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장소
스페이스
공백
여지
간격
빈틈
자리
스페셜
"
공간
"(으)로 총 1,297건 검색되었습니다.
[과기원NOW] KAIST, AI로 사람의 뇌에서 '음악 본능' 찾았다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1.16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에 2일 게재됐다. ■ 광주과학기술원(GIST)은 교내 전시
공간
인 오룡아트홀의 2024년 첫 초대전으로 장용림 작가의 ‘다시 꽃이 온다’를 연다고 16일 밝혔다. 이번 초대전에서는 아름다운 자연의 빛깔을 내기 위해 작가가 전통 채색화를 현대적 기법으로 재해석한 총 33점의 ... ...
[표지로 읽는 과학] '포유류 최초' 생쥐의 뇌세포 지도 완성
동아사이언스
l
2023.12.16
연구팀은 약 400만 개의 세포의 RNA 염기서열을 분석하고 이를 약 430만 개 세포에 대한
공간
전사체 데이터와 결합하는 방식으로 고해상도 지도를 구성했다. 연구팀이 구성한 지도에 따르면 생쥐의 뇌 세포는 총 4개의 계층적 구조로 이뤄졌다. 34개의 종(class), 338개의 이종(subclass), 1201개 슈퍼타입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빛을 향하는 식물 '굴광성'의 비밀
2023.12.13
자엽초 또는 하배축에서 파란빛 세기의 감소 기울기를 극대화하기 위해 세포 사이
공간
을 만들어 공기로 채워 빛이 많이 산란하게 진화한 걸까. 만일 그렇다면 식물은 뛰어난 광학자라는 생각이 문득 든다. ※ 필자소개 강석기 과학칼럼니스트. LG생활건강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근무했고 200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사적인 영역, 선 넘지 않기의 중요성
2023.12.02
관계를 원하는 사람이 있다. 반면 연인이나 가족 사이에서도 충분히 자신만의 시간과
공간
, 프라이버시를 원하는 사람도 있다. 사람들마다 다 성격이 다르듯 다양한 인간관계에서 얻고자 하는 것 또한 다른 것은 자연스러운 일이다. 이렇게 서로 다르기 때문에 더더욱 타인과의 관계가 유지되기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겨울철 당기는 피부도 촉각일까
2023.11.15
물분자를 머금어 수분 증발을 막는 폴리올 같은 습윤제보다 발랐을 때 각질세포 사이
공간
을 채워 수분이 빠져나가는 걸 막는 지질이 더 중요한 성분인 것으로 밝혀졌다. 즉 피부 당김 완화 능력이 뛰어난 3개 제품의 지질 함량(13~18%)이 9개 제품 가운데 가장 높았다. 화장품 광고를 보면 제품의 ... ...
[표지로 읽는 과학] 차세대 광자반도체 토대 소형 레이저
동아사이언스
l
2023.11.12
불리는 이유다. 하지만 MLL은 지금까지 부피가 큰 형태로만 개발되어 매우 작은
공간
에서 적은 빛을 다루는 칩 규모 나노광학에 적용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 연구팀은 리튬 니오베이트 기반 '소형 모드 잠금 레이저'를 개발했다. 연구팀이 개발한 MLL은 나노미터(nm·10억분의 1m) 단위에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오펜하이머'와 '반중력'
2023.10.04
해의 물리적 의미를 고민하던 디랙은 진공을 재해석해 돌파구를 마련했다. 진공은 텅 빈
공간
이 아니라 음의 에너지인 전자로 꽉 채워진 상태라고 가정했다. 이때 외부에서 감마선 같은 에너지를 공급하면 양의 에너지가 된 전자가 튀어나오면서 구멍이 생긴다. 구멍은 음의 에너지를 지닌 전자의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피곤하면 왜 몸이 무겁게 느껴질까
2023.09.06
의자의 팔걸이를 약간의 간격을 두고 마주 보게 배치하고 각각에 팔과 손을 걸치고 사이
공간
에 놓인 손목에 밴드를 두르고 추를 매달아 무게를 느끼게 했다. 추를 달리하며 손과 무게를 비교하는 실험을 반복한 결과 손의 무게와 같다고 평가한 추의 평균 무게는 200그램 내외였다. 자신의 손을 ... ...
[표지로 읽는 과학] 300km 길이로 남은 튀르키예 지진 흔적
동아사이언스
l
2023.09.03
연구팀은 복잡한 파열 이력과 단층 간 상호작용을 이해하기 위해, 다양한 지진 규모와
공간
및 지질학 관측을 단층의 기구학적 전위 및 동적 파열 모델링과 통합하는 작업을 진행했다. 이를 통해 동아나톨리아 단층을 포함한 최소 6개의 단층이 파열됐다는 점을 확인했고, 예상치 못한 파열 경로와 ... ...
[일상 속 뇌과학] 내 기억이 내 아이에게 유전될 수 있을까?
2023.08.25
나의 습관이나 경험들을 내 아이들이 배우고 따라하는 것은 자연스러운 일이다. 같은
공간
에서 많은 시간을 보내는 사람들끼리 생활 패턴과 행동을 의식적·무의식적으로 관찰하며 배울 확률이 높기 때문이다. 이러한 관찰을 통한 학습이 너무나 자연스러운 나머지 어떨 때에는 나의 기억과 ... ...
이전
1
2
3
4
5
6
7
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