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생물학
생명체
동물
생태학
피창조물
만물
바이오
d라이브러리
"
생물
"(으)로 총 6,615건 검색되었습니다.
[통합과학 교과서] 시시포스의 마찰력 줄이기 대작전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03호
인공 섬모를 이용해 도마뱀붙이의 발바닥 구조를 따라한 게코 테이프를 만든 거죠.
생물
을 본떠 만든 기술을 생체모방이라고 해요. 2006년, 연구팀은 게코 테이프를 활용해 생체모방 로봇 ‘스티키봇’을 만들었습니다. 스티키봇 발바닥 섬모의 끝부분을 한 방향만 보게끔 경사 처리하면 표면적이 ... ...
과학 마녀 일리의 과학 용어 따라잡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03호
동물복지법의 적용 대상에 포함하겠다고 밝혔어요. 영국 정부는 발표를 통해 “이들
생물
종이 중추신경계가 잘 발달해, 척추동물처럼 고통을 느끼고 지각 능력이 뛰어나다”며 “여러 연구결과를 종합해 결정한 방침”이라고 설명했답니다 ... ...
[기획] 슬기로운 뼈 탐구생활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02호
안녕? 내 이름은 ‘이에나’. 성은 ‘하’니까 편하게 ‘하이에나’라고 불러!멋진 줄무늬와 목덜미에 갈기처럼 난 풍성한 털이 나와 같은 줄무늬하이에나의 매력 포인트지. 내 취미는 뼈 수집과 탐구. 온갖 동물의 뼈로 가득한 내 방으로 초대할게!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Intro. [기획] 슬기 ... ...
과학 마녀 일리의 과학 용어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02호
당나귀는 다른 종입니다.그런데 같은 종이지만 다른 지역에 살며 조금씩 다르게 생긴
생물
이 있습니다. 이들은 종보다 더 작은 분류 단계인 ‘아종’으로 나눠요. 인도호랑이와 시베리아호랑이, 수마트라호랑이는 호랑이의 아종으로 조금씩 다르게 생겼지만 새끼를 낳을 수 있지요. 하지만 아종끼리 ... ...
온도 변화로 읽는 지구의 대멸종
과학동아
l
2022년 02호
데칸고원에서 3만 년이 넘게 화산이 분출됐고 해수면도 급격히 낮아졌다. 이 시기엔 전체
생물
종의 75%가 멸종했는데, 소행성 외에 다른 원인도 멸종에 기여했다는 주장도 있다. 시베리아 트랩이 몰고온 재앙페름기(2억 9000만 년 전~2억 4500만 년 전) 후기는 역사상 최악의 멸종이 이뤄진 때다. 멸종 ... ...
[탐험대학] 당신의 반짝이는 아이디어를 응원합니다
과학동아
l
2022년 02호
알고리즘을 제시해 우수상을 수상한 이류준 군(경기 용인 동백중 3)은 “인공지능과
생물
학이라는 전혀 다른 분야가 서로 연결될 수 있다는 사실을 배우게 됐다”며 “멘토의 조언이 있어 가능했다”고 말했다. 이들의 멘토로 참여한 서현석 KIST 바이오메디컬융합연구본부 선임연구원은 “시간에 ... ...
지구사랑탐사대 지구를 구하는 작은 영웅들을 소개합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02호
| 나그네 대원탐사
생물
논병아리발견 위치 - 정인혁 대원 | 온새미로 팀탐사
생물
기러기류발견 위치 경기 김포시 박정우 조류 연구원겨울을 따뜻하게 보내기 위해 철새들이 북쪽에서 우리나라로 찾아오고 있습니다. 하천과 논의 대표적인 겨울 철새인 논병아리와 기러기류부터 ... ...
인류멸망시나리오① 3℃ 더워진 2050년, 문명이 붕괴했다
과학동아
l
2022년 02호
분포하고 있던 메탄하이드레이트였다. 메탄하이드레이트는 메테인생성균이 바다
생물
의 사체를 분해하면서 발생한 메테인 가스가 차가운 바닷물과 함께 얼음이 되며 생성됐다. 북극해에 유례없는 따뜻한 여름이 찾아오자 메탄하이드레이트가 녹기 시작했다. 해안과 가까운 바다 밑 대륙붕 곳곳에서 ... ...
[기획] 특이한 뼈를 가졌군? 신종 공룡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02호
화석을 분석한 결과 신종 공룡으로 확인됐다는 연구가 실렸죠. 칠레대학교
생물
학부 고
생물
학자인 세르히오 소토 연구팀은 이 공룡의 이름을 ‘스테구로스 엘렝가센’으로 지었어요.스테구로스 엘렝가센은 7400만 년 전인 중생대 백악기 후기에 살았던 갑옷공룡류로 분류됐어요. 하지만 꼬리 곤봉의 ... ...
인류멸망시나리오③ 1만5000개의 핵무기가 터졌다
과학동아
l
2022년 02호
열복사로 퍼진다. 나머지 15%는 방사성 에너지다. 폭발 지점 반경 20km 부근은 5Sv(시버트·
생물
학적 효과를 고려한 방사선 선량당량) 수준의 방사선에 피폭됐다. 이는 1개월 안에 체내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치는 수준의 방사선량으로, 피폭된 사람의 15%가 사망했다.방사선은 재와 함께 퍼져나갔다. ... ...
이전
46
47
48
49
50
51
52
53
5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