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강도
격렬함
계수
셈
힘
능력
효력
d라이브러리
"
세기
"(으)로 총 5,585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Ⅰ 전자기술을 바탕으로 한 「무기없는 혁명」
과학동아
l
1990년 08호
있다. 정보사회 초입에 들어섰다이러한 정보사회는 언제 오는가. 학자들은 다가오는 21
세기
를 정보사회라고 부르는데는 일치하지만, 현재 정보사회에 진입했는지, 아니면 아직도 상당한 거리를 두고 있는지에 대해서는 의견이 분분하다. 또 나라마다 정보화에 있어서 현격한 차이를 보이고 있는 ... ...
아르헨티나
과학동아
l
1990년 08호
붙은 국호다. 실제로 그 강의 이름도 스페인어로 은을 가르키는 라 플라타(La Plata)다. 16
세기
중엽 이후 스페인의 식민지였다가 나폴레옹의 스페인 점령을 틈타 독립을 쟁취했다. 독립(1816년)을 선언한 뒤 스페인어를 쓰기 싫었기 때문에 라플라타 대신 아르헨티나라고 부르게 된 것이다.브라질 칠레와 ... ...
갈릴레이 망원경에서 전파망원경까지
과학동아
l
1990년 08호
이에 따라 관측 대상도 은하나 성운 성단보다는 일반 행성으로 고정되다시피 했다.20
세기
에 들어오면서부터 반사망원경이 굴절망원경을 누르고 천체 망원경의 주류를 이루었는데, 특히 1930년 슈미트(B. Schmidt)가 발명한 슈미트 카메라는 천체사진 촬영의 새로운 장을 열어 주었다.이 슈미트 카메라는 ... ...
진공의 세계를 돌아본다
과학동아
l
1990년 08호
채우고 있는 것이기 때문에 진공이라고 볼 수 없다.6 진공을 처음 발견한 사람은 17
세기
이탈리아 과학자 토리첼리다. 그러나 실제로 증명한 사람은 프랑스의 파스칼이다. 토리첼리의 진공이 대기압 때문에 생기는 것이 아니라 '진공혐기'에 의해 생기는 현상이라는 주장을 부정하기 위해 파스칼은 ... ...
PARTⅡ 무엇이 정보사회를 가로막는가
과학동아
l
1990년 08호
언급할 때 대체로 그 순기능적인 면만 강조해 온 인상이 짙다. 강조의 정도가 아니라, 21
세기
에 진입만 하면 가만히 있더라도 정보사회라는 열매가 저절로 우리 앞에 나타날 것이라는 환상이 심어져 왔다고 말해 지나치지 않을 것이다.미래의 정보사회에 대비하고 정보사회가 우리에게 유익한 ... ...
쿼크와 렙톤의 세계
과학동아
l
1990년 07호
의해 원소들이 화학적 성질에 따라 규칙적으로 분류되고(주기율표), 이러한 규칙성이 20
세기
에 들어와서 원자의 구조가 밝혀짐에 따라 이해됐던 상황과 비슷하다.겔만은 그때까지 알려진 해드론들을 세종류의 쿼크의 조합으로 충분히 설명할 수 있었다. 중이자도 마찬가지로 세개의 쿼크로 설명이 ... ...
세계최대 초전도 가속기 건설에 한국 참여
과학동아
l
1990년 07호
파괴하는 거대과학의 위험을 경고하고 있다. 또 가속기가 실용적으로 많이 쓰이는 21
세기
에나 이 초전도가속기를 건설하는 것이 현명하다는 주장도 나오고 있다. 이와함께 건설비용도 처음에 44억달러가 예견했던 것이 시험적으로 초전도 자석을 만들어 본 결과 80억달러로 증액됐고 그나마도 더 ... ...
서해안은 자원의 보물창고
과학동아
l
1990년 07호
제안하는 등 대륙붕에 대한 관심이 어느 때보다 높다.우리는 불과 10년후로 다가선 21
세기
를 찬란한 첨단과학 문명시대가 될 것이라고 기대하면서도 지구의 환경문제와 자원의 취약성을 우려하고 있다. 특히 최근에 빈번히 거론되고 있는 이상기온 현상, 세계 각지의 지진, 대기의 오존층과 생태계의 ... ...
금속활자의 부활
과학동아
l
1990년 07호
최근 프랑스 파리국립도서관에서 발견돼 전세계 학자들을 놀라게 했다. 그것은 12
세기
에 인쇄된 불경인 '직지심경'이었다.그러나 고려의 금속활자 인쇄술은 13
세기
이후 근 2백년 동안 별로 큰 발전을 이루지 못한 것 같다. 고려인들은 특수한 현실적 어려움을 해결하는 방법의 하나로 청동활자를 ... ...
원자 하나씩
과학동아
l
1990년 07호
이용해서 설명했다.그러나 원자는 존재하더라도 너무 작아서 눈에 보이지 않았다. 19
세기
의 최고의 현미경조차도, 빛의 파장이 원자를 그냥 지나칠 정도로 커서 원자의 모습을 보여줄 수 없었다.따라서 어떤 화학자들은 '원자'라는 것이 유용한 개념이지만 그것이 반드시 존재하는 것은 아니라고 ... ...
이전
501
502
503
504
505
506
507
508
50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