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진리"(으)로 총 46건 검색되었습니다.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끈기는 구체적인 계획에서 나온다 2019.04.21
- 간신히 늪을 빠져나오면 악어때를 만날 수도 있다. 산다는 건 뭐 하나 쉽지 않은 것이 진리이지만 여전히 장애물들을 만나게 되면 절망하기도, 어디서부터 잘못된 거냐며 폭발해버리기도 한다. 하지만 절망과 폭발 후의 반응이 사람마다 다르다. 어떤 사람들은 화를 에너지로 삼아 마음가짐을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우월감 높으면 음모론에 잘 빠진다2019.01.12
- 것이 연구자들의 설명이다. 많은 음모론들이 ‘우매한 너희들과 다르게 나는 진리를 알고 있다’는 식의 우월감을 내포하고 속고 있는 사람들을 가르치겠다는 계몽적인 성격을 띄는 것 역시 비슷한 맥락일 수 있겠다. 오랜 시간 축적된 근거와 많은 전문적 견해에도 불구하고 자신만만하게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왜 남이 하는 건 항상 쉬워 보일까?2018.09.01
- 쉬운 걸 못하냐고 질타하는 것 역시 실례일 것이다. 뭐 하나 쉬운 게 하나 없다는 작은 진리가 때로 서로에게 해방감을 가져다 주는 이유다. Kardas, M., & O’Brien, E. (2018). Easier seen than done: Merely watching others perform can foster an illusion of skill acquisition. Psychological Science, 29, 521-536. ... ...
- 사이비 종교에 빠지면 빠져나오지 못하는 이유2016.11.09
- 개인의 힘으로는 벗어나기 어려울 수 밖에 없다. GIB 제공 ● 자기들만의 도덕을 진리라고 생각하게 된다 또 많은 종교집단들이 자신들만의 도덕적 원칙을 가지고 있다. 도덕은 다른 일반적인 지식들과 다르게 ‘옳고 그름’의 기준에서 사람의 행동을 판단하며, 별다른 합의가 필요하지 않다는 ... ...
- 북한에서‘ 사귐’의 뜻은?!수학동아 l2016.09.02
- 썼던 수학 교과서. - 이정행 제공 예를 들어 우리나라는 ‘명제’라는 단원을 배우면 진리집합, 명제·역·이·대우, 필요조건과 충분조건 같은 심화내용까지 공부한다. 반면 북한은 ‘명제는 증명의 도입’이라는 개념 정도로 간단히 배우고 만다. 함경북도에서 중등학교 고학년까지 공부한 뒤 ... ...
- 1941년 하이젠베르크는 왜 보어를 방문했을까2016.07.19
- 모른다. 저자 헤르만은 전기에서 “하이젠베르크는 양심의 영역에는 ‘백 퍼센트의 진리는 없으며, 모든 것이 엄청나게 복잡하고 서로 뒤섞여 있다’고 생각했다”고 썼다. 아무튼 당시 나치 권력 핵심부는 원자폭탄의 가공할 위력에 대해 전혀 감을 잡지 못하고 있었기 때문에 하이젠베르크를 ... ...
- 암 발생의 ‘불운’ 가설 반박하는 논문 나와2016.01.11
- 제공 물론, 진리와 실험과학을 말하는 건 모순어법이다. 우리가 구성한 이론은 구할 수 있는 사실에 가장 적합한 것일 뿐, 더 많이 알게 됨에 따라 바뀌거나 ‘개선’될 수 있는 대상이다. - 윌리엄 폴, ‘Immunity(면역)’에서 학술지 ‘네이처’ 2015년 12월 17일자에는 잘못된 과학상식, 즉 신화를 ... ...
- 잃어버린 기억을 찾아서…2015.06.08
- 성취를 이루는 삶을 살아간다는 게 그 사람의 노력만으로는 안 된다는 인생의 진리를 다시 한 번 깨닫게 했다. 이 자리에서 도네가와 교수의 글을 요약한다. 1939년 나고야에서 네 남매의 둘째로 태어난 도네가와는 ‘부모가 자녀에게 해줄 수 있는 최고의 투자는 교육’이라는 부모의 신념 덕분에 ... ...
- 단식의 과학2014.06.16
- 아래에서 선정에 들어간다. 그리고 마침내 깨달음에 이른다. 이때가 기원전 589년으로 진리를 찾아 출가를 한 뒤 6년만의 일이다. 오늘날에도 단식은 종교의 색채가 짙다. 이슬람의 라마단이 대표적인 예로 이슬람력으로 9월 한 달 동안(올해는 6월 28일~7월 27일) 해 뜬 뒤부터 해질 때까지 음식을 ... ...
- IBS의 비전을 아시나요?IBS l2014.06.13
- 등의 상투적인 표현도 지양하자'는 등의 원칙도 세워뒀다. 그렇게 해서 '자연의 질문에 진리로 답하는 과학자들의 공동체', '세계의 석학들이 모이는 자율‧개방‧창의의 연구 공동체', '과학의 힘으로 인류의 이상에 공헌하는 꿈의 연구원' 등이 후보가 되었지만 성에 차지 않았다. 그리고 계속되는 ... ...
이전1234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