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재료
원료
원재료
설비
시설
농업경제학
경제학
뉴스
"
자재
"(으)로 총 608건 검색되었습니다.
아이폰과 영화 ‘터미네이터’의 공통점
2015.10.11
‘터미네이터’ 시리즈에 등장하는 킬러로봇 ‘T-1000’은 액체금속으로 만들어져 자유
자재
로 모습을 바꾼다. 최근 이런 영화 속 액체금속 기술이 부쩍 성장하고 있다. 영화 속 허구가 24년의 시간을 지나 현실로 들어오고 있는 셈이다. ● 美 연구진, 액체물질 순식간에 고체로 T-1000이 스크린에 ... ...
와이퍼 필요없는 자동차 나올까
2015.10.06
홀과 기둥 구조를 구현하는 데도 성공했다. 이는 유리 표면의 입자 모양을 자유
자재
로 조절할 수 있게 됐다는 의미여서 물을 튕겨내는 초소수성 기판, 액체의 흐름을 조절하는 미세유체칩 개발 등 물리적, 화학적 내구성이 요구되는 다양한 소자를 제작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김희탁 교수는 ... ...
롯데월드타워 첨탑부에 다이아무늬 새겨진 비밀은?
2015.09.25
자음 ‘ㅅ(시옷)’처럼 생겼다. 전현수 롯데건설 기술연구원 책임연구원은 “ㅅ자
자재
는 대각선(Diagonal)과 격자(Grid)를 합해 ‘다이아그리드’라고 불린다”며 “다이아그리드로 외벽을 만들면 한 층이 1074㎡(약 325평)인데도 층을 떠받들 내부 기둥을 세울 필요가 없다”고 말했다. ● ... ...
영화 ‘킹스맨’처럼 소리로 뇌세포 조종 성공
2015.09.15
특정 초음파 주파수에 반응하도록 만든 신경세포의 이온채널(TRP-4)을 켜고 끄는 등 자유
자재
로 제어하는 데 성공했다. 챌러사니 박사는 “TRP-4는 사람에게는 물론 원하는 세포에 인위적으로 만들 수 있는 이온채널”이라며 “초음파를 증폭시키는 역할을 하는 미세버블을 사람의 혈류 속에 흐르게 ... ...
도체-부도체 자유
자재
로 바꾸는 기술 첫 상용화
2015.09.09
새롭개 개발한 전류개폐기의 모습(오른쪽). 아래 쪽에 전류차단 기능을 하는 ’MIT’소자가 보인다. 기존 제품(왼쪽)에 비교해 절반정도 크기지만 성능과 내구성은 더 높아졌다. 가격 역시 2분의 1까지 떨어질 걸로 보인다.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제공 국내 연구진이 세계 최초로 존재를 확인한 ... ...
“지금은 4차 산업혁명 시대… 상상 이상의 변화올것”
2015.09.08
그는 4차 산업혁명의 ‘부작용’도 언급했다. 슈바프 회장은 “4차 산업혁명은 원
자재
시장 위축과 노동시장의 구조 조정 등 노동시장 전반에 큰 변화를 몰고 올 것”이라며 “원격조종과 자동화 기술이 테러리스트들의 공격 능력을 강화할 수 있는 만큼 국제 사회와 국가 안보도 이런 측면에서 ... ...
마블 히어로 ‘앤트맨’의 과학, 어디까지 사실일까
2015.09.04
영화적인 상상력”이라고 말했다. 앤트맨이 착용하는 슈트와 헬멧은 몸을 자유
자재
로 줄이고 늘리는 그 이상의 복잡한 기능이 필요하다. - 월트 디즈니 컴퍼니 코리아 제공 ... ...
‘쥬라기월드’ 최강 공룡과 ‘맞짱’ 뜬 안킬로사우르스, 비밀 병기는?
2015.08.31
기틀 구조가 먼저 완성됐다는 의미다. 어보어 연구원은 “뼈뭉치에 앞서서 뼈뭉치를 자유
자재
로 휘두를 수 있는 꼬리를 발달시킴으로써 꼬리를 가공할 무기로 진화시킨 것”이라고 설명했다. 연구결과는 학술지 ‘해부학지(Journal of Anatomy)’ 8월 31일자에 실렸다. ... ...
그래핀 따윈 버려! ‘포스포린 반도체’ 나왔다
2015.08.14
최형준, 이연진 연세대 물리학과 교수팀은 공동으로 포스포린에서 전류의 흐름을 자유
자재
로 제어하는 데 성공해 ‘사이언스’ 14일 자에 발표했다. 연구진은 포스포린의 밴드갭(bandgap·전자가 가질 수 없는 에너지 대역)이 0이 될 때 그래핀과 전도성이 비슷하다는 사실도 새롭게 밝혔다. ... ...
원하는 모양대로 만들 수 있는 신개념 리튬전지 개발
2015.08.11
가장 큰 과제는 배터리 공간의 확보”라며 “일상생활에서 입는 옷이나 사용하는
자재
들의 큰 모양 변화 없이도 배터리를 표면에 자연스럽게 부착해 사용할 수 있는 것이 큰 장점”이라고 설명했다. 연구결과는 나노분야 학술지인 ‘나노레터스’ 12일자에 실렸다. ... ...
이전
48
49
50
51
52
53
54
55
5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