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사람"(으)로 총 19,299건 검색되었습니다.
- [Culture] 지옥구더기의 분류학적 위치에 대하여과학동아 l2017년 12호
- 그로부터 온 마지막 메일 내용이 인사치레가 아닌 진실을 담고 있다면. 어디에 사는 사람이든, 어떤 종이든, 동료 학자의 연구가 잘 되었다는 이러한 소식은 축하해줄 가치가 있는 법이다. 『우리는 우리 사이의 토론에 대한 귀하의 도움에 최선의 감사를 표합니다. 생물체의 분류학적 위치에 대한 ... ...
- Part 1. 핫스팟을 찾아라!수학동아 l2017년 12호
- 푸드트럭에게 좋은 장소가 아니다. 반대로 캐나다와 미국 음식을 파는 곳이 많지않고 사람이 많은 던스뮤어 거리는 캐나다와 미국 음식을 파는 푸드트럭에게 최적의 장소로 꼽혔다. 연구팀은 이 같은 결과를 푸드트럭 존을 지정하는 데 쓸 수 있도록 밴쿠버 시에 전달했다. 연구팀은 모형을 조금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고대문명과 이슬람을 꽃피운 아라비아의 길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습하고, 풀과 나무가 무성해야 하며, 물을 마실 수 있는 호수도 있어야 하거든요. 고대의 사람들은 이처럼 비옥했던 초원에 살면서 아라비아만의 문화를 싹틔울 수 있었답니다.아라비아, 교역의 중심지였다!이번 전시에는 유독 사암으로 만들어진 석상이 많았어요. 선생님께서는 아라비아 지역에 ... ...
- Intro. 휴대전화에서 금을 찾아라! 도시광산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캐는 20년 경력의 베테랑 두더지 광부야. 아마 광산에서 금속을 캐는 데는 나를 따라올 사람이 없을 걸! 그런데 광부라면서 왜 산속이 아니라 도시에 있냐고? 그 이유를 지금부터 알려 줄 테니 따라와 봐~.▼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휴대전화에서 금을 찾아라! 도시광산Part 1. 수명이 다한 ... ...
- Part 2. [변신 2단계] 더 작게! 더 간편하게!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우리나라엔 이 기술을 1953년에 우장춘 박사가 최초로 선보였지요. 하지만 일부 사람들은 돌연변이란 이유로 거부감을 갖기도 한답니다.이에 한편에서는 전통적인 육종 방법으로 씨가 작은 품종을 만들고 있어요. 씨가 작은 수박이 씨가 큰 수박에 비해 우성 ●형질을 갖는 특성을 이용하는 거예요 ... ...
- [시사기획] 北 생화학 무기 개발, 어디까지 왔나과학동아 l2017년 12호
- 교수는 “면역 자극 방식이 너무 옛날식이라 백신 주사를 맞은 부위를 접촉하면 다른 사람에게 감염을 일으킬 수도 있고, 부작용도 발생하는 등의 문제가 남아 있다”고 말했다. 이 교수는 또 “최근에는 두창 백신을 어떻게 투여해야 하는지 제대로 알고 있는 인력조차 많지 않다”며 ... ...
- Part 4. 지금은 ‘미소년’ 시대과학동아 l2017년 12호
- 1. 뇌는 어떻게 얼굴을 인식하나Part 2. AI, 인공신경망으로 뇌 뛰어넘나[Infographic] 사람 vs. AI, 얼굴 인식 능력 비교Part 3. 40년 전 실종자 찾는 3D몽타주Part 4. 지금은 ‘미소년’ ... ...
- [Origin] 빅뱅 우주론의 수호자과학동아 l2017년 12호
- 그의 말대로 우주에서 우리의 위치를 생각해 볼 수 있을 것이다. 그 말에 희망을 품은 사람들이 한꺼번에 몰리면서 한때 논문을 공개한 웹사이트가 먹통이 됐다. 기자 역시 평소 그의 유명세가 아닌 연구 업적이 궁금했던 터라 논문을 내려받았다. 하지만 그의 논문은 무려 100페이지가 넘었고, 대학 ... ...
- [Culture] 보리 게놈지도 마침내 완성과학동아 l2017년 12호
- 맥주 제조에 중요한 특성들이 영향을 많이 받는다”며 “최근 수제맥주를 직접 만드는 사람이 많은데, 품질좋은 맥주 보리를 환경에 맞게 키워서만 사용해도 기존에는 없던 색다른 맛을 창조할 수 있다”고 말했다. 국산 맥주보리는 백호보리 외에도 호품, 광맥, 다이안, 이맥, 흑호 등 다양하다. ... ...
- [Origin] 그 많던 개미는 다 어디로 갔을까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즉 여왕개미 한 마리가 사라지면 향후 100군체가 사라지는 꼴이 된다. 동 씨는 “실제로 사람 손을 탄 곳과 안 탄 곳에서 볼 수있는 개미 종류나 개체 수가 확실히 다르다”고 말했다. 집으로 돌아가는 길, 동 씨에게서 메시지가 도착했다. 커다란 바위를 찍은 사진과, 그 바위 한 켠의 조각을 ... ...
이전48148248348448548648748848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