스퍼 유전자가위는
생명체
의 정보를 담고 있는 DNA에서 유전질환을 유발하는 특정한 부위의 염기를 잘라내 교정하는 기술이다. 찰스 치우 미국 샌프란시스코 캘리포니아주립대 진단검사의학과 교수팀은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가 ... ...
이전
43
44
45
46
47
48
49
50
5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