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남녘
남방
남녁
남향
남
남방셔츠
셔츠
뉴스
"
남쪽
"(으)로 총 620건 검색되었습니다.
산티아고 건물 40분간 흔들… 해안가 100만명 한밤 대피
동아일보
l
2015.09.18
서 있기가 곤란한 정도로, 느슨한 적재물과 담장은 무너진다. 지진은 산티아고에서
남쪽
으로 200km 떨어진 피칠레무 지역까지 전달됐다. 진원지에서 430km나 떨어진 곳이다. 이 지역에 체류하던 조너선 프랭클린 가디언 칠레특파원은 “꽤 오랫동안 지반이 흔들렸고 아이들은 소리를 질렀다”며 ... ...
[신문과 놀자!/별별과학백과]4억5000만 년 동안 지구를 지켜온 투구게
동아일보
l
2015.09.02
4종으로 동남아시아에 3종, 북아메리카 동부에 1종이 살고 있다. 그중 일본과 중국
남쪽
에 주로 사는 세가시투구게는 1997년 10월에 우리나라 우도에서도 발견됐다. 중생대 쥐라기 이후 투구게 화석이 거의 발견되지 않아 각 종의 자세한 진화 과정은 알 수 없다. 하지만 과학자들은 투구게가 다양한 ... ...
“펭귄 위(胃) 속엔 십중팔구 플라스틱 쓰레기 있다”
2015.09.01
“플라스틱 쓰레기가 집중된 대양 중앙에는 동물이 거의 살지 않는다”며 “호주의
남쪽
과 남아프리카, 남미 등 종 다양성이 풍부한 해양에서 현재 플라스틱은 가장 파괴적인 영향력을 나타내고 있다”고 경고했다. 이 연구결과는 ‘미국 국립과학원회보(PNAS)’ 8월 31일자에 실렸다. ... ...
PART 01. 태양계 행성 여행자를 위한 안내서
과학동아
l
2015.08.27
매우 비대칭적이어서 일주 여행하는 재미도 쏠쏠하다. 북쪽은 용암이 흘러내려 평평하고
남쪽
은 소행성이 충돌한 듯 분화구 가 수두룩하다. 화성의 표면 - pixabay.com 제공 ○ TIP : 현지 생명체를 만날까 화성 여행이 ‘핫’한 이유는 현지에서 생명체를 만날지도 모른다는 기대 때문이다. 화성에 ... ...
[GMO 르포] 美 듀폰 파이오니어, 몬샌토 연구센터 가 보니
2015.08.07
활용하고 있다”고 말했다. ● 세균에서 병충해 저항 유전자 찾아 디모인에서
남쪽
으로 내려간 미주리 주 세인트루이스에는 세계적 GMO 업체인 몬샌토 연구센터가 있다. 토드 드구이어 부사장은 “농작물에 해를 끼치지 않는 곤충도 농약 때문에 수천 종이 죽는데, 곤충학자로서 이런 상황이 ... ...
태풍 끝, 찜통더위-열대야 시작
동아일보
l
2015.07.27
오후 7시 30분경 일본 가고시마 북서쪽 200km 해안에 상륙한 할롤라는 27일 오전 6시 부산 동
남쪽
170km 해상까지 진출한 뒤 열대저압부로 소멸될 것으로 보인다. 부산 앞바다에 상륙해 동해 앞바다로 빠져나갈 것으로 당초 예상했던 것보다 더 동쪽으로 방향을 튼 것이다. 이에 따라 제주도와 남부 해안 ... ...
특종! 투구게의 비밀을 밝혀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5.07.14
4종으로 동남아시아에 3종, 북아메리카 동부에 1종이 살고 있어요. 그 중 일본과 중국
남쪽
에 주로 사는 세가시투구게는 1997년 10월에 우리나라 우도에서도 발견됐어요. 중생대 쥐라기 이후 투구게 화석이 거의 발견되지 않아 각 종의 자세한 진화 과정은 알 수 없어요. 하지만 과학자들은 ... ...
남부 돌풍동반 요란한 비… 장마전선 9일 물러날듯
동아일보
l
2015.07.08
16∼21도, 낮 최고기온은 21∼29도로 예상된다. 바다의 물결은 남해 동부 먼바다와 제주도
남쪽
먼바다에서는 2.0∼4.0m로 매우 높고, 그 밖의 해상에서는 0.5∼2.5m 정도 일 것으로 보인다. 괌 서북서쪽 1060km 해상에서 동중국해로 이동 중인 9호 태풍 ‘찬홈’은 10일 오후 대만을 관통할 것으로 보여 ... ...
네팔 대지진 원인 규명할 단서 첫 발견
2015.07.01
나란히 길게 뻗은 거대한 모호면 습곡 산맥의 존재를 확인하는 데 성공했다. 이 모호면은
남쪽
의 인도판과 북쪽의 유라시아판이 충돌하면서 생성됐다. 또 동쪽 경계면에서는 남북방향의 습곡 구조도 나타났다. 이는 티베트 고원 지각과 쓰촨 분지를 포함하는 동쪽 지각의 충돌에 의해 형성된 것으로 ... ...
삼성서울병원 ‘응급실 밖 감염’ 왜 발생했나
동아일보
l
2015.06.12
가능성을 제기한다. 응급실과 정형외과 외래진료실은 모두 병원 본관 1층에 있다. 병원
남쪽
끝에 위치한 응급실과 서쪽 끝에 자리한 정형외과 사이 거리는 100m 남짓으로 먼 거리다. 이 때문에 응급실 14번 환자에게서 나온 바이러스가 1층 전체에 공기 형태로 퍼진 것 아니냐는 의혹이 나온다. 이러한 ... ...
이전
48
49
50
51
52
53
54
55
5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