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이빨
이
tooth
뉴스
"
치아
"(으)로 총 350건 검색되었습니다.
불소 치약 대신 '이것'?…'욱신욱신' 충치 막으려면
어린이과학동아
l
2024.06.08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 충치 왜 생길까? ● 어린이 10명 중 6명은 충치 환자 충치는 우리 입 안의 충치균이 산을 만들어서 생기는 병입니다. 충치균은
치아
사이에 끼 ... 치실 잘쓰는 방법, 어린이과학동아 제공 ※관련기사 어린이과학동아 6월 1일, 어느날
치아
에 구멍이?! 충치를 ... ...
[푸드테크 뜬다]② "먹거리 수요 50년만에 두배…기존 방식으론 공멸"
동아사이언스
l
2024.06.07
만성질환을 2개 이상씩 갖고 있어 특히 정밀한 식단을 짜는 것이 중요하다. 나이가 들면
치아
가 불편하고 소화가 잘 안 되기 때문에 이런 부분들 또한 고려해야 한다.” Q. 지구가 기후 위기에 처했다. 전 세계가 탄소중립을 위한 노력을 하고 있는데 푸드테크도 친환경 기술이 주목될 거 같다. ... ...
[표지로 읽는 과학] 도구 사용하는 해달, 더 큰 먹이 먹고 이빨 손상 적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5.19
연안에 사는 해달 196마리에게 인식를 부착해 이들의 도구 사용 양상과 식이 패턴 그리고
치아
건강을 분석했다. 분석 결과 도구를 사용하는 해달은 도구를 사용하지 않는 해달보다 다양한 종류의 먹이를 섭취할 수 있었다. 먹이를 잡아먹는 과정에서 이빨에 발생하는 손상도 훨씬 적었다. ... ...
여성도 사냥했다?… 고고학 통념 뒤집기
과학동아
l
2024.05.15
9000년 전 묻힌 사냥꾼의 무덤을 발굴한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doi: 10.1126/sciadv.abd0310)
치아
와 골격 분석을 통해 밝혀진 무덤의 주인은 17~19세의 여성. 그런데 이 무덤에는 돌로 만든 창 촉, 발골 도구 등 대형 동물을 사냥할 때 쓰는 장비가 부장품으로 함께 묻혀있었다.보통 부장품이 생전의 무덤 ... ...
농사 짓기 전에도 인류는 아기에게 식물 이유식 먹였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4.30
동굴에서 발견된 인간 유골을 통해 구석기시대 인류의 식생활을 파악했다. 특히
치아
의 단단한 부분인 법랑질 속 아연(Zn)과 스트론튬(Sr) 동위원소, 인간과 동물 유골의 아미노산 분석 등 종합적인 접근법으로 고대 인류의 식단을 조사했다. 동위원소는 원자번호가 같지만 질량이 다른 원소로 ... ...
"메갈로돈 닮은 고대 상어, 바다거북도 잡아먹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4.27
깨서 잡아먹었을 거라 생각했다. 연구팀이 연구한 개체는 3m 미만의 작은 개체지만
치아
크기를 통해 일부 프티코두스의 길이가 약 9.7m에 달했다고 추정했다. 백상아리 길이의 약 두 배다. 암컷은 더 길었으며 4.6~4.9m 사이였다. 이번 연구결과는 프티코두스가 멸종한 이유에 대한 힌트를 주고 ... ...
'한줌 흙으로'...친환경 '인간 퇴비장' 미국서 확산
동아사이언스
l
2024.04.22
활동하는 토양과 유사한 환경을 만든다. 약 30일 뒤 흙으로 분해되고 있는 시신에서 뼈와
치아
를 따로 빼낸 뒤 다시 섞는다. 퇴비가 되는 마지막 단계에서 3일 동안 55℃의 온도를 유지한다. 대장균과 같은 병원균이나 전염성 오염물질을 없애기 위해 열을 가해야 하기 때문이다. 퇴비가 완성되면 ... ...
상어의 무한재생 이빨, 우리도 가질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24.04.06
개발 연구와
치아
발생 연구가 둘 다 완성 단계에 이르고 두 연구가 완벽히 융합돼야만
치아
재생이 가능할 것"이라고 내다봤습니다. 시간이 좀 더 필요하다는 뜻이죠. 그때까진 우리 모두 양치질에 계속 신경써야 할 것 같습니다. ※관련기사 과학동아 4월호, 상어의 무한재생 이빨 인간도 ... ...
쥐라기 화석이 알려준 귀 탄생의 비밀
동아사이언스
l
2024.04.04
턱의 역할을 점점 잃어가고 있는 모습이 나타났다. 디아노코노돈 영이의 화석에는
치아
역할을 하는 뼈 구조도 남아 있었다. 쥐라기 중기 슈오테리드의 하악은 이 역할을 잃고 청각 기능에 더 특화된 특징을 보이고 있었다. 연구팀은 "턱 관절은 먹는 데 사용되는 것과 듣는 데 사용되는 중간 ... ...
육식공룡 고르고사우루스 마지막 식사는 공룡 뒷다리
과학동아
l
2024.02.11
Julius Csotony/University of Calgary , Darla Zelenitsky 제공 공룡은 무엇을 먹었을까. 화석으로 남은
치아
의 형태를 보고 초식인지 육식인지를 판단하거나 초식공룡의 뼈에 남은 이빨 자국을 통해 추측할 수 있다. 하지만 직접적인 화석 증거를 발견하지 않는 이상 정확히 어떤 먹이를 먹었는지 찾기는 쉽지 ... ...
이전
1
2
3
4
5
6
7
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