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재료
원료
원재료
설비
시설
농업경제학
경제학
뉴스
"
자재
"(으)로 총 608건 검색되었습니다.
갤럭시 노트 7 전량 리콜 - 19일부터 교환 가능
2016.09.02
시기와 상관 없이 갤럭시 노트 7 신제품으로 교환해 드리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자재
수급과 제품 준비에는 약 2주 정도 소요될 것으로 예상했다. 이에 따라 19일부터 제품 교환이 가능할 전망이다. 제품이 준비되기 전이라도 서비스센터를 방문하는 소비자들에게 이상 여부를 점검하고 조치를 ... ...
얼굴 수술용 인조 뼈, 3D 프린터로 만들었다
2016.08.31
쓸 수 있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또 이 소재를 3D 프린터를 이용해 원하는 형태로 자유
자재
로 찍어 낼 수 방법 역시 개발했다. 지금까지는 얼굴 재건 수술을 위해 신체 다른 부위에 있던 뼈를 잘라 손상된 얼굴뼈에 맞춰 깎고 이식해야 해 수술시간이 8시간 이상 걸렸다. 윤 교수팀의 기술을 이용하면 ... ...
묻지 않으면 알 수 없는 ‘진실’
2016.08.27
생각하기 때문은 아닐까. 묻지 않았으니 그럴지도, 아닐지도 모른다. 도로에 떨어진 식
자재
박스를 자기 차에 서둘러 실었던 그 남성도 마찬가지다. 그러나 공공성(公共性)의 이익에 역행하는 여러 사회적 일들 때문에 분노할 수밖에 없는 세상일들이 천지이고 그 뒤편에서는 무력한 사람들이 ... ...
온 몸이 문어처럼 움직인다고? 초소형 소프트 로봇 개발
2016.08.25
움직임을 조정한다. 다리마다 구동장치가 두 개씩 붙어 있어 기압의 크기를 조절해 자유
자재
로 움직인다. 다리 끝은 최대 80도까지 움직일 수 있다. 기존 로봇처럼 정해진 방향으로만 움직이는 관절이 없기 때문에 훨씬 유연한 움직임이 가능하다. 연구진은 옥토봇을 복잡한 임무를 수행할 수 ... ...
KIST, 저렴한 탄소섬유 재활용기술 개발
2016.08.24
강도는 원 소재의 85% 이상을 유지했다. 고 연구원은 “이 기술을 이용하면 CFRP 폐
자재
의 95% 이상을 재활용할 수 있다”며 “경제성과 친환경성을 모두 갖춘 재활용법을 개발한 것으로 즉시 산업화가 가능하다”고 말했다. 연구진은 25일 KIST 전북분원에서 기업들을 대상으로 기술이전 설명회를 ... ...
줄기세포 자유
자재
로 조절하는 물질 찾았다
2016.08.09
Pixabay 제공 국내 연구진이 줄기세포의 분화를 조절할 수 있는 핵심 물질을 발견했다. 줄기세포는 모든 종류의 세포로 분화될 수 있어 ‘만능 치료 세포’로도 불린다. 윤홍덕 서울대 의대 교수팀은 인체 내 대사물질로 알려진 ‘알파-케토글루타르산’이 줄기세포 분화와 관련 깊다는 사실을 ... ...
반도체 제작 걸림돌 ‘빛 번짐’ 잡았다
2016.08.08
팀은 ‘포토리소그래피’ 공정의 방해 요소인 빛의 회절과 간섭 효과를 역이용해 자유
자재
로 구조 제어가 가능한 3차원 나노구조체 제작 기술을 개발했다고 8일 밝혔다. 반도체 회로 등 미세한 패턴을 만드는 데 사용되는 포토리소그래피 공정은 사진 인화 과정과 비슷하다. 빛에 반응하는 판을 ... ...
화성탐사에 활용 가능한 ‘휴대용 제약공장’ 개발
2016.07.31
많은 양의 약물 단백질을 빠르게 합성할 수 있기 때문에 그때그때 필요한 약물을 자유
자재
로 생산할 수 있을 것”이라며 “기존 방식에 비해 비용도 절감할 수 있다”고 밝혔다. ... ...
대덕연구단지 ‘사이언스 리그’의 에이스 투수는 여성 과학자
2016.07.26
활약 중인 그는 시속 85~90㎞의 빠른 직구는 물론 커브와 슬라이더 등 변화구까지 자유
자재
로 구사한다. 평소에는 밤 10시까지도 실험에 푹 빠져 있는 과학자로 동물실험을 대체할 인공장기 모델인 ‘오가노이드’ 연구를 이끌고 있지만 일단 마운드에 올라서면 상대 타자들을 압도한다. 연습 ... ...
빛의 색깔 자유
자재
로 바꾸는 방법, 사탕에서 찾았다
2016.07.25
사탕에서 나타나는 광학 현상을 응용해 전력 없이 빛을 생산하고 빛의 색깔을 자유
자재
로 바꿀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정순문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나노에너지융합연구부 선임연구원 팀은 사탕이 부서질 때 자외선이 발생하는 ‘미케노발광’ 현상을 응용해 빛의 색 조절 기술을 ... ...
이전
43
44
45
46
47
48
49
50
5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