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장소
스페이스
공백
여지
간격
빈틈
자리
스페셜
"
공간
"(으)로 총 1,297건 검색되었습니다.
[오늘과학] '꿈틀꿈틀' 수mm
공간
기어가는 애벌레 모사로봇
동아사이언스
l
2023.03.24
노스캐롤라이나대 제공 폭이 3mm에 불과한 좁은
공간
에서 앞뒤로 움직이는 애벌레 모사 로봇이 개발됐다. 주용 미국 노스캐롤라이나대 기계및항공우주공학과 교수 연구팀은 꿈틀거리는 애벌레의 움직임을 모사한 로봇을 개발하고 연구결과를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어드밴시스’에 23일 ... ...
[일상 속 뇌과학] 나쁜 기억은 왜 쉽게 잊혀지지 않을까
2023.03.24
벌레가 없는 안심할 수 있는 방이라는 것을 며칠 또는 몇 주 동안 확인하게 되다면, 그
공간
에서 안심하고 지낼 수 있다. 그럼 우리는 그 침실에 대한 공포기억이 ‘소멸’ 또는 ‘망각’ 되었다고 부른다. 이처럼 원래의 공포기억 소멸은 공포를 불러일으키는 요소와 공포와 상관없는 자극들이 더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마침내 밝혀진 냄새수용체 구조
2023.03.22
따라서 이들 큰 분자는 OP51E2를 활성화하지 못한다. 흥미롭게도 아미노산을 바꿔치기해
공간
을 넓혀주자 아세트산과 프로피온산 같은 작은 분자는 너무 헐거워 붙지 못하고 탄소원자 8개인 카프릴산 분자가 오히려 꼭 맞아 수용체를 활성화했다. 그렇다면 비활성 상태인 수용체에 리간드가 붙어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18세기 말 키 2.3미터 거구 시체의 해부
2023.03.14
등 아주 인기가 있었다. 필자는 2011년부터 2013년 사이에 여러 번 방문했다. 전시물에 비해
공간
이 부족하여 설명이 충분치 않은 점이 부족해 보였지만 전시물의 양은 개인이 수집했다고 상상하기 어려울 만큼 방대한 느낌을 받았다. 영국왕립학회 건물의 노후화에 따라 2017년 5월 20일부터 박물관은 ... ...
[이덕환의 과학세상]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엉터리 정보 경계해야
2023.03.07
나눠서 방류해야 한다는 ‘공학적 이유’는 없다. 100배 희석에 감당할 수 없는 전기료와
공간
이 필요하다는 주장은 소가 들어도 웃을 억지다. 하루 120톤의 처리수를 1만2000톤으로 희석시켜서 방류하는 일에 드는 비용을 감당하지 못할 이유가 없다. 정작 걱정해야 하는 것은 우리가 아니라 ... ...
[기후위기와 산림] 염분 많은 간척지에서도 나무가 자란다
2023.02.23
높이 생장이 확보된 이후에는 줄기의 부피생장을 도모하기 위해 솎아베기를 해 주변
공간
을 마련해준다. 좁은 면적에 나무를 심고 솎아베기 없이도 안정적인 생장을 유지할 수 있다면 숲을 관리하는 측면에서 경제적이기도 하거니와 같은 면적에 더 많은 나무가 자랄 수 있어 탄소 흡수를 더욱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고인류 '파란트로푸스'의 재발견
2023.02.21
뿐 아니라 특히 어금니 한 점은 석기 여러 점과 도축된 흔적이 있는 하마 뼈들과 한
공간
에 놓여있었다. 아마도 칼날처럼 날카로운 돌로 뼈에 붙은 살을 발라 먹었거나 망치 같은 돌로 내리쳐 쪼개 골수를 꺼내먹었을 것이다. 그런데 뜻밖에도 이 이 어금니의 주인공은 초기 호모속(Homo) 인류가 아니라 ... ...
[박정연의 닥터스] "'싱글셀' 유전자분석으로 가장 정밀한 암 치료전략 세워"
동아사이언스
l
2023.02.20
싱글셀 세포로 관찰한 세포를 분석하는 기법에도 차별화된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일명
공간
전사체 분석이다. 이 분석 기법은 단일 세포가 어떤 세포와 어떤 형태로 붙어 있는지 파악하는 기법이다. 기존 연구에서 한 세포가 다른 세포와 어떻게 붙어 있는지 확인한 방대한 데이터를 분석해 단서를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칼륨 섭취 많을수록 건강...생물체에서 나트륨은 '조연'
2023.01.25
일어난 결과다. 사람의 경우 쉬고 있을 때 전체 에너지의 10%가 펌프질로 세포질과 외부
공간
사이의 이온 균형을 유지하는 데 쓰인다. 이런 역할에 특화된 장기가 바로 신장이다. ● 세포벽으로 삼투압 견뎌 초기 생물이 다양한 환경에 적응하려면 외부와 물질을 교환하면서도 세포 내 항상성을 ... ...
[과기원은 지금] KAIST, 전자구조 제어 기술을 통한 고성능 리튬-황 전지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01.20
달리 흉터없이 주변 조직과 잘 융화된다는 장점을 갖고 있다. 연구팀은 세포와 조직 사이
공간
을 채움으로써 세포를 보호하고 지지해주는 역할을 하는 세포외기질을 실란트에 응용했다. 각막에서 유래한 세포외기질을 이용해 각막 재건에 활용할 수 있는 새로운 조직 실란트 ‘젤코드(GelCodE)’를 ... ...
이전
2
3
4
5
6
7
8
9
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