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개소
d라이브러리
"
데
"(으)로 총 12,271건 검색되었습니다.
[Knowledge] 옛 지구의 속살을 보다
과학동아
l
2015년 07호
피부과 전문의이며 의학박사다. 진료시간 이외에는 행성 지구와 우주의 신비를 탐구하는
데
매진하고 있다.김지현_voyages@hanmail.net과학동아 별학교장. 우주과학작가로 활동하며 ‘별헤는 밤 천문우주실험실’ ‘별 가족 태양계 탐험을 떠나다’ 등의 책을 썼다 ... ...
상상력이 둥둥~! 인공섬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7호
LNG-RV보다 훨씬 큰, 에너지 저장용 인공섬이 해안가에 설치되고 있지요. LNG-FSRU라고 부르는
데
, ‘떠 있는 LNG 저장 및 공급 장비’라는 뜻이에요. LNG는 일상 생활에서 중요하게 쓰이는 연료지만, 이 연료를 저장할 정도로 크면서도 모든 자연재해에서 안전한 공간을 육지에서 찾기는 힘들어요. ... ...
Part 3 특종 인공번개 쏴라~
수학동아
l
2015년 07호
사람이 직접 번개를 만들어 에너지를 얻기까지 한다는 사실이 믿기지 않았다. 그런
데
옆에서 덤덤히 설명하고 있던 번개사냥꾼이 갑자기 씨익 웃으면서 총을 꺼내들었다! 그리고 눈앞에 있던 빈 깡통을 쐈다. 깡통은 움츠러들면서 작아졌다. “내가 개발하고 있는 전자총이에요. 작은 인공번개를 ... ...
수학이 불러온 생물학 혁명
수학동아
l
2015년 07호
종이 공존하며 생태계를 이루는 것을 말합니다. 같은 먹이를 놓고 여럿이 경쟁하는
데
도 모두 살아남는다는 말이죠.예전에는 자원의 양이 다양한 종을 수용할 수 있기 때문이라고 봤습니다. 하지만 이런 설명은 시간이 흘러도 각 종의 개체수가 거의 일정할 것이라는 가정 아래에서만 가능하죠. ... ...
[생활] 우주로 떠나는 시간여행 천문학
수학동아
l
2015년 07호
고 연구원은 “갈수록 처리해야 하는
데
이터의 양이 급속도로 늘고 있어 SW를 활용해 빅
데
이터를 통계적으로 분석하는 능력도 점점 중요해지고 있다”고 말했다 ... ...
캘리그래피에 담은 수학자의 명언 판곡중학교 김상미 선생님
수학동아
l
2015년 07호
수학 수업은 물론 학생들이 어떤 꿈을 갖고 있는지에도 관심이 많았다. 꿈이 있는
데
어떻게 이룰지 모르는 학생들에게 도움이 되고 싶다며 인터뷰가 끝난 뒤에 기자에게 ‘과학기자가 되는 방법’을 취재해 가기도 했다. 에너지가 넘치는 사람은 주변에 그 힘을 전파한다더니 김상미 선생님이 딱 ... ...
달에서 씽씽 달려라~! 한국형 달 탐사 로버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6호
로버와 영상을 주고받을 수 있지요.”달에 있는 로버가 보낸 통신을 지구에서 받는
데
걸리는 시간은 3초. 그러니까 우리가 보는 영상은 로버가 3초 전에 찍은 영상이 될 거예요. 7분이 걸리는 화성에 비하면 로버의 주변 상황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는 셈이지요. 그래서 로버는 자동운전 기능을 ... ...
[가상 인터뷰] 문어는 회전대칭 구조!
수학동아
l
2015년 06호
옆으로 움직이는 모습을 보여줄 수 있나요?어느 기자나 저더러 옆으로 움직여달라고 하는
데
참 피곤하네요. 어디로든 움직일 수는 있지만 저도 좋아하는 방향이 있습니다. 전 좌우 30°에서 60°사이 방향으로 움직이는 걸 좋아합니다. 제 움직임을 분석해보니 이 방향으로 가장 많이 움직였다더군요. ... ...
아이돌 매니저의 스타 만들기
수학동아
l
2015년 06호
온라인에 입소문이 많이 퍼지면 영화가 개봉한 뒤 일주일 동안 관객을 많이 모으는
데
도움이 된다. 그 다음부터는 댓글과 별점 같은 평가 내용이 긍정적일수록 관객 수가 늘어난다. 그럼 입소문 내기 전략은 어떻게 세워야 할까?입소문은 아는 사람에게 직접 듣는 경우와 모르는 사람에게 듣는 ... ...
[생활] 22년 만에 다시 펼쳐진 공룡 세상 쥬라기 월드
수학동아
l
2015년 06호
몸집에 비해 머리가 큰 탓에 빠르게 달리지 못했을 거라고 추정했다.그런
데
최근 티라노사우루스가 오명을 벗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캐나다 앨버타대 고생물학자인 스콧 퍼슨 박사는 공룡의 골반뼈 화석을 관찰한 결과 허벅지뼈와 꼬리를 잇는 근육인 ‘대퇴꼬리근’이 붙어 있었던 증거를 ... ...
이전
493
494
495
496
497
498
499
500
50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