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각
호른
촉각
녹용
뉴스
"
뿔
"(으)로 총 139건 검색되었습니다.
[주말 고고학산책]강인한 전사 바이킹은 왜 그린란드를 버렸나
2020.01.18
박장규 바이킹이라고 하면 보통은
뿔
달린 모자를 쓴 약탈자의 모습을 떠올립니다. 물론 바이킹은 강인한 전사였지만, 동시에 탁월한 항해가이자 모험가, 상인이기도 했습니다. 982년 유럽 사람 중 최초로 그린란드를 발견하고 정착지를 건설한 사람도 바이킹이었습니다. 하지만 15세기 초가 되면 ... ...
가장 우아한 닭
팝뉴스
l
2019.12.24
기아나파울 guineafowl이고 한국명으로는
뿔
닭의 일종이고, 더 정확히는 벼슬이 있으므로 볏
뿔
닭(crested guineafowl)이라 불린다. 전체 길이는 50cm이며 최대 1.5kg까지 자라는 이 닭은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지역에 산다. ※ 편집자주 세상에는 매일 신기하고 흥미로운 일이 많이 일어납니다. 보는 이의 ... ...
[주말 고고학산책] 최초로 닭을 키운 사람은 누구였을까
2019.12.21
소 등 겨우 20여 종에 불과합니다. 가축이 된 동물들은 겉모습이 달라집니다. 소의
뿔
이나 돼지의 어금니처럼, 야생에서 살 때 중요하게 쓰이던 기관이 줄어들기도 합니다. 고고학자들은 유적 주변에서 발견되는 동물 뼈에서 이런 흔적을 찾아내 가축의 기원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인간과 ... ...
하마와 코
뿔
소의 격렬한 대결 ‘화제’
팝뉴스
l
2019.11.28
최근 네티즌들의 주목을 받으며 큰 화제가 되었다. 많은 네티즌들은 코
뿔
소의
뿔
이 잘려 있었기 때문에 아주 불공정한 싸움이었다고 평한다. ※ 편집자주 세상에는 매일 신기하고 흥미로운 일이 많이 일어납니다. 보는 이의 눈살을 찌푸리게도 만들고, 감탄을 내뱉게 만들기도 하지요. ... ...
우주 성간구름 채운
뿔
달린 축구공 모양 탄소 분자 확인
연합뉴스
l
2019.11.26
가장 복잡한 것 중의 하나로 분류된다. 양성화한 C60은 원래의 축구공 구조에 양성자가
뿔
처럼 더 붙은 것으로 양성화하는 순간 완벽한 대칭성은 무너진다. 연구팀은 C60H+가 정상 C60보다 훨씬 더 많은 색을 흡수해 비록 적외선 스펙트럼 결과이지만 C60H+의 색깔이 C60과 비교해 큰 차이가 있다고 ... ...
[표지로 읽는 과학] 쇠똥구리 가슴
뿔
과 날개는 기원이 같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1.24
사이언스 제공 국제학술지 사이언스는 22일 머리와 어깨에 멋들어진 커다란
뿔
을 단 쇠똥구리 한 마리 모습을 표지에 실었다. 사이언스는 이번 ... 곤충들이 비슷한 과정을 거쳐
뿔
을 갖게 됐을 것으로 추정하고, 진화적인 관점에서 이런
뿔
이 어떠한 이점을 주는지 추가 연구를 할 계획이다 ... ...
"전세계 척추동물 5종 중 1종 상품처럼 거래"
동아사이언스
l
2019.10.09
동물들은 대부분 애완용으로 팔려가거나 죽여서 식용 또는 약재로 쓰인다. 상아나
뿔
등이 거래되는 사례도 많다. 전문가들은 이 같은 야생동물 거래는 기후변화와 더불어 생태계 종의 다양성에 있어 아주 심각한 위협이 되고 있다고 보고 있다. 하지만 이런 거래가 생물학적 다양성에 미치는 ... ...
죽자고 싸운 사슴들의 최후 ‘화제’
팝뉴스
l
2019.09.24
목적이었을 것이다. 그러나 두 사슴은 멀어지는 대신 영원히 밀착할 운명이었다.
뿔
이 엉켜서 뺄 수 없는 지경이 되어 버렸고 둘은 함께 굶어 죽었다. 사진은 미국 콜로라도에 있는 마운틴 라이언 캐시에서 최근 촬영되었다고 한다. 상대를 향해 죽자고 달려들었던 사슴들은 싸움 때문에 정말 ... ...
[주말 고고학산책] 고대인들은 철새처럼 옮겨 살았다
2019.09.14
뿔
이 고대인들의 생활에 대한 증거로는 충분하지 않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들은 사슴
뿔
대신 함께 발견된 동물 뼈들, 특히 사슴 턱뼈의 이빨을 살펴봤습니다. 사슴은 초여름에 태어나 2년 동안 순서대로 이빨이 자라는데, 이를 보면 사냥 당시 사슴의 나이를 알 수 있기 때문입니다. 동아사이언스DB ... ...
폭염 속 전기 없어도 시원한 빌딩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8.09
제작해 벽처럼 비스듬히 세웠다. 가로세로는 각각 25.4cm, 높이는 45.72cm인 사각
뿔
을 뒤집은 듯한 형태다. 특정 방향으로 빛을 쏠 수 있는 자동차 헤드라이트 구조를 모방해 열을 하늘 방향으로만 방출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디자인한 것이다. 태양으로부터 받은 열을 효율적인 복사냉각 시스템을 ... ...
이전
1
2
3
4
5
6
7
8
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