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견본
샘플
모형
실례
본보기
모본
자모
뉴스
"
표본
"(으)로 총 572건 검색되었습니다.
국립수목원에 사는 9가지 귀화식물을 찾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6.10.31
앱에 올리면 귀화식물의 전국 분포를 알 수 있지요. 찾은 귀화식물은
표본
으로 만들었다. - 김정 기자 ddanceleo@donga.com 제공 라이노비틀즈 팀의 곽수진 학생은 “가을 귀화식물에 대해 깊이 있게 탐사해서 무척 유익했다”며, “다음 교육 때도 참가해 더 많은 귀화식물에 대해 ... ...
“실험도 온라인으로 배울 수 있나요?”
2016.10.16
망원경이 관측한 내용을 온라인에서 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가상의 현미경을 이용해
표본
의 고해상도 이미지를 관측할 수도 있다. 더 혁신적인 시도도 진행되고 있다. 미국 스탠퍼드대는 2013년부터 온라인 생물학 실험실을 구축하기 시작했다. 사람들이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는 온라인 생물학 ... ...
나무 종 수 10% 줄어들면 숲의 혜택도 ‘2~3%’ 준다
2016.10.14
년부터 2012년까지 모은 지리산과 백운산
표본
도 포함됐다. 량 교수팀은 이렇게 모은
표본
들을 분석해 나무의 종 수에 따라 달라지는 숲의 성장 속도를 분석했다. 그 결과 전 세계 숲의 99.87%는 생물다양성이 줄어들면 산림생산성 역시 떨어진다는 것을 알아냈다. 나무 종의 수가 10% 줄어들면 숲의 ... ...
김치에서 쏙~ 뽑아낸 유산균, 장염치료 효과 확인
2016.10.12
많이 먹는 한국인에게 적합하다. 연구진은 2013년부터 전국 가정집 및 식당의 김치
표본
을 모아왔다. 연구진은 김치 속 미생물을 추출해 미생물유전자은행(MGB)을 구축하고, 기능성 프로바이오틱스 제품으로 만들기 위해 연구해 왔다. 현재 연구진은 약 3만5000균수의 유산균을 보유하고 있다. 장 ... ...
지진에 가장 위험한 나라 15개 꼽아보니
동아사이언스
l
2016.10.03
설정된 곳이다. 뉴질랜드, 덴마크 등 국제 공동연구진은 다량의 양서류와 포유류
표본
을 이용해 열대 우림 지역의 종이 우리가 생각한 것보다 더 다양하다는 연구결과를 학술지 ‘사이언스’ 30일자에 발표했다. 인간이 자연을 연구한 역사는 길지만 아직 우리의 지식은 자연의 모든 것을 ... ...
세살 적 ‘운동 유전자’ 여든까지 간다
2016.09.27
실험을 반복했다. 다만 이번엔 두 다리를 모두 이용해 운동하게 했고, 운동 전후의 근육
표본
을 채취해 유전자의 변화를 측정했다. 실험에 참가한 사람은 과거 운동을 진행했던 한 쪽 다리에 특정 유전자들이 남아 있었다. 연구진은 이렇게 ‘운동형’으로 바뀐 다리는 휴식 기간 후에도 더 쉽게 ... ...
거미
표본
15만점… 캠퍼스의 스파이더맨
2016.09.08
귀중한 자료로 쓰이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김 교수는 국내 거미종의 대부분을
표본
으로 갖고 있다. - 건국대 김승태 교수 제공 1896년 아일랜드 곤충학자 '토마스 워크만'이 쓴 '말레이시아 거미'의 초판은 김 교수가 가장 아끼는 수집품이다. - 신수빈 기자(sbshin@donga.com) 제공 ... ...
한국 노인에 꼭 맞는 표준 뇌 모형 개발
과학동아
l
2016.09.07
뇌가 없어 정확한 연구결과를 내는 데 어려움이 있었다”며 “한국 노인들만을 대상으로
표본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한 만큼, 향후에 건강대조군으로 활용한다면 연구비를 줄이고 연구 기간을 단축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대한신경정신의학회지 최근호에 게재됐다 ... ...
안전한 연구실 작년보다 5% 늘었다… 화학분야 관리 여전히 미흡
2016.08.23
제대로 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미래부는 이번 조사 과정에서 연구실 1635개를
표본
으로 뽑아 화학, 생물안전 등 8개 분야에 대한 점검을 병행했다. 안전관리가 미흡한 부분을 총 2101건 발견했는데 화학안전 분야가 692건으로 전체 지적사항의 33%를 차지했고, 전기안전 375건(18%), 산업위생 328건( ... ...
파충류를 위한 커튼콜
과학동아
l
2016.08.03
양서파충류학자 에드워드 테일러가 처음 채집해 학계에 보고했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이
표본
들은 제2차 세계대전 때 폭격으로 잿더미가 돼버렸다. 그 후 거의 100년 동안 야생에서 이 거북을 본 과학자는 아무도 없었다. 그래서 많은 과학자들이 필리핀숲거북이 멸종해버린 게 아닌가 걱정했다. ... ...
이전
45
46
47
48
49
50
51
52
5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