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각
호른
촉각
녹용
뉴스
"
뿔
"(으)로 총 139건 검색되었습니다.
[프리미엄 리포트]3D프린터로 찍어낸 가짜알로 바다거북 알 밀렵꾼 잡는다
과학동아
l
2020.12.19
특히 남아프리카공화국은 코
뿔
소 사체 발견 시 DNA 샘플 채취를 의무화하고, 살아 있는 코
뿔
소의 DNA도 채취하고 있다. 이번 연구에 참여한 스티븐 오브라이언 러시아 세인트피터스버그대 교수는 CNN과의 인터뷰에서 “밀렵꾼을 검거하면 그들은 항상 조상으로부터 물려받은 것이라는 변명을 ... ...
아프리카 소, 아시아 소와 섞여 척박한 환경 견뎠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0.05
인디커스 품종은 10세기부터 13세기 사이 소말리아와 에티오피아 등이 속한 아프리카의
뿔
이라 불리는 동아프리카 지역에서 유전적으로 혼합된 것으로 나타났다. 아프리카 소와 아시아 소가 섞이면서도 각자의 장점은 유지하면서 이후 이 소들이 아프리카 전역으로 퍼지고 토착화한 것으로 ... ...
[표지로 읽는 과학] 유럽 호령하던 바이킹은 갈색머리였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9.19
바이킹선을 2007년에 그대로 본따 만든 ‘시 스탈리온’이 실제로 항해하는 모습이다.
뿔
이 달린 투구를 쓴 금발의 전사로 대표되는 바이킹은 바다를 통해 유럽 전역을 점령하고 약탈하며 공포에 떨게 했다. 하지만 이러한 바이킹의 이미지가 실제와는 다르다는 분석 결과가 나왔다. 에스케 ... ...
털코
뿔
소 멸종은 인간 아닌 ‘이것’ 때문
과학동아
l
2020.09.03
상승하는 ‘뵐링-얼러뢰드 온난기’가 닥치자 이것이 오히려 독이 됐다. 연구팀은 털코
뿔
소가 시베리아 북동부 기후에 특화된 탓에 기온 상승에는 적응하지 못했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달렌 연구원은 “고생물 유전학을 통해 과거에 멸종된 종이 기후변화에 어떻게 대응했는지 알아낼 수 ... ...
지상 최대 공룡 '티나토사우르' 배아 2㎝ 두개골 복원
연합뉴스
l
2020.08.28
볼 수 있었다. 이를 통해 티타노사우르가 양쪽 눈으로 사물을 볼 수 있었으며, 특히
뿔
처럼 길쭉하게 튀어나온 코가 '난치'(egg tooth)처럼 알을 깨고 나오는데 이용됐을 것이라는 분석을 내놓았다. 이런 구조는 알을 깨고 나오는데만 임시로 이용되고 부화 뒤 성체로 자라는 과정에서 퇴화해 사라지는 ... ...
'공룡도 암에 시달렸다'…공룡화석서 골육종 흔척 첫 확인
연합뉴스
l
2020.08.04
발견하고 의학과 고생물학 등의 전문가가 참여하는 학제 간 연구팀을 구성했다. 코에
뿔
이 나 있고 목 주위로 뼈로 된 주름장식인 프릴(frill)을 가진 센트로사우루스는 몸길이가 약 6m로, 7천600만~7천700만년 전에 살았던 대표적인 초식공룡으로 꼽힌다. 문제의 공룡 화석은 1989년 캐나다 앨버타주 ... ...
공룡의 알, 다 딱딱했던 건 아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6.19
뼈 화석을 발굴했다. 프로토케라톱스는 다 자라면 돼지만한 크기로 머리끝에
뿔
이 나있다. 이번에 발견된 뼈 화석은 자궁 속 사람의 태아처럼 몸을 둥그렇게 모았는데 몸 전체가 얇은 막으로 둘러싸여 있었다. 다만 뼈는 남아있음에도 단단할 것으로 추정되던 알껍질은 전혀 남아있지 않았다. ... ...
색맹 치료 유전자 요법 개발
연합뉴스
l
2020.05.04
정상 유전자로 대체하는 것이라고 연구팀은 밝혔다. CNGA3 유전자는 망막의
뿔
처럼 생긴 원추세포에 있으며 빛을 감지해 색감을 구별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유전자 중 하나다. 새로 개발된 유전자 치료법은 온전한 CNGA3 유전자를 무해한 아데노바이러스에 실어 망막에 주입하는 것으로 대체된 ... ...
[과학촌평] 학문 다양성 지탱하는 '두뇌한국'을 기대하며
동아사이언스
l
2020.02.09
학과를 다 그러모은 정체불명의 분류인 셈이다. ‘마이너’ 취급에 해당 학과들은 ‘
뿔
이 났다.’ 무시당해서만이 아니다. 12개 기타중점 분야에서 12개 교육연구단이 선정되지만, 신청 학과가 적을 경우에는 다른 분야와 묶어서 경쟁할 가능성 때문에 최악의 경우 전국에서 한 개의 교육연구단도 ... ...
"신종 코로나, 고의적으로 만들었나" 의사SNS 달군 印논문 …전문가들 "가능성 희박"
2020.02.03
코로나바이러스는 왕관(corona)의 모습을 닮아 '코로나'라는 이름이 붙었다. 이 '왕관의
뿔
'에 해당하는 스파이크단백질은 인간 세포 표면에 나 있는 수용체(ACE2)에 결합해, 바이러스가 세포를 침입할 수 있도록 돕는다. 지금까지 확인된 결과에선 신종 코로나바이러스는 특히 사스 ... ...
이전
1
2
3
4
5
6
7
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