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형상
형태
생김새
꼴
외형
모습
모양새
d라이브러리
"
모양
"(으)로 총 8,094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1 한국 줄기세포 논문의 피와 땀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아무리 연락해도 연결이 되지 않더군요. 자신의 명성에 오점을 남길 수 있다고 생각한
모양
입니다.”한국 줄기세포 연구 자체에 대한 불신이 커지면서 불똥이 김 교수에게까지 튄 것이다. 억울했지만 사태를 지켜볼 수밖에 없었다. 서울대 조사발표와 검찰발표 등으로 사건이 정리된 뒤 다시 연락을 ... ...
PART3 줄기세포, 그 분화의 비밀을 찾는다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형성되는 초기 신경관의 단면과 매우 흡사한
모양
의 구조물이 만들어진다.이러한 둥근 꽃
모양
의 세포 배열을 ‘신경 로젯’(neural rosette)이라 부른다. 신경 로젯 주변에는 역시 배아줄기세포로부터 분화한 많은 신경전구세포(분화종료 뒤 각종 신경세포가 될 세포)가 존재한다. 이때 FGF2와 같은 ... ...
아름다움을 훔친 X선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1호
시‘입 속의 검은 잎’을 처음 보았을 때 느낀 섬뜩한 감동을 X선으로 표현했다. 꽃잎
모양
의 금속 장식을 입에 물고 사진을 찍은 뒤 흑백을 바꿔 시의 정서를 표현하려고 했다. 와인과 영혼‘신의 물방울’이라는 만화로도 유명한 와인은 과연 입 안에서 어떤 느낌이 들까? X선을 이용해 와인을 입 ... ...
'플라스틱 철' 개발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보기엔 약하고 말랑말랑한 물질이지만 진흙을 구성하는 ‘클레이 나노시트’라는 판
모양
분자 구조는 탄소나노튜브만큼 강도가 세다.코토브 교수팀은 튼튼한 플라스틱을 만드는데 진흙의 이런 특성을 이용하고자 나노시트를 여러 개 겹쳤다. 하지만 오히려 강도가 약해졌다. 나노시트 사이의 ... ...
세계 최초 OLED TV 등장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태양과 행성을 연결한 직선과 이루는 각을 위상각이라고 한다두 종류의 금속을 고리
모양
으로 연결하고 한쪽 접점을 고온으로, 다른 쪽을 저온으로 하면 그 회로에 전류가 생기는 현상 1821년 독일의 TJ제벡(1770∼1831)에 의해 발견되었다 두 접점 사이에 나타나는 기전력은 금속의 종류와 접점의 ... ...
가을 밤하늘 '외계인의 고향' 찾기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4~5개 들어갈 정도 크기다.안드로메다은하가 우리은하와 ‘쌍둥이 은하’라고 불릴 만큼
모양
이나 크기가 비슷한데다 약 220만 광년밖에(?) 떨어져 있지 않은 이웃은하라는 점도 중요한 이유다. 우리은하와 안드로메다은하의 지름이 각각 10만 광년과 16만 광년이라는 사실을 고려해 은하를 지름이 ... ...
춤추는 분자의 동영상 찍는다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결합하면 1차 구조. 1차 구조가 뱅글뱅글 꼬여 나선
모양
을 만들거나 병풍처럼 접힌
모양
을 만들면 2차 구조를 이룬다.1, 2차 구조가 서로 결합하면 복잡한 3차원 상태의 3, 4차 구조가 된다. 이때 단백질을 구성하는 아미노산 사슬이 수소결합이나 이온결합, 반데르발스힘 때문에 꺾이거나 구부러지며 ... ...
로보카, 무인자동차 대회 출격 준비 완료!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얻는 방식양산(量産)에 앞서 미리 제작해보는 원형(原型)천연고무와 유사한 성질·
모양
을 지니는 고무상 물질 또는 고무상 탄성체가 될 수 있는 가소성(可塑性)물질의 총칭 석유화학공업의 발달과 더불어 대량생산되고 있다자기유체역학 방식에 의한 발전 종래의 발전기는 자기장 안에서 회전하는 ... ...
여인의 초상 제8화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그랬어요.”래빗은 붓을 내리며 나를 빤히 쳐다보았다. 누구도 이런 답을 주지는 않았던
모양
이다.“야후라고 혹시 아오? ‘걸리버 여행기’를 읽다보면 말이 주인 행세를 하는 나라가 나오지. 그 나라에 사는 미개인들이 바로 야후라오. 가끔 난 내가 야후로 변하고 있지나 않은지 걱정이 크오 ... ...
파리, 모기 요건 몰랐지?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1호
주사바늘이 개발됐어.일반적인 주사바늘은 매끄럽기 때문에 피부에 많이 닿지만 톱니
모양
이면 피부와 닿는 면이 적어 신경을 덜 자극한다는 거야. 아직은 병원에서 쓰지 않지만 연구를 계속하면 앞으로 아프지 않은 주사를 맞게 되겠지? 모두 나 모기 덕분이라구!이렇게 도움이 되기도 하는데 ... ...
이전
498
499
500
501
502
503
504
505
50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