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울나라
대한민국
모국
국내
스페셜
"
우리나라
"(으)로 총 1,081건 검색되었습니다.
[특별기고]우주는 이미 삶 속으로 들어와 있다
2019.07.17
위성 개발사에서도 똑같이 나타난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이 1999년 12월에 발사한
우리나라
첫 다목적실용위성 아리랑1호는 대표적인 사례로 손꼽힌다. 항우연과 미국 TRW사가 공동 개발한 이 실용급 지구관측위성은 대전 유성의 항우연 실험시설에서 마지막 발사를 앞두고 시험을 하던 중 간혹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숲을 늘려야 지구온난화 속도 늦춘다
2019.07.09
대신 남는 돈을 갖고 숲 복원 프로젝트를 진행하면 어떨까. ‘사이언스’ 논문에 따르면
우리나라
의 숲 잠재력은 554만 헥타르이고 실제 숲은 359만 헥타르다. 195만 헥타르를 숲으로 만들 여력이 있다는 말이다. 산림이 많이 황폐화된 북한의 경우 숲 잠재력은 733만 헥타르이지만 실제 숲은 343만 ... ...
[사이언스N사피엔스] 킬로그램, 130년 만의 전진
2019.06.27
48년, 1989년에 있었다. 도량형국이 갖고 있는 복제원기와 국가원기는 훨씬 자주 비교된다.
우리나라
는 주로 72번 원기를 들고 다녔다. 이쯤 되면 ‘인공원기 시스템’이 얼마나 불편한지 감이 올 것이다. 몇 년에 한 번씩 각 나라에서는 자국의 국가원기를 들고 프랑스로 날아가 도량형국의 복제원기와 ... ...
[강석기의 과학카페]사람마다 '약발' 다른 이유는 장내미생물
2019.06.25
인삼의 사포닌인 진세노사이드는 화합물K로 바뀌어야 장벽을 통해 흡수되는데,
우리나라
사람 세 명 가운데 한 명꼴로 이렇게 바꿔주는 효소가 없거나 부족하다고 한다. 이는 우리 유전자의 문제가 아니라 이 효소를 지닌 장내미생물이 있느냐 없느냐에 따른 결과다. 만일 필자의 장에 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복숭아와 아몬드 학명 뒤바뀐 운명
2019.06.18
어른은 50알, 아이들은 5~10알만 먹어도 사망할 수 있다. 물론 전적으로 수입에 의존하는
우리나라
에서는 비터 아몬드를 볼 기회가 없을 것이므로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 학명을 바꿀 수 있다면 아몬드로 대개는 도토리와 같은 견과류로 생각하지만 사실은 복숭아나 자두 같은 핵과에 해당한다. ... ...
[사이언스N사피엔스] 진시황은 왜 도량형을 통일했을까
2019.06.13
척도가 적용돼야 한다. 통일제국의 완성은 영토를 합치는 것 이상을 필요로 한다.
우리나라
도 1894년 갑오개혁 때 새로이 도량형을 통일한다는 내용을 포함했다. 고등학교 때 입시를 준비하면서 열심히 외웠던 대목이기도 하다. 도량형이 제멋대로면 결국 힘 있는 사람들 마음대로 척도를 늘렸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손가락 비율은 과학적 근거가 있을까
2019.06.11
‘발바닥 호문쿨루스’는 아무래도 아닌 것 같다. 다시 지도에 비유하자면 제주도가
우리나라
의 축소판으로 제주 시내는 서울, 서귀포 시내는 부산 이런 식이니 말이다. ‘이 양반, 서구 과학에 꽤나 치우쳐 있구만’하고 생각할 독자도 있겠지만 꼭 그런 건 아니다. 서구 과학 가운데서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고체이면서 동시에 초유체인 물질은 정말 존재할까
2019.06.04
준척급 붕어는 꽤 낚고 있음에도 월척 손맛은 아직 못 본 형국이다. 그런데 현재
우리나라
과학계라는 저수지에는 월척 붕어가 살고 있기나 한 걸까. 2004년 실험으로 존재 증명했지만 초고체는 고체이면서 초유체인 물질이다. 외부의 힘으로 구성 원자의 위치가 변해도 힘이 사라지면 원래대로 ... ...
[사이언스N사피엔스] 과학은 왜 어려운가
2019.05.30
벌린 입을 다물지 못했고 주변 어른들은 우레와 같은 환호와 박수를 보냈다. 역시
우리나라
초등학생들이 대단하긴 하다. 그 뒤로 나는 다시는 위화도 회군의 사례를 꺼내지 않았다. 참고자료 1. 숫자를 쓸 때 국제적인 공식 표기법은 세 자리마다 띄어쓰기이다. (https://en.wikipedia.org/wiki/Decimal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지구온난화가 영구동토 붕괴 부른다
2019.05.28
것도 문제다. 예를 들어 동부 시베리아와 캐나다, 알래스카를 포함한 100만㎢ 넓이(
우리나라
면적의 10배)의 예도마(Yedoma) 지역은 토양의 유기물 함량이 높고(탄소로 2%) 50~90%가 얼음이라 지구온난화에 특히 취약하다. 이곳에 매장된 유기탄소의 양은 1300억t으로 지구촌 76억 명의 활동으로 10년 동안 ... ...
이전
43
44
45
46
47
48
49
50
5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