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빛
라이트
불빛
광
빔
들보
레이저광선
뉴스
"
광선
"(으)로 총 516건 검색되었습니다.
엇, 추워! 지구 북극만큼 차가운 갈색왜성 발견
과학동아
l
2014.04.28
태양계 가까이 있지만 지금까지 발견되지 못했던 이유는 이 갈색왜성이 가시
광선
을 거의 반사하지 않아 어둡게 보이기 때문이다. 미 펜실베이니아주립대 천문학과 케빈 루만 교수팀은 미국 항공우주국(NASA)의 광역적외선탐사망원경을 통해 갈색왜성이 내뿜는 적외선을 관찰해 찾을 수 ... ...
‘누드’ 노트북에 쓰일 ‘누드’ 메모리소자 탄생
과학동아
l
2014.04.23
김태근 고려대 전기전자공학부 교수팀은 '환원 그래핀 산화물(RGO)'의 특성을 활용해 가시
광선
을 80% 이상 투과하는 메모리소자 제작기술을 개발했다고 23일 밝혔다. 투명한 전자기기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가운데, 지금까지 메모리소자로 널리 쓰였던 실리콘은 불투명하다는 점이 한계로 ... ...
괴테는 어떻게 꽃이 잎의 변형기관이라는 사실을 알았나
2014.04.21
물리학자 아이작 뉴턴의 ‘광학’에 도전장을 던졌다. 그는 이 책에서 색채는 단색
광선
의 결합 정도에 따라 결정된다는 뉴턴 광학은 폐기해야한다며 색채 현상은 밝음과 어둠의 양극적 대립 현상으로 봐야한다고 주장했다. 괴테는 “내 문학작품은 다른 사람들도 쓸 수 있는 것이지만 ... ...
와이퍼 없는 자동차 유리 ‘실용화’ 성큼
과학동아
l
2014.04.20
이산화티타늄을 관찰하며 여러 가지 실험을 반복했다. 이 결과 이산화티타늄이 가시
광선
과 근적외선을 흡수할 경우 표면에 전자가 생기고, 이 전자와 공기 중에 있는 물분자가 반응해 독특한 ‘흡착물층’이 생성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이 흡착물층은 다시 물방울을 강한 인력으로 끌어당겨 ... ...
거실 유리로 TV 볼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14.04.14
470nm(나노미터, 10억 분의 1m) 이하 파장대역을 차단해 내부 반도체를 지키는 동시에 가시
광선
이 투과할 수 있도록 해 투명성과 안전성 두 마리 토끼를 한 번에 잡았다. 연구팀은 “실내외 다양한 환경에서 안정적으로 작동되는 투명디스플레이를 개발할 수 있을 것”이라며 “제조공정이 비교적 ... ...
이게 바로 무인기의 세계
과학동아
l
2014.04.04
굴곡이나 물체에 반사된 전파를 받아 영상을 만드는 합성개구레이더(SAR)를 비롯해 가시
광선
, 적외선을 식별할 수 있는 센서가 모두 달려 있다. 지상에 있는 30cm 크기의 물체를 구별할 수 있을 정도로 촘촘히 감시한다. 이와 함께 지상에서 움직이는 타깃만을 찾는 모드도 작동시킬 수 있어 더욱 ... ...
명화(名畵)는 대기오염을 알고 있다
과학동아
l
2014.03.30
‘대기화학과 물리학(Atmospheric Chemistry and Physics)’ 25일자에 발표했다. AOD는 가시
광선
영역의 빛이 얼마나 산란·흡수됐는지 나타내는 지수다. 이 값이 크다는 것은 대기 중에 에어로졸이 많고 산란이 활발하게 일어나 하늘의 붉은 빛도 강해졌다는 의미다. 연구진은 각 시기별 풍경화의 AOD ... ...
X-선으로 나노세계 손바닥 보듯 들여다본다
동아사이언스
l
2014.02.19
최근에는 ‘나노세계를 관찰하는 눈’으로서 X-선의 역할이 더 커지는 추세다. 가시
광선
으로는 관찰할 수 없는 미세한 크기의 나노 구조가 꾸준히 개발됨에 따라 연구자들은 나노물질을 구성하는 원자와 분자를 정밀하게 관찰할 수 있는 'X-선 광원' 개발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이 ... ...
1억 년에 1초 틀린다… 최고 정밀도 원자시계 국내서 만들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14.02.17
원자의 진동수를 측정하기 위해 ‘광격자 기술’을 자체 개발했다. 광격자 기술은 레이저
광선
을 사방에서 쏘아 레이저로 가상의 상자를 만들어 그 속에 원자를 가두는 기술이다. 그런 뒤 다른 종류의 강한 레이저빔을 이터븀 원자에 쏘아 진동수를 측정했다. 연구팀은 이번에 개발한 광격자 ... ...
버려지는 태양광에너지까지 잡아 발전량 늘린다
동아사이언스
l
2014.02.13
융합발전시스템’을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고 13일 밝혔다. 실리콘 태양전지는 가시
광선
영역인 300~1100nm(나노미터·1nm는 10억분의 1m) 파장의 태양광만을 활용해 전기를 만들도록 돼 있다. 이는 전체 태양에너지의 60% 수준으로, 나머지 40%는 그대로 버려진다. 연구팀은 버려지는 이 40%의 ... ...
이전
44
45
46
47
48
49
50
51
5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