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생물학
생명체
동물
생태학
피창조물
만물
바이오
d라이브러리
"
생물
"(으)로 총 6,615건 검색되었습니다.
[탐험대학] 당신의 반짝이는 아이디어를 응원합니다
과학동아
l
2022년 02호
알고리즘을 제시해 우수상을 수상한 이류준 군(경기 용인 동백중 3)은 “인공지능과
생물
학이라는 전혀 다른 분야가 서로 연결될 수 있다는 사실을 배우게 됐다”며 “멘토의 조언이 있어 가능했다”고 말했다. 이들의 멘토로 참여한 서현석 KIST 바이오메디컬융합연구본부 선임연구원은 “시간에 ... ...
[기획] 슬기로운 뼈 탐구생활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02호
안녕? 내 이름은 ‘이에나’. 성은 ‘하’니까 편하게 ‘하이에나’라고 불러!멋진 줄무늬와 목덜미에 갈기처럼 난 풍성한 털이 나와 같은 줄무늬하이에나의 매력 포인트지. 내 취미는 뼈 수집과 탐구. 온갖 동물의 뼈로 가득한 내 방으로 초대할게!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Intro. [기획] 슬기 ... ...
[핫이슈] 자가복제 하는 로봇의 탄생, 제노봇
수학동아
l
2022년 02호
쓰이는 아프리카발톱개구리 배아에서 추출한 줄기세포를 약 1㎜ 크기로 조립해 만든
생물
학적 로봇입니다. 유기체지만, 원하는 대로 만들고 명령에 따라 임무를 완료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로봇이지요. 같은 연구팀이 2020년 1월 이 로봇을 세상에 처음 선보였고, 개구리의 학명인 ‘제노푸스 ... ...
인류멸망시나리오① 3℃ 더워진 2050년, 문명이 붕괴했다
과학동아
l
2022년 02호
분포하고 있던 메탄하이드레이트였다. 메탄하이드레이트는 메테인생성균이 바다
생물
의 사체를 분해하면서 발생한 메테인 가스가 차가운 바닷물과 함께 얼음이 되며 생성됐다. 북극해에 유례없는 따뜻한 여름이 찾아오자 메탄하이드레이트가 녹기 시작했다. 해안과 가까운 바다 밑 대륙붕 곳곳에서 ... ...
온도 변화로 읽는 지구의 대멸종
과학동아
l
2022년 02호
데칸고원에서 3만 년이 넘게 화산이 분출됐고 해수면도 급격히 낮아졌다. 이 시기엔 전체
생물
종의 75%가 멸종했는데, 소행성 외에 다른 원인도 멸종에 기여했다는 주장도 있다. 시베리아 트랩이 몰고온 재앙페름기(2억 9000만 년 전~2억 4500만 년 전) 후기는 역사상 최악의 멸종이 이뤄진 때다. 멸종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세제를 넣었더니? 우유 속에 꽃이 피었습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01호
교수는 “이 로봇에 소형 카메라를 탑재하면 자연 속에서 사람이 접근하기 힘든 장소나
생물
에 접근해 근접 촬영하는 용도로 활용할 수 있다”며 “자연을 연구하는 과학자들에게 유용할 것”이라고 전했답니다. 실험 하나 더!물이 든 봉투를 찔러도 터지지 않는다?!열심히 실험을 마친 ... ...
[스티브코딩쌤 - 마인크래프트] 마인크래프트에 생태계 피라미드를!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01호
광물처럼 보이지만 사실 동물이랍니다. 촉수를 가진 작은 동물들이 잔뜩 모여 하나의
생물
처럼 보이지요. 산호는 대부분 동물처럼 먹이 활동을 하지만, 어떤 산호는 식물처럼 체내에서 광합성을 할 수 있어요 ... ...
[지구사랑탐사대] 지구를 구하는 작은 영웅들을 소개합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01호
추워졌는데도 나비를 만날 수 있어서 정말 기뻤어요. 현현이네팀지송현 대원탐사
생물
귀화식물발견 위치 전북 고창군 흰색꽃잔디를 관찰했어요. 하트모양 꽃잎이 정말 귀엽죠 ... ...
[통합과학 교과서] 사라진 공룡을 찾고 있다고?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01호
총알의 24배 속도로 현재의 멕시코 유카탄반도에 떨어졌습니다. 반경 1000km 안의 모든
생물
은 흔적도 없이 사라져버렸지요. 이는 시작에 불과합니다. 충격으로 강한 지진과 해일이 발생했습니다. 충돌지점 중심부는 1만℃ 정도로 가열되었고, 이로 인해 녹은 암석이 전 세계에 흩어지며 대기를 뜨겁게 ... ...
[이달의 식물사연] 겨울에 만나는 아카시아 꽃의 비밀
과학동아
l
2022년 01호
같은 종류가 예쁜 화분에서 자라며 실내 공간을 장식한다. 오랜 진화 역사 속에서 다른
생물
들과 공생하는 법을 찾아온 아카시아는 이제 도심 한가운데서 인간과의 공생을 도모하고 있는지도 모르겠다. ※필자소개박원순. 서울대 원예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롱우드 가든에서 국제 정원사 양성 ... ...
이전
47
48
49
50
51
52
53
54
5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