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개소
d라이브러리
"
데
"(으)로 총 12,271건 검색되었습니다.
성곽 길 따라 즐기는 수학
데
이트
수학동아
l
2015년 07호
없어요. 결국 화성은 적의 침입을 허용하지 않는 철옹성이었던 거예요! 설마 이번
데
이트로 화성을 다 알았다고 생각하는 것은 아니겠죠? 이곳의 생활상이나 궁중의식 같은 무형문화재도 살펴봐야 화성이 가진 매력을 더 많이 느낄 수 있답니다. 이를 충족시켜줄 곳이 바로 인근에 있는 ... ...
캘리그래피에 담은 수학자의 명언 판곡중학교 김상미 선생님
수학동아
l
2015년 07호
수학 수업은 물론 학생들이 어떤 꿈을 갖고 있는지에도 관심이 많았다. 꿈이 있는
데
어떻게 이룰지 모르는 학생들에게 도움이 되고 싶다며 인터뷰가 끝난 뒤에 기자에게 ‘과학기자가 되는 방법’을 취재해 가기도 했다. 에너지가 넘치는 사람은 주변에 그 힘을 전파한다더니 김상미 선생님이 딱 ... ...
반사경이 반짝반짝! 표준연구원 우주광학센터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7호
이 첫 번째 부경을 만드는
데
무려 5년이 걸렸대요. 지름 1m 남짓의 거울 한 장을 만드는
데
왜 이렇게 오래 걸린 걸까요?“GMT는 8.4m짜리 주경 7장을 꽃잎처럼 붙여서 사용해요. 부경 역시 주경과 똑같이 꽃잎 형태를 하고 있지요. 그래서 중앙 거울을 제외한 나머지 거울은 모두 곡면을 비대칭으로 ... ...
Part 3 특종 인공번개 쏴라~
수학동아
l
2015년 07호
사람이 직접 번개를 만들어 에너지를 얻기까지 한다는 사실이 믿기지 않았다. 그런
데
옆에서 덤덤히 설명하고 있던 번개사냥꾼이 갑자기 씨익 웃으면서 총을 꺼내들었다! 그리고 눈앞에 있던 빈 깡통을 쐈다. 깡통은 움츠러들면서 작아졌다. “내가 개발하고 있는 전자총이에요. 작은 인공번개를 ... ...
[생활] 우주로 떠나는 시간여행 천문학
수학동아
l
2015년 07호
고 연구원은 “갈수록 처리해야 하는
데
이터의 양이 급속도로 늘고 있어 SW를 활용해 빅
데
이터를 통계적으로 분석하는 능력도 점점 중요해지고 있다”고 말했다 ... ...
PART 1 인공지능 디스토피아는 없다
과학동아
l
2015년 07호
수준인 20mW다. 연구팀은 이 칩으로 사람과 자동차 등의 물체를 실시간으로 식별하는
데
성공했다. 괄목할만한 성과지만, 비슷한 전력량으로 두뇌가 처리하는 정보량에 비하면 턱없이 작다. 박전규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음성처리연구실장은 “사람은 초당 1.8페타바이트를 계산한다”며 “현존하는 ... ...
마법의 생물, 달팽이
과학동아
l
2015년 07호
우크라이나의 자연사진작가 비아체슬라브 미센코는 달팽이를 '마법의 생물'이라고 표현한다. 부드럽고 고무줄 같은 몸만 신기한게 아니다. ... 하면, 몸을 길게 늘어뜨려 먼 거리를 훌쩍 뛰어넘기도 한다. 무거운 집을 매달고 있는
데
도 힘든 기색 하나 없다. 그리고 무엇보다, 호기심이 많다 ... ...
외상후스트레스장애(PTSD)줄이려면 면역력을 높여라
과학동아
l
2015년 07호
면역력을 강화하면 외상후스트레스장애 (PTSD)를 예방·치료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미국 콜로라도 볼더대 신경과학과 크리스토퍼 로리 교수는 6월 12일 ... 상대적으로 공포감을 덜 느꼈다. 로리 박사는 “면역력을 강화하는 것이 PTSD를 치료하는
데
효과를 보인 셈”이라고 밝혔다 ... ...
소프트 로봇, 개미 산 채로 집어 들다
과학동아
l
2015년 07호
특수한 튜브로 로봇 촉수를 개발해 가슴둘레가 400μm인 개미를 다치지 않게 들어 올리는
데
성공했다.연구팀은 마이크로튜브가 공기를 넣으면 펼쳐지고 빼면 돌돌 말리는 성질을 이용해 촉수를 움직였다. 성능 평가 결과 반지름이 185μm인 물체를 최소 0.78mN의 힘으로 들어 올릴 수 있는 것으로 ... ...
“건설환경의 패러다임이 바뀔 것”
과학동아
l
2015년 07호
돈은 알아서 따라올 거예요. 학생들이 어떤 산업이 가장 비전이 있냐는 질문을 자주 하는
데
, 그건 전혀 중요하지 않아요. 그건 산업의 비전이지 학생 본인의 비전이 아니잖아요. 본인이 좋아서 선택한 일이 최고의 비전을 가진 일입니다 ... ...
이전
491
492
493
494
495
496
497
498
49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