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벌레
곤충
대충
chung
뉴스
"
충
"(으)로 총 213건 검색되었습니다.
전자레인지 원리로 나트륨 이온 전지 음극재 제조
동아사이언스
l
2024.10.07
1000배 이상 많고 채굴·제련도 쉽다. 전지 내부에서 전기화학적 안정성이 높고 고속
충
·방전에 유리하다. 낮은 온도에서도 성능이 잘 유지되는 등 장점이 많다. 나트륨 이온 전지는 제조 과정이 매우 까다로워 에너지 밀도가 낮고 수명이 짧다는 점이 해결 과제다. 나트륨 이온은 리튬 이온보다 ... ...
차세대 '리튬금속전지', 간단 처리만으로 수명 3배 증가
동아사이언스
l
2024.10.02
높은 무게당 에너지 용량을 구현할 수 있다. 하지만 금속 리튬을 음극 재료로 사용하면
충
·방전 과정에서 음극 표면에 리튬이 불규칙하게 쌓이며 뾰족하게 자라나는 '수지상 결정(dendrite)' 현상이 생긴다. 수지상 결정이 자라나면 양극과 음극을 분리하는 분리막을 뚫고 전지의 단락이 일어나기도 ... ...
반으로 접거나 잘라도 계속 작동하는 리튬황 배터리
동아사이언스
l
2024.09.15
않았고 접어서 반으로 자른 후에도 작동이 될 정도로 안정적이었다. 동전 모양 셀은 300회
충
·방전 테스트 후에도 용량의 72%를 유지했다. 추가 실험 결과 연구팀이 개발한 음극 폴리머 코팅법은 리튬-몰리브데넘(Li-Mo), 리튬-바나듐(Li-V) 배터리에 적용했을 때도 음극 수명을 증가시키는 효과를 보였다. ... ...
서울 첫 '말라리아 경보…원인은 기후변화·북한 영향?
과학동아
l
2024.09.07
질병 피해는 점점 더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고 했습니다. 말라리아는 말라리아 원
충
에 감염된 얼룩날개모기속(Anopheles) 모기가 매개하는 질병이다. 경기도 보건환경연구원에서 말라리아 매개 모기를 분류하는 작업이 이뤄지고 있다. 경기도 보건환경연구원 제공 ● 남북관계・코로나19, 남북 ... ...
전기차 배터리 검사항목 늘리고 지하주차장 진입 소방차 연내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09.06
무인 소형소방차도 연내 개발해 내년부터 보급할 계획이다. 공동주택 등의 전기차
충
전시설 위치‧도면 등의 정보는 소방관서에 의무적으로 제공하도록 관련 규정을 개정한다. 중장기적으로는 배터리 내부단락으로 인한 화재위험 등을 낮추기 위해 분리막 안정성 향상을 위한 첨가제 개발과 ... ...
[과기원NOW] 리튬-황 배터리, 차세대 친환경 배터리로 거듭날까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8.29
복합 촉매를 개발됐다. 연구팀은 개발한 촉매를 활용해 리튬-황(Li-S) 배터리의 안정성과
충
·방전 속도 등을 개선하는 데 성공했다. 김원배 교수는 "고성능 리튬-황 배터리 기술 개발은 차세대 이차전지 원천기술 확보 경쟁에 있어 매우 중요한 사안"이라고 밝혔다. ■ 광주과학기술원(GIST)은 ... ...
화재 없는 친환경 배터리 나올까…수계아연전지 수명 10배 늘려
동아사이언스
l
2024.08.28
지속적으로 방지하는 원리다. 연구팀이 개발한 기술을 적용한 전지는 3000사이클의
충
·방전 이후에도 80% 용량을 유지하며 기존 수계아연전지보다 수명이 10배 이상 향상됐다. 우중제 센터장은 "수계아연전지의 난제를 산화구리 같은 저가의 물질과 공정으로 해결할 단초를 제공한 것"이라며 "개발된 ... ...
혹한에도 끄떡없는 이차전지용 하이브리드 전극 소재
동아사이언스
l
2024.08.13
양자 화학을 이용해 예측 값을 도출하는 ‘제일원리 계산’으로 검증했다. 전지의
충
·방전 반응 매커니즘을 알기 위해서는 리튬 이온이 삽입되는 위치에 따른 전자 구조의 변화를 알아야 한다. 이 때 실험적인 방법으로 변화를 관측할 수 없어 계산 과학이 활용된다. 연구진은 계산을 통해 X-선 ... ...
'해수전지' 속 이산화탄소, 유용한 알코올 만드는 데 활용
동아사이언스
l
2024.08.12
쓰이는 리튬이차전지 속 리튬 이온처럼 바닷물의 나트륨 이온이 양극과 음극을 오가면서
충
·방전이 이뤄지는 이차전지다. 자원이 풍부하고 친환경적이면서 화재·폭발 위험성이 낮지만 에너지 용량이 적고 염분으로 인한 부식 위험이 있다. 바닷물의 이산화탄소가 나트륨과 결합한 석회 침전물이 ... ...
배터리 화재 키우는 '열폭주' 억제 방법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8.05
논문으로 공개됐다. 전기차를 포함한 여러 전자기기에 널리 쓰이는 리튬이온 이차전지는
충
·방전을 반복할 수 있고 에너지 밀도가 높은 배터리다. 하지만 화재가 발생했을 때 배터리 온도가 수 초 안에 1000℃ 넘게 치솟는 열폭주 현상이 발생해 대형 사고로 이어질 위험이 크다. 현재 국내 이차전지 ... ...
이전
1
2
3
4
5
6
7
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