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재료
원료
원재료
설비
시설
농업경제학
경제학
뉴스
"
자재
"(으)로 총 608건 검색되었습니다.
프로그래머가 수학을 공부하는 이유: 철통 암호 개발은 정수론으로 부터
수학동아
l
2016.05.06
완전동형암호 기술을 이용하면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암호가 걸린 상태에서도 자유
자재
로 데이터 분석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문제는 상용화다. 아직 이 암호를 적용한 기기나 프로그램이 없다. 다행히 여러 기업들이 완전동형암호 기술을 현장에 적용하기 위해 투자와 연구에 발 벗고 나서고 ... ...
서울대 연구진, 소프트로봇 대회 우승…비결은 아르마딜로와 종이접기
2016.05.05
견인했다. 특히 바퀴에는 종이접기 원리가 적용돼 필요에 따라 바퀴의 크기를 자유
자재
로 조절할 수 있다. 조 교수는 “화성 탐사 로봇 개발자들이 가장 고민하는 게 어떤 환경에서도 작동하는 바퀴 구조다. 스누맥스의 바퀴를 미국항공우주국(NASA)에 제안해 보라는 이야기를 들었다”며 ... ...
레이저로 피부 손상 없이 암 치료하는 길 열린다
2016.05.04
공동으로 ‘홀로그래피’ 기술을 활용해 3차원 공간에서 레이저 빛의 초점 위치를 자유
자재
로 조절할 수 있는 ‘산란 렌즈’를 개발했다고 4일 밝혔다. 기존 레이저광 치료는 빛이 피부를 뚫고 지나가면서 손상을 입혔다. 이를 피하기 위해선 피부를 절개해야 했다. 또 빛이 조직의 표면에만 ... ...
‘그래핀’ 한계 뛰어넘을 신소재 대면적 합성 첫 성공
2016.05.03
큰 면적으로 합성하는 실험을 하고 있다. -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제공 국내 연구진이 자유
자재
로 휘는 플렉서블 전자기기에 필요한 신소재를 가공하는 신기술을 개발했다. 강상우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진공기술센터 책임연구원 팀과 김태성 성균관대 기계공학부 교수팀은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인 ... ...
‘엑스맨: 아포칼립스’ 메인 포스터 공개…압도적인 스케일
동아닷컴
l
2016.04.16
리더이자 강력한 텔레파시 능력을 소유한 ‘프로페서 X’(제임스 맥어보이), 신체를 자유
자재
로 변신 가능한 ‘미스틱’(제니퍼 로렌스), 초인적인 힘과 지능을 지닌 ‘비스트’(니콜라스 홀트), 초음속의 스피드를 지닌 ‘퀵 실버’(피터 에반스), 텔레파시와 염력을 지닌 ‘진 그레이’(소피 터너), ... ...
2030년에 ‘문’ 빌리지… 200명 입주한다
2016.04.15
미국 업체인 자크와 공동으로 구상한 화성 기지 예상도. 건물의 하단부부터
자재
를 쌓아 올리는 ‘3차원 적층 건설기술’이 적용됐다. - 한국건설기술연구소 ... ...
사지마비 환자 최후의 보루, 눈으로 대화할 수 있는 ‘안구 마우스’ 개발
2016.04.15
한양대 생체공학과 제공 카메라 없이도 눈동자의 움직임을 추적해 사지 마비 환자도 자유
자재
로 글자를 쓸 수 있도록 돕는 ‘안구 마우스’가 개발됐다. 임창환 한양대 생체공학과 교수팀은 눈 주위 피부에서 측정되는 전기신호인 ‘안구 전도’를 이용해 눈동자의 움직임으로 글자를 쓸 수 있도록 ... ...
수중 드론으로 바다 속 초정밀 지도 완성
2016.04.09
헤엄칠 수 있어 일명 ‘수중 드론’이라고 불린다. 하늘을 나는 드론처럼 물속을 자유
자재
로 움직이며 고성능 카메라 장비로 해저 지형을 촬영한다. 연구팀은 2013년 사이클롭스 개발을 마치고 성능 개선을 거쳐 2015년 3월 실제 해저 탐사를 진행했다. 이렇게 얻어낸 데이터를 분석하고 5㎝ 단위로 ... ...
어긋난 두 정의의 충돌… 배트맨과 슈퍼맨의 싸움
2016.04.03
정도가 되려나. 반면 슈퍼맨는 언제나 ‘절대 영웅’ 그 자체로 묘사됐다. 하늘을 자유
자재
로 날아다니는데다 힘이 얼마나 센 지는 측정하기도 어렵다. 지구의 자전을 거꾸로 돌려놓는 모습이 나올 정도니 사실상 무한대라 해도 문제가 없다. 슈퍼맨이 배트맨을 이기고 싶다면 먼 발치에서 ... ...
빛과 열로 신경세포 활성 조절
2016.03.30
촉진에는 용이한 반면 억제에는 효과가 적고, 광유전학 기술은 신경세포 활성을 자유
자재
로 조절할 수 있지만 유전자 조작이 까다로워 한계가 있었다. 앞서 연구팀은 2014년 신경세포가 광열 자극에 노출될 때 활성이 억제되는 현상을 발견했다. 특정 파장의 빛을 흡수해 열을 내는 금 나노막대에 ... ...
이전
45
46
47
48
49
50
51
52
5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