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쇠사슬
철쇄
밧줄
d라이브러리
"
사슬
"(으)로 총 650건 검색되었습니다.
통통 튀는 얌체공 플러버 만들기
과학동아
l
1999년 05호
결합이 일어나지 않아 부서지는 것을 볼 수 있다.폴리비닐알코올과 붕사가 결합하면 긴
사슬
구조가 만들어지낟. 이것이 고무의 특징을 갖게 만든다. 합성 고무는 탄성이 크다. 즉 통통 튀는 플러버를 만들 수 있는 것이다. 고무는 원래 길이의 8배까지 늘어난다. 고무를 이루는 분자는 길고 가늘어서 ... ...
현대판 '열려라 참깨' 염력은 존재하는가
과학동아
l
1999년 03호
바울과 실라는 기도하면서 하느님을 찬미하고 있었다. 그때 갑자기 그들을 묶은 쇠
사슬
이 풀리고 감옥 문이 열렸다(사도행전 16:25-26).영국 태생의 다니엘 던글라스 흄(1833-86)은 19세기 유럽에서 활약한 전설적인 영매이다. 그는 공중부양(levitation)의 명수였다. 1868년 런던에서 흄은 사람들이 지켜보는 ... ...
신화속의 태양계
과학동아
l
1999년 02호
새로운 무기와 응원군 덕분에 티탄족을 물리칠 수 있었다. 싸움에서 진 티탄족은 모두 쇠
사슬
에 묶여 어두운 지하로 떨어졌다. 이로써 제우스는 하늘과 땅을 지배함은 물론 신들의 왕좌에 올랐고, 하데스는 지하세계를, 포세이돈은 바다를 다스렸다. 이는 제1세대 신족인 티탄족이 망하고, 제2세대 ... ...
① 생명의 으뜸원소
과학동아
l
1999년 01호
휘발유가 물과 섞이지 않듯이 이중막의 탄화수소 꼬리가 소수성인 이유는 긴 탄소의
사슬
에 ‘수소’가 결합돼 있다는 데 있다. 수소와 탄소의 전기음성도(전자를 끌어들이는 정도)가 비슷하기 때문에 수소와 탄소 사이의 결합 극성이 아주 낮아서 극성이 높은 물과 서로 잘 섞이지 않게 되는 것이다 ... ...
삶의 지혜 듬뿍 담긴 주방
과학동아
l
1998년 12호
기름을 테플론 코팅에 떨어뜨렸을 때 팬에 스며들지 않은 것을 볼 수 있다. 테플론의 긴
사슬
이 서로 조밀하게 엉겨서 다른 분자들이 스며들 공간이 없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어떻게 팬에 테플론 코팅을 할까. 방법은 팬의 표면을 아주 거칠게 해서 테플론을 달라 붙게 만드는 것이다. 코팅 ... ...
천재과학자들의 엉뚱한 행동
과학동아
l
1998년 10호
같았다.케쿨레는 뱀이 꼬리를 무는 장면에서 힌트를 얻어 긴 고리의 양 끝을 연결해 닫힌
사슬
구조를 연상해냈다. 이 고리 구조는 이후 X선 검사를 비롯한 근대적 검사법에 의해 옳다는 점이 증명됐다 ... ...
단백질 구조 밝힌 생화학의 선구자들
과학동아
l
1998년 09호
극성을 효율적으로 중화시키고, 새로운 비공유성 작용을 극대화해 생겨난 부분 구조다.곁
사슬
에 있는 원자들이 다른 원자들과 반발하거나 끌어당기는 것에 영향을 받아, 아미노산의 배열 순서에 따라 2차 구조의 종류가 달라진다. 3차 구조는 2차 구조들이 3차원 공간상에서 배열된 상태로 비로소 ... ...
Ⅰ 네개의 팔로 온갖 조화 부린다
과학동아
l
1998년 08호
조화를 부리기 어려운 원소가 바로 규소다. 또 탄소화합물은 탄소의 수가 증가할수록
사슬
모양, 가지모양, 고리 모양 등의 다양한 구조를 만들 수도 있다. 만약 과학자들이 조물주가 돼 새로운 생명체를 탄생시킨다면 무엇보다도 탄소를 이용할 것이라고 하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생명의 ... ...
Ⅱ 생사를 넘나드는 생명의 조절자
과학동아
l
1998년 08호
제공하고 있다. 이 에너지 분배과정인 탄소순환에는 생물들간 먹고 먹히는 먹이
사슬
이 이뤄진다. 즉 생물의 생존경쟁이 여기서부터 시작된다. 지구상의 생물은 탄소순환에 절묘하게 편승해 에너지를 얻어 살아가고 있다.한편 지구환경에는 또 다른 형태의 탄소순환이 있다. 어패류와 산호 같은 ... ...
무인도 생존법
과학동아
l
1998년 08호
뱀이 나타날 확률은 희박하다. 왜냐하면 뱀의 먹이가 될 개구리, 메뚜기 등의 먹이
사슬
이 형성되지 않기 때문이다. 또다른 것으로 거미나 지네 등을 들 수 있는데 이들은 사람이 있는 곳에는 거의 나타나지 않으므로 염려할 필요가 없다. 왜냐하면 거미나 지네들은 사람의 체취를 느끼고 다가서지 ... ...
이전
47
48
49
50
51
52
53
54
5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