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벌레
곤충
대충
chung
d라이브러리
"
충
"(으)로 총 189건 검색되었습니다.
환상의 짝꿍 공생 없인 못살아!
어린이과학동아
l
201105
사람에게까지 독성이 미칠 수 있어. 하지만 해
충
에 공생하는 박테리아를 이용하면 해
충
만을 없앨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 될 거야.식물을 키워 주는 공생 박테리아스위스 로잔대학교 연구팀이 쌀의 성장 속도를 5배나 빠르게 해 주는 공생 곰팡이를 발견했어. 이 곰팡이는 뿌리와 공생하는 ... ...
Part2. 꿈의 기술? 아직 피지 못한 꽃?
과학동아
l
201104
때만 뽑아 쓸 수 있는 전력저장 장치도 만들 수 있다. 저항이 없어 효율이 대단히 높고
충
·방전 속도가 빠르며 수명이 길다. 초전도 전력저장 장치는 순간적으로 전력 사용량이 급증하거나 낙뢰 사고가 났을 때 전력을 안정적으로 공급하는 데 쓰인다. 정전이 되면 수백억 원의 손해를 입는 반도체 ... ...
별별 2011 토끼 이야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101
귀여운 외모로 나는 애완토끼계의 인기순위 1위를 독차지하고 있어~. 훗! 알비노 토끼깡
충
! 난 순백의 털색을 자랑하는 알비노 토끼야. 내 몸은 눈과 귀에 보이는 핏줄 빼곤 온통 흰색이지. 내 몸이 이렇게 하얀 이유는 흑갈색을 띄는 멜라닌 색소가 없기 때문이야. 이 때문에 눈의 홍채도 색깔이 없고 ... ...
슈퍼스타 어과동 동물 오디션
어린이과학동아
l
201019
좀 더 특별한 경력이 있다고 합니다. 기대해 볼까요?11 수질 오염 감시관 블루길
충
! 성! 수질 오염 감시관 블루길! ‘어린이과학동아’ 표지모델 오디션에 응시합니다! 자고로 모델에게 필요한 자질이 연기력만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명품 과학 잡지로서, 응당 과학의 발전에 도움이 되어야하지 ... ...
과학으로 파헤친 스타크래프트2 베타
과학동아
l
201005
“과거에는 유닛이 총을 맞았을 때 맞는 부위에 관계없이 일정한 동작으로 쓰러졌지만
충
돌 시스템을 적용하면 맞는 부위에 따라 쓰러지는 동작도 다르기 때문에 더 실감난다”고 설명했다. 한편 스타크2는 전작과 달리 ‘배틀넷’이라는 온라인 계정을 통해서만 이용할 수 있다. 게임CD를 구입하면 ... ...
과학으로 디자인한 우리 옷
과학동아
l
201002
돋보이는 옷, 위가 뚫린 모자와 솜 을 넣은 버선으로 두한족열이라는 건강 원리를
충
분히 실천할 수 있었던 옷, 이 모든 것이 우리 옷이 다. 이제부터는 우리 옷의 새로운 면모에 관심을 가 져보자. 불편하고 시대에 뒤떨어진다는 선입견을 버리면 구석구석에 숨어 있는 조상들의 지혜와 현 대 ... ...
신종플루 예방 백신 안전할까
과학동아
l
200911
노인도 항체 생성률이 75%에 이른 것으로 확인됐다. 신종플루 백신을 한 번만 접종해도
충
분하다는 뜻이다. 전문가들은 면역력이 약한 노인층에서 항체 생성률이 60%를 넘으면 백신이 효과가 있다고 본다. 2차 임상실험도 비슷한 결과가 나왔으며 부작용도 발열이나 근육통 등으로 나타나 경미한 ... ...
가위바위보 필승전략
수학동아
l
200910
다양한 전략이 숨어 있는 전략게임이다. 숨겨진 수학의 원리와 심리를 이해한 뒤 전략을
충
분히 익히면 누구나 가위바위보 왕이 될 수 있다.● 영국 왕립런던병원의 알래 스테어 데이비슨 박사는 가위바위보를 이용해 손의 다친부위를 진단할 수 있는 방법을 2003년 의학저널 ‘인저리’에 소개했다. ... ...
몸집만 한 정자 저장한 갑각류 화석 발견
과학동아
l
200907
알려져 있다. 정자 길이가 심지어 몸 크기의 10배인 6mm에 달하는 것도 있다. 이들 개형
충
은 둘로 분리돼 갈라진 몸 양쪽 부분에 생식기관이 따로 위치해 있다. 사람의 음경에 해당하는 수컷의 교미기관도 둘로 나뉘어 있으며, 각각에서 정자가 나온다. 암컷 역시 정액 저장기관에 연결된 질이 둘로 ... ...
헤엄 잘 치는 '밥도둑' 꽃게
과학동아
l
200906
사냥한다. 달이 밝은 보름에는 활발하게 사냥하지 못해 살이 빠지고, 달빛이 없는 그믐에
충
분한 먹이를 섭취해 살이 찬다는 해석도 꽃게의 이런 습성에서 나온 것이리라.물론 이 같은 속설에 대한 반론도 있다. 게는 몸이 딱딱한 껍질로 싸여 있어 자라기 위해서는 정기적으로 허물을 벗어야 한다. ... ...
이전
1
2
3
4
5
6
7
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