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사람"(으)로 총 19,299건 검색되었습니다.
- [Future] ‘ 마션 인 하와이 ’ 8개월의 기록과학동아 l2017년 11호
- 날씨도 1년 내내 큰 변화 없이 시원하고 건조한 편이다. 화성의 척박한 환경과 닮았다. 사람의 발길도 거의 닿지 않아, 화산 봉우리와 용암 대지뿐 아니라 용암동굴, 용암이 동굴을 뚫고 나오면서 생긴 구멍 등 실제 화성에서 볼 법한 지형이 많아 모의 탐사를 하기에 적합하다. 밖에 나갈 땐 ... ...
- Part 3. [생리의학상] 생체시계 유전자들의 하모니 ‘분자시계’ 규명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전형적인 ‘올빼미형’ 생활패턴을 갖고 있던 필자는 가장 많은 벌금을 내야 했다. ‘사람의 성실함이 아침형 인간과 올빼미형 인간의 생활패턴을 결정하는 것은 아닐 텐데, 혹시 내 올빼미형 생활 패턴은 부모님께 물려받은 것은 아닐까?’ 분자생물학 연구를 막 시작한 필자가 개인 차이를 ... ...
- Part 5. [노벨상 예측] 노벨상 제정 벌써 117년 향후 노벨상 탈 연구는과학동아 l2017년 11호
- 미국 데이터 분석 서비스 기관인 클래리베이트 애널리틱스(전 톰슨로이터 지적재산 및 과학분야 사업부)는 2013년부터 매년 주목할 만한 연구 분야 ... 뒤에 수여한다”며 “어떤 연구가 원숙한 뒤에야 그 연구 아이디어의 단초를 제공한 사람을 찾아 노벨상을 수여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 ...
- [Origin] 이기적 유전자는 왜 중요한가과학동아 l2017년 11호
- 복제자와 운반자를 명쾌히 구별하고 자연 선택의 단위는 복제자임을 처음 역설한 사람은 도킨스였다. 사실, 도킨스는 윌리엄스의 책이 나오기 전부터 자신의 동물행동학 강의에서 유전자는 ‘이기적’이라고 가르쳤다고 자서전에서 회고했다(독자들이 못 믿을까 봐 유전자는 ‘이기적’이라고 ... ...
- Part 1. 기이한 술법 3가지수학동아 l2017년 11호
- 레오나르도 다 빈치부터 독일의 오토 릴리엔탈, 미국의 라이트 형제까지 수많은 사람이 새의 날개를 대체할 수 있는 기계를 만들며 하늘을 나는 방법을 연구했습니다. 그런데 이런 노력이 무색하게도, 날개 없이 하늘을 날 수 있는 동물이 있습니다. 바로 날다람쥐입니다. 날다람쥐는 옆구리에 달린 ... ...
- Intro. 가볍게, 튼튼하게, 유연하게 기하학으로 만드는 로봇수학동아 l2017년 11호
- 애니메이션에서 등장하는 사람이 올라타 조종하는 대로 움직이는 거대한 로봇을 두 눈으로 보게 될 날이 올까요? 상상 속의 이야기만은 아니에요. 실제로 거대로봇이 하나둘 등장하고 있지요. 이뿐만이 아니에요. 우리의 상상력을 자극하는 신개념 로봇이 많이 생기고 있어요. 중요한건 이런 ... ...
- Part 4. 거대로봇, 기하학으로 일어서다수학동아 l2017년 11호
- 않나요? 실제로 사람이 조종석에 타서 조종간을 움직이면 130kg이나 되는 로봇팔이 사람의 동작을 흉내 내 움직여요. 움직이는 방식뿐만 아니라, 걷고 동작할 때 나는 소리도 영화에서 들었던 것과 흡사하지요. 궁금한 독자는 아래의 QR코드를 스캔해 보세요. 메소드-2에서 특히 주목할 점은 두 발로 서 ... ...
- 통계 법정 사건의 재구성수학동아 l2017년 11호
- [사건파일 1] 도미노 슈가 대 도미노 피자 도미노 피자와 도미노 슈가, 도미노라는 말이 똑같이 들어가 같은 회사 식품이라고 오해하기 쉽지요? 도미노 피자가 출시 ... 우리의 몫입니다. 앞으로 통계 공부를 열심히 해야겠지요? 저 도도한은 통계로 억울한 사람이 생기면 또 돌아옵니다 ... ...
- Part 2. 사람이 만들고 바람이 키운 산불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1호
- 보시려면?Intro. 긴급취재, 산불을 막아라!Part 1. 72시간 동안 태백산맥이 활활~!Part 2. 사람이 만들고 바람이 키운 산불Part 3. 꺼진 불도 다시 보는 진화 작전Part 4. 산불 이후 숲은 어떻게 될까?Part 5. 숲 속의 다람쥐는 언제쯤 ... ...
- [과학뉴스] ‘뇌 하수구’로 치매 해결책 찾나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최근 미국 국립보건원(NIH) 산하 국립신경질환및뇌졸중연구소(NINDS) 연구진이 건강한 사람의 뇌를 자기공명영상(MRI)으로 촬영해, 뇌에 생긴 노폐물이 쌓이지 않도록 흘려버리는 ‘하수구’가 있다는 사실을 처음으로 밝혀냈다. 바로 뇌를 둘러싸고 있는 막 중 가장 바깥쪽인 경막에 있는 림프관이다. ... ...
이전48448548648748848949049149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