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생물
생물학
생명
뉴스
"
생명체
"(으)로 총 1,300건 검색되었습니다.
[표지로 읽는 과학] 노벨위원회 예상 적중한 극저온전자현미경
동아사이언스
l
2020.11.07
노벨위원회는 2017년수상자 발표 당시 극저온전자현미경의 개발에 대해 “머지않아
생명체
의 장기나 세포 속에서 일어나는 복잡한 반응을 원자 수준에서 관찰할 수 있게 될 것”이라고 평가했다. 원자 하나의 크기는 약 1Å이다. 이번 연구로 노벨위원회의 예상이 맞아떨어지게 된 셈이다. 또, 당시 ... ...
SF로 AI와 함께하는 미래 만난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1.06
영화에 관해 이야기를 나누는 ‘SF시네마토크’가 열린다. 과학자와 SF 작가가 AI와 외계
생명체
의 현재와 미래를 놓고 토론하는 ‘SF포럼’과 SF 작가와 1대 1로 대화를 나누는 ‘SF상담소’는 화상회의 애플리케이션 ‘줌’과 유튜브로 진행된다. 이정모 과천과학관 관장은 “앞으로 다가올 ... ...
NASA 수석과학자 "달 탐사 '아르테미스'에 한국 참여 기대"
동아사이언스
l
2020.11.05
기후변화를 겪기 전 화성에는 물이 많았고
생명체
가 거주 가능한 환경이었다”리며 “
생명체
의 존재를 확신할 수는 없지만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현재는 퍼시비어런스가 화성을 향하고 있다. 작은 헬리콥터를 보유해 화성 대기에서 비행하며 화성 토양 시료를 지구에 가져올 계획도 하고 있다. ... ...
무시무시한 외계
생명체
같은 나방
팝뉴스
l
2020.11.02
SF 영화에 나오는 괴물인가? 아니면 독이 들어 있는 나무 열매인가? 정체 불명의
생명체
사진이 해외 네티즌 사이에서 큰 화제이다. 사진 속 물체는 뱀 여러 마리가 뭉쳐져 있는 것처럼 보이기도 한다. 그런데 화제의 주인공은 나방이다. 정확히는 아틀라스 나방(atlas moth)이다. 볼수록 무섭다. ... ...
[코로나19 연구속보]코로나19 공기감염 가능성 첫 실험증거 나왔다
2020.11.02
공기 감염을 실험적으로 직접 테스트한 연구는 지금까지 거의 없었다. 인간을 포함한
생명체
가 실제로 공기 중 에어로졸에 포함된 SARS-CoV-2 바이러스에 감염되는지를 실험으로 확인하기 쉽지 않기 때문이다. 연구진은 족제비과의 포유류인 페렛이 인간 폐의 생리학적 특성과 세포의 수용체 ... ...
[잠깐과학] 최초로 지구 궤도에 오른 동물 라이카, 우주로 떠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0.10.31
질문에 답하려면 먼저 동물을 우주로 보내는 실험을 해야 했다. 처음으로 우주에 도달한
생명체
는 1947년 미국이 쏘아 올린 로켓에 타고 있던 초파리였다. 지구와 우주의 경계로 불리는 상공 100km의 ‘카르만 라인’을 넘었습니다. 이후 미국과 소련은 먼저 우주로 진출하기 위한 경쟁에 돌입한다. ... ...
[과학자의 서재]유명 과학자들이 추천하는 애장 도서 15선
동아사이언스
l
2020.10.30
즐겨 읽었다고 했다. 그는 레딧이라는 온라인 커뮤니티에 직접 “지구상의 다른 모든
생명체
와의 친족 관계를 배우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과학자라 부르긴 무리가 있지만 빌 게이츠 마이크로소프트 창업자가 게이츠 재단을 설립해 기술과 공중 보건 분야에 미치는 영향을 과소평가할 ... ...
'코로나19 감염자와 거리 2배면 위험은 절반'…외계
생명체
찾는 방정식으로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0.27
방정식은 1961년 미국 천체물리학자 프랭크 드레이크가 1961년 인간과 교신할 수 있는 외계
생명체
수를 계산하기 위해 만들었다. 변수들의 곱으로만 이뤄져 형태가 단순하다는 점이 특징이다. 연구팀은 드레이크 방정식에서 등호를 부등호로 바꾸고 비말감염에 영향을 주는 변수 8개를 곱해 새로운 ... ...
달 남극에서 '물 분자' 확인
동아사이언스
l
2020.10.27
달의 남극은 적도에 비해 표면이 고르지 못하고 통신이 어려워 탐사가 어렵다. 하지만
생명체
에 필요하고 탐사에도 활용할 수 있는 물의 존재 때문에 각국은 달 남극을 탐사 목표로 지정해 왔다. 미국은 2024년까지 달에 유인 우주선을 보내는 ‘아르테미스 계획’을 발표하고 달의 남극을 ... ...
국립산림과학원, 유전자 가위 기술로 백색증 포플러 개량 성공
연합뉴스
l
2020.10.26
적용한 유전자 교정 나무를 만드는 데 성공했다고 밝혔다. 유전자 가위 기술은 모든
생명체
가 가지는 DNA 특정 영역을 교정하는 기술로, 질병 치료, 동물과 작물의 품종 개량 등에 활용된다. 국립산림과학원 연구진은 식물에서 엽록소 생합성에 관여하는 유전자를 포플러 나무에서 발견해 유전자 ... ...
이전
45
46
47
48
49
50
51
52
5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