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진실
사실
참
진상
실제
실체
진짜
스페셜
"
진리
"(으)로 총 46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무지성' 과식 메커니즘 찾았다
2024.05.02
해법을 제시했기 때문이다. 욕망은 누르는 게 아니라 가라앉혀야 극복할 수 있다는 말이
진리
임을 다시 한번 느낀다. ※ 필자소개 강석기 과학칼럼니스트. LG생활건강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근무했고 2000년부터 2012년까지 동아사이언스에서 기자로 일했다. 2012년 9월부터 프리랜서 작가로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히포크라테스는 왜 '의학의 아버지'로 불릴까
2024.02.04
지날수록 처음보다 동조하는 이들이 많아져 165년이 지난 지금은 대다수 학자들에 의해
진리
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중간화석이 존재하지 않는 이유를 묻는 질문에 다윈은 제대로 답을 못했을뿐 아니라 장차 빈 자리를 메꿀 화석이 발견될 것이라는 이야기도 했다. 그러나 사실은 그렇지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감염병 피해, 크게 줄어들고 있다
2023.09.24
될 것’이라 주장할 수 있다. 이러한 주장에 대해 다른 학자들이 시비를 걸지 않으면
진리
처럼 받아들여지게 되고 나중에라도 동의하지 않는 학자들이 이의를 제기하면 그 때부터 학문적 논쟁이 벌어지게 된다. 새로운 전염병이 수시로 나타나서 인류를 위험에 빠뜨리기는 하지만 과거와 비교하면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미래세대에게 현대의학은 어떻게 보일까
2023.08.08
이 약을 잘 드셔야 합니다”라고 하는 말을 들을 수 있게 되었다. 의학이 발전하면
진리
가 바뀌는 것이다. 현대의학은 빠르게 발전하고 있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 미래인들에게는 현대의학이 어떤 모습으로 비춰질까. 필자의 청소년 시절만 해도 텔레비전드라마 사극에서 중한 병으로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근거없는 주장 펴는 사람, '가짜뉴스'에 더 잘 속아
2023.08.05
큰 간격이 존재한다. 적어도 나는 나의 작은 경험과 느낌 따위를 근거로 어떤 주장이
진리
임을 미는 행동은 많이 자제하게 되었다. 내가 틀렸음을 알 때 비로소 성장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점을 고려하면 틀리는 일이 많은 것은 결코 나쁜 일이 아니다. 그만큼 성장했다는 뜻이니까. 반대로 자신은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과학적'이라고 모두 '
진리
'는 아니다
2023.07.25
태도는 이 세상에서 일어나는 모든 일에 대하여 항상 열린 마음과 비판적 사고를 가지고,
진리
를 탐구하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함으로써 과학발전에 이바지하는 것이다. ※ 참고문헌 1. Philip Stokes. 100 Great Philosophers Who Changed the World. Arcturus. 2021 2. 에브 퀴리. 아름답고 평등한 퀴리 부부. 장진영 역.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오락가락' 기름값...정부가 걷는 유류세 개편해야
2023.03.21
밀접하게 연계되어 있기 때문이다. 가격이 높을수록 수요는 줄어든다. 만고불변의
진리
다. 그래서 휘발유 가격을 너무 높게 책정하면 수요가 줄어든다. 자칫하면 재고가 쌓이게 되고, 정유사는 적지 않은 재고 관리 비용을 떠안게 된다. 결국 휘발유와 경유의 상대적인 가격은 시장의 수요와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시대가 질병을 만든다
2023.01.31
원자를 깨는 것도 가능해졌다. 과학의
진리
도 그 시대상황을 반영할 것일 뿐 절대적
진리
는 아닌 것이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 구별하기 어려운 질병과 건강 지금은 거의 일상이 되다시피했지만 미세먼지가 극심했던 2016년 6월 21일 환경부장관은 “건강한 사람은 미세먼지 걱정 안 해도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어려운 것부터 해치워야 효율 높아져
2023.01.28
일을 하기 싫으면 싫을수록 더더욱 '(하기 싫은 것부터 먼저) 빨리 끝내고 놀자'는
진리
를 되새겨 봐야 할 것이다. 물론 하기 싫은 일을 가장 먼저 처리하는 날이 온다면 그만큼 자신을 칭찬해 주는 것도 좋을 것 같다. Habbert, R., & Schroeder, J. (2020). To build efficacy, eat the frog first: People misunderstand how the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헬리코박터가 한세기 늦게 알려진 이유
2023.01.17
980년대가 시작될 때까지 강산성 위액이 분비되는 위에서 세균이 생존한다는 것은 의학의
진리
에 맞지 않았다. 그렇다 보니 과거의 발견은 모두 실험과정에서 발생한 세균의 오염으로 의심되었을 뿐이다. 고정관념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것이 새로운 발견을 얼마나 늦어지게 하는지는 잘 보여주는 ... ...
1
2
3
4
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