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강도
격렬함
계수
셈
힘
능력
효력
d라이브러리
"
세기
"(으)로 총 5,585건 검색되었습니다.
활용분야 넓혀가는 클린룸기술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점하고 있으며 슈퍼클린룸이라고 하는 클래스 1과 클래스 0.1도 상당수 존재하고 있다. 21
세기
에는 전자공업의 클린룸이 현재의 10배 가량 증가될 전망이고 생명공학 부분이 4배, 정밀과학이 4.5배 그리고 원자력분야도 2배가 넘는 등 전체적으로 현재의 6.5배까지 증가될 것으로 전망된다.클린룸에 ... ...
마야(Maya)문명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마야족의 문명을 가리킨다. 학자들은 이 문명이 가장 번성했던 시기를 4
세기
에서 15
세기
까지로 보고 있다. 지금도 거대한 석조건물 피라밋 신전 궁전 등을 비롯해 훌륭한 조각으로 장식된 건물들이 곳곳에 남아 있다. 특히 과테말라의 티칼(Tikal), 온두라스의 코판(Copán) 멕시코의 팔렝케(Palenque) 툴룸 ... ...
피라미·지렁이·이끼가 사라지고 있다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생물인 토끼를 이용했다는 사실을 말하려는 것이다.산소의 상태를 감지하는 십자매18
세기
경 영국의 탄광에는 근대적인 배기장치가 없었다. 그래서 광부들이 갱내에 들어갈 때는 카나리아나 십자매 같은 새를 데리고 갔다. 갱내에 일산화탄소(CO) 같은 유해가스가 나오거나 산소(${O}_{2}$)가 희박해지면 ... ...
PARTⅡ 성운설(星雲說)이 유력 납작한 원반이 원시 태양계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성운의 개념은 최초로 1644년 데카르트(Rene Decartes)에 의해서 제창되었다. 그로부터 한
세기
후인 1745년에 부폰(Georges Louis Leclerc de Buffon)은 커다란 혜성이 태양에 접근한 후 부서져서, 그 물질이 행성과 위성을 형성했다는 새로운 이론을 제시했다.그러나 그 10년쯤 후인 1755년에는 칸트(Imman ...
밖에서 본 북한의 동식물 실태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1972년이었습니다. 2차대전 이후 양국간 최초의 생물학 교류였던 셈인데 사실 헝가리는 19
세기
부터 우리와 생물지리학적으로 관련이 깊은 동유럽 소아시아 지역의 생태를 연구해 왔기 때문에 거리는 멀어도 동물지리구상 같은 구북구(舊北區)에 속하는 북한연구는 우리에게 충분한 의미가 있는 ... ...
비(非)과학 속의 과학─천하도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가진 격조높은 목판본 세계지도인 이 여지전도는, 말하자면 1700년대의 구대륙지도다. 16
세기
에 아메리카 신대륙이 발견되고, 신대륙이 그려진 마테오 리치의 세계지도(1602년)가 조선에 들어온지 2백년 가까이나 지난 시기에 당당히 출현한 구대륙 세계지도인 것이다. 어떻게 생각하면 천하도의 ... ...
가속기 시대가 열린다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0억달러에 이른다. 초전도 자석만 1만개가 쓰이는 SSC의 에너지규모는 20TeV(1TeV는 1조eV). 금
세기
말에 완성될 이 가속기는 미국이 추진하고 있는 3대 거대과학(big science)프로젝트중의 하나다. 나머지 두개는 30억달러가 소요되는 유전자 연구계획인 게놈(genome)프로젝트와 2백30억달러짜리 우주정거장(space ... ...
가장 새로운 물리학─수리끈이론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힘이 전자기힘이고, 핵을 유지하게 해주는 힘이 이른바 핵력이다. 그후 이 핵력에는
세기
가 다른 두가지 힘, 즉 센 힘과 여린 힘이 있음이 밝혀졌다. 결국 만물과 만물 사이에 작용하는 중력까지 포함해 네가지 힘이 이 우주에 존재한다.그러면 입자 사이에서는 이들 힘이 어떻게 미칠까. 원자나 전자 ... ...
PARTⅢ 분자생물학의 기본언어들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간직하고 있는 유전물질의 실체에 관해서는 전혀 알지 못했다.멘델의 법칙이 보고된 19
세기
에는 다양하게 생물학 연구가 수행되었다. 1839년에 슐라이덴과 슈반이 모든 생물의 구조적 기능적 단위는 세포라는 세포설을 발표한 이래, 현미경의 발달에 힘입어 세포의 미세구조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 ...
푸른 장미의 등장은 시간문제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장미를 발견하지 못해 진화론자들은 푸른 장미불가론을 성급하게 단정하기도 했다. 수
세기
가 지나는 동안 수많은 장미재배가들이 전설을 실현시키기 위해 무척 애를 썼으나 번번히 허사였다. 행여 하는 마음으로 장미의 변종들을 수없이 교배시켜 보았으나 푸른 색을 얻는데는 실패하고 말았다 ... ...
이전
497
498
499
500
501
502
503
504
50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