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쇠사슬
철쇄
밧줄
d라이브러리
"
사슬
"(으)로 총 650건 검색되었습니다.
① 극한의 생존자 미생물 수색
과학동아
l
2001년 05호
마그네토탁티쿰’(Magnetospirillum magnetotacticum)이라는 세균은 진주 목걸이 모양으로
사슬
형태를 한 마그네토좀을 가진다.지난 2월 27일 미국 과학자들은 미국학술원회보를 통해 지구의 자기주성세균이 생성하는 자철광 결정과 ‘ALH84001’ 내부에서 발견된 자철광 결정의 화학적 성분과 물리학적 특성이 ... ...
Ⅲ 이제는 포스트게놈 시대다
과학동아
l
2001년 03호
기능을 추측하는 연구를 병행하고 있다. 즉 유전자의 DNA 염기 서열 정보로부터 아미노산
사슬
의 정보를 얻고 이로부터 해당 단백질의 구조를 만들어 약물을 설계한다는 것이다. 지금까지 입체 구조가 알려진 수많은 단백질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있는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면 새로 밝혀진 단백질의 ... ...
광우병'은 소만 걸리는 병인가
과학동아
l
2001년 03호
가장 타당하다고 받아들여지고 있다.2 동물성 사료 왜 문제인가건강한 소의 먹이
사슬
에 걸린 병든 양소들이 동물사료를 먹는다고 모두 광우병에 걸리는 것은 아니다. 1986년 세계 최초로 영국 농가에서 양에게만 발병하는 것으로 알려져 왔던 스크래피와 같은 스펀지모양뇌염으로 소 한마리가 ... ...
뱀의 해 , 나라 앞날 걱정한 지혜의 영물
과학동아
l
2001년 01호
주는 도움은 눈에는 보이지는 않지만 실로 엄청나다. 거의 모든 뱀들은 생태계 먹이
사슬
에서 중간자 역할을 하고 있다. 다시 말하면 축구에서 중간 수비수라고 할 수 있다. 뱀은 쥐와 같은 1차소비자들을 잡아먹어, 이들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막아 생태계의 균형을 유지하는 중요한 ... ...
소음이 있어야 더 잘 들린다
과학동아
l
2000년 12호
한다. ‘소음공명현상’이 바로 그 주인공이다.바닷가재가 살아남는 법먹고 먹히는 먹이
사슬
로부터 한치도 자유로울 수 없는 동물들에게 있어 가장 중요한 기관 중의 하나는 감각기관이다. 바닷가재는 꼬리 끝에 털이 달린 감각세포가 존재하는데, 포식자의 접근을 알아채는 중요한 임무를 ... ...
3. 정보의 홍수로부터 해방 인간게놈프로젝트
과학동아
l
2000년 09호
달려있다. 따라서 단백질이 접히는 과정을 해명하는 것은 대단히 중요한 일이다.단백질
사슬
하나는 보통 아미노산 1천개를 가지고 있어 아미노산 사이의 연결부위는 10개의 배열을 가질 수 있으므로,1개 단백질이 취할 수 있는 접힌 헌태의 수는 엄청나다.3백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되는 비교적 짧은 ... ...
제임스 왓슨의 이중나선
과학동아
l
2000년 08호
수행하고 있던 윌킨스와 프랭클린의 X-선 사진, 폴링이 제안한 단백질의 폴리펩티드
사슬
, 그리고 α-나선 구조에 대한 연구결과들이 많은 힌트가 됐다. 물론 최종적으로는 왓슨과 크릭이 DNA의 이중나선 구조를 가장 먼저 발표하는 영예를 거머쥐게 됐지만 말이다.공동연구와 팀워크의 중요성 ... ...
과학관 2백배 즐기기
과학동아
l
2000년 08호
곳과 달리 많은 종류의 생물이 서식한다.곤충들의 유충이 많고 그것을 먹이로 하는 먹이
사슬
이 생겨 작은 생태계가 이뤄지기 때문이다.이것은 관찰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강화도의 갑곶돈대 성벽도 그냥 지나치지 않으면 생각해볼 것이 많다.성벽의 연결부위는 시야를 확보하기 위해 특별한 ... ...
레이첼 카슨의 침묵의 봄(Silent Spring)
과학동아
l
2000년 07호
증거를 제시하며 설명한다.호수 속의 작은 벌레를 죽이기 위해 사용한 화학물질은 먹이
사슬
의 모든 생물체 내에 차곡차곡 축적되고, 해충을 박멸하기 위해 사용한 살충제 때문에 해충들의 내성은 더욱 더 강력해진다. "과학이 가장 끔찍한 현대 무기로 무장한 채 곤충을 향해 총부리를 들이대고 ... ...
공룡 번성과 몰락의 시나리오
과학동아
l
2000년 06호
매우 적은 숫자의 새끼가 부화됐을 가능성이 크다. 이렇듯 종족번식이 줄어들어 먹이
사슬
이 완전히 무너지게 된 것이다. 인류탄생의 계기그렇다면 진실은 무엇일까. 아무도 확실히 알지 못한다. 명백히 지구의 기후는 백악기 말로 갈수록 변하고 있었다. 또한 두개의 큰 재앙, 운석충돌과 대규모의 ... ...
이전
45
46
47
48
49
50
51
52
5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