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형상
형태
생김새
꼴
외형
모습
모양새
d라이브러리
"
모양
"(으)로 총 8,094건 검색되었습니다.
사이언스 시간여행 과거 속으로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09호
신분증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즉 지문이나 눈의 홍채, 손목의 정맥
모양
, 얼굴
모양
등으로 사람을 확인해 문을 열어 준다. 지문이 사람마다 다르다는 건 들었는데 홍채도 사람마다 다를까? 두 사람의 홍채 무늬가 같을 확률은 1078분의 1이라고 하니 모래밭에서 바늘을 찾는 것보다 더 어려운 ... ...
전기 통하는 초강력 종이 탄생
과학동아
l
2007년 09호
말리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루오프 교수팀은 그라펜을 산화시켜 탄소와 산소가 육각형
모양
으로 연결된 산화그라펜 종이를 만들었다. 이 물질은 산소와 탄소의 결합력 덕분에 강도가 더 커지고 뭉치거나 말리는 성질은 줄었다.루오프 교수는 “산화그라펜 종이는 결합 구조가 강하지만 유연하기도 ... ...
우주왕복선의 열손상 대처법
과학동아
l
2007년 09호
사인파 진동 주기의 역수인데 대해 감쇠진동(減衰振動)이나 발산진동(發散振動) 등의
모양
을 나타내기 위한 두 양(발산 또는 감쇠의 정도 및 주기)에 대응하는 복소수복소함수의 이론 및 그 응용에 관해 연구하는 수학의 한 분과 복소변수함수론이라고도 한다복소함수는 독립변수(獨立變數)와 ... ...
탈옥의 도구는 과학!?
과학동아
l
2007년 09호
스코필드의 몸에 있는 악마 얼굴 문신을 종이에 베껴서 벽에 확대해 비추고 문신의
모양
을 그대로 벽에다 그린 뒤 거품기로 몇 군데에 작은 구멍을 낸 뒤 발로 차서 큰 구멍을 만들었다.산체스는 스코필드가 ‘후커의 법칙’(Hooker’s Law, 창녀의 법칙)으로 원리를 설명했다고 증언했지만 후크의 법칙 ... ...
여인의 초상
과학동아
l
2007년 09호
세상의 모든 걸 담는, 그러니까 세상 만물이 될 수 있는 마법 거울이라도 갖고 싶은
모양
입니다.” “그게 그렇지 않아요. 래빗은 놀라운 착상을 하고 있어요. 지난번 보여드린 집무실도 그렇고 이 콜라주 역시 창의성이 탁월하죠.”“대통령을 피카소나 고흐쯤으로 높이고 싶은 게요? 아무리 ... ...
강 돌고래가 사라진다
과학동아
l
2007년 09호
절소헤테로고리 화합물의 하나 말로닐요소라고도 하며 보통은 2수화물로 무색의 기둥
모양
결정이다 1881 ~ 1956 독일의 물리학자 · 전기공학자 1907년 괴팅겐 대학을 졸업한 다음 지멘스 연구소에 들어갔다11년 드레스덴 대학의 통신공학 교수가 되었고 강자성체(强磁性體)에 코일을 감아 밖에서 자기장 ... ...
뫼비우스의 띠 0.58:1의 비밀
과학동아
l
2007년 09호
끼리 붙이면 여러 조각의 삼각형이 얽히고 설킨 특이한 곡면을 얻는다. 이 곡면은 경계의
모양
이 삼각형으로 곡면의 일부가 삼각형의 안쪽을 통과한다. 이상해 보이지만 이 곡면도 뫼비우스의 띠다. 전개도는 동아사이언스 홈페이지(www.dongaScience.com)에서 다운받아 출력할 수 있다 ... ...
ISS를 신나는 '과학교실'로 만든다
과학동아
l
2007년 09호
가장 기대된다”고 말했다. 지상에서 일정한 형태가 없는 물은 ISS에서는 완벽한 공
모양
으로 공중에 떠있다. 중력이 매우 작은 공간에서는 물 분자 사이의 인력만이 물의 형태를 결정하는데, 이때 구형이 가장 안정한 상태다.우리 우주인은 주사기를 이용해 커다란 물방울을 공중에 만든 뒤 여기에 ... ...
십자가로 변신하는 백조
과학동아
l
2007년 09호
사용하면 행성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배율이 200배 이상인 망원경이라면 초록색 원판
모양
까지 볼 수 있다. 하지만 아마추어 수준의 소형 망원경으로는 천왕성의 표면에 있는 짙은 파란색의 무늬를 확인하는 일이 사실상 불가능하다. 쌍안경이 있다면 천왕성보다 태양에서 더 멀리 떨어져 있는 ... ...
지구 최초의 나무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09호
높이는 10m 쯤 되고 가지와 잎이 나무 꼭대기에 모여 있어 빗자루를 뒤집어 놓은
모양
이에요. 나무 밑동에서 꼭대기까지는 잎이 전혀 없어요. 당시 지구 대기에는 이산화탄소가 지금보다 훨씬 많았어요.이 나무는 이산화탄소를 마시고 산소를 내뿜어 육지에 곤충이나 공룡이 살 수 있도록 했답니다 ... ...
이전
501
502
503
504
505
506
507
508
50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