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남녘
남방
남녁
남향
남
남방셔츠
셔츠
뉴스
"
남쪽
"(으)로 총 620건 검색되었습니다.
[8일 날씨]설날 ‘포근·구름많아’…서울·경기·강원영서 ‘눈 또는 비’
포커스뉴스
l
2016.02.07
오후부터 밤 사이에 강수확률 60~70%로 눈이나 비가 오는 곳이 있겠다. 제주도는 제주도
남쪽
해상에 위치한 기압골의 영향에서 점차 벗어나 대체로 흐리고 강수확률 60%로 비 또는 눈이 오다가 아침에 점차 그치겠다. 바다의 물결은 전해상에서 0.5~3.0m로 일겠다. 기상청 관계자는 "해안지역에서 ... ...
대만 남부 규모 6.4 강진…“아파트 등 붕괴돼 수백명 매몰”
포커스뉴스
l
2016.02.06
2400여명의 사망자가 발생했다.6일(현지시간) 오전 3시 57분쯤 대만 남부 타이난시에서 동
남쪽
으로 31km정도 지점에서 규모 6.4의 지진이 발생했다. ...
지금껏 일반에 공개된 적 없는 美 유일 야생 재규어 영상
동아닷컴
l
2016.02.05
보도했다. 이 매체에 따르면 태어난 지 약 7년 된 엘 제페는 애리조나 주 투손 시에서
남쪽
으로 약 40km 떨어진 이 산에서 3년 전쯤 처음 발견됐다. 엘 제페를 보호하기 위해 꾸준히 이의 행방을 감시해 온 미국 생물다양성센터는 지금까지 그 움직임을 몇 차례 발견해왔지만 이날 처음으로 그 영상을 ... ...
우리나라 바다를 지킨다! 국립수산과학원
어린이과학동아
l
2016.01.29
표시되고 있었지요. “바다는 해류와 바람에 따라 흘러요. 따뜻한 바닷물이
남쪽
에서 올라오고 차가운 바닷물이 북쪽에서 내려와서 서로 섞이죠. 표층은 바람의 영향을 많이 받는 편이에요. 이처럼 바다의 흐름을 따라 플랑크톤, 물고기들이 이동한답니다. 만약 남해 연안에 적조가 생기면 해류를 ... ...
해뜨기 45분 전, 수성-금성-토성-화성-목성 한번에 본다
2016.01.24
기준으로 행성들이 동
남쪽
지평선에서
남쪽
하늘로 늘어서기 때문에 우리나라에서는 동
남쪽
으로 탁 트인 동해에서 가장 잘 보인다. 공기가 맑고 높은 곳일수록 좋다. 도심에서 행성들을 제대로 관측하려면 망원경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과학동아천문대는 이달 30일 오전 5시부터 행성 관측 특별 ... ...
1월 넷째주 일요일 서울 영하 17도 ‘최강 한파’
동아일보
l
2016.01.22
때문이다. 이 때문에 제트기류에 갇힌 채로 소용돌이처럼 요동치던 북극 한파가
남쪽
으로 쏟아져 내려오게 된 것. 제트기류와 북극 소용돌이는 기후조건에 따라 강약이 번갈아 나타나는데, 26일까지는 한반도에 강한 한파를 몰고 올 것으로 전망된다. 한편 온실가스 농도 증가와 엘니뇨 현상으로 ... ...
2015년은 역사상 가장 ‘핫(Hot)’한 해
2016.01.21
평균 기온이 크게 높아졌다는 분석을 내놨다. 특히 지난달은 엘니뇨의 영향으로
남쪽
에서 따뜻하고 습윤한 공기가 자주 유입돼 역사상 가장 따뜻한 12월로 기록됐다고 밝혔다. 기상청은 올해도 엘니뇨의 영향이 이어져 연 평균 기온이 평년보다 높고 강수량은 평년 수준을 기록할 것으로 ... ...
똑같은 ‘슈퍼 엘니뇨’라는데, 올해는 왜 더 추울까
2016.01.20
2도 이상 상승한 상태로 3개월 넘게 지속되는 현상을 뜻한다. 슈퍼 엘니뇨가 발생하면
남쪽
에서 올라온 뜨거운 해류가 북서풍을 타고 올라가 시베리아에서 내려온 찬 공기를 따뜻하게 데우기 때문에 평년보다 따뜻한 겨울을 보내는 것이 일반적이다. 과거 슈퍼 엘니뇨가 한반도를 덮쳤던 1998년 ... ...
북극 상공 ‘냉동 한파’ 한반도 덮쳐
동아일보
l
2016.01.19
사이 무려 20도에 가까운 기온 차가 발생한 것. 갑작스러운 기온 변동은 고온의 주범인
남쪽
의 강한 엘니뇨와 찬 공기를 가둬 두고 있는 북쪽의 제트 기류가 변덕을 부리는 이상 현상 때문이다. 이번 겨울 초까지만 해도 엘니뇨가 영향력을 강하게 미쳤지만, 이번 주 들어 그 위세가 감소한 반면 북극 ... ...
서해에 나타난 멸치, 독도까지 올라간 옥돔
동아일보
l
2016.01.09
잡히고 있다. 오징어는 난류성 어종이라 8, 9월 동해안에 머물다가 10월 이후에는 따뜻한
남쪽
으로 이동한다. 그러던 것이 최근 들어 동해, 서해, 남해를 가리지 않고 잡히는 건 한반도 주변 바다의 수온이 올랐기 때문이다. 국립수산과학원은 1968년부터 2014년까지 한반도 주변 바다의 평균 해수면 ... ...
이전
46
47
48
49
50
51
52
53
5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