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닥터
의사
의원
천문박사
천문
천문지리
지리
d라이브러리
"
박사
"(으)로 총 7,652건 검색되었습니다.
3 배움에도 때가 있다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향상의 주요 메커니즘이라는 것을 명확히 보여주고 있다.미국 매사추세츠공대 도네가와
박사
는 최근 시냅스 수가 줄어든 유전자 조작 생쥐에서 기억력에 문제가 있다고 보고했다. 또한 시냅스 수 유지에 중요한 단백질이 결손된 사람의 경우 언어장애나 정신지체가 발생한다는 사실도 여러 건 ... ...
닥터 두리틀이 되고 싶나요?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소리를 따라할 수 있다.한국교원대 동물행동학연구실의 성환철
박사
는 “원래부터 ‘비-- 삐빅 삐비빅’하고 우는 휘파람새가 종의 기본 소리 ‘비--’를 버릴 수는 없다. 앞부분은 서로 알아들을 수 있는 언어로 남겨둔 채 외부의 소리를 이용해 ‘삐빅 삐비빅’하는 ... ...
롭해즈 200일간의 작전기록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현재 KIST 지능로봇연구센터에서는 롭해즈 파병 결과에 대한 분석이 한창이다. 강
박사
는 “분석 결과 소음과 화면 떨림, 배터리 수명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며 “이를 군수품 규격 수준으로 끌어올릴 계획”이라고 밝혔다. 방해전파에 취약하다는 점과 통신거리가 너무 짧다는 것도 ... ...
보이는 대로 믿지마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통한 고도의 ‘인식작용’인 것이다. 끝으로 1966년에 발표된 리차드 그레고리
박사
의 ‘눈과 뇌’라는 책의 한 구절을 인용한다.“우리는 본다는 사실에 너무 익숙해 시각체계라는 것에 우리가 풀어야 할 복잡한 문제점이 있다는 사실을 쉽게 납득할 수 없다. 그러나 생각해 보자. 우리는 눈의 ... ...
"여러분의 꿈을 남극에서 펼치세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04호
킹조지 섬이 아닌 남극 본토에 제2의 기지를 지어 깊이 있는 연구를 계속하고 싶다는
박사
님이 여러분에게 메시지를 보내셨어요.‘어린이 과학동아’친구 여러분! 남극에는 단순히 펭귄과 얼음덩어리만 있는 것이 아닙니다. 남극은 우리가 도전해서 연구해야 할 새로운 지역이고 재료입니다. 과학을 ... ...
인간 X염색체 해독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X염색체는 진화를 거듭한 반면 Y염색체는 퇴화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로스
박사
는 “혈우병, 색맹처럼 X염색체의 유전자 돌연변이로 생기는 유전질환이 여성에게는 잘 나타나지 않고 남성에게 빈발하는 이유는 남성의 경우 X염색체가 하나뿐이어서 결함이 생기면 이를 보완하거나 대체할 ... ...
01 참살이 약품 찍어내는 식물공장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쌀이 갖가지 영양소를 첨가한 ‘황금쌀’이다. 스위스연방기술연구소 잉코 포트리쿠스
박사
팀은 쌀에 거의 들어 있지 않은 비타민A의 원료인 베타카로틴의 유전자를 쌀의 DNA에 넣어 2000년 ‘황금쌀’을 만들었다.21세기 들어 황금쌀은 다양하게 발전해 각종 단백질 성분을 강화한 황금쌀, 인슐린 ... ...
05 푸른 향기 가득한 우주정원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만드는 계획을 검토한다고 밝혔다.NASA 우주재배프로그램 수석 연구원 웨이자 주
박사
는 “우주작물 재배 기술은 우주에서 오랫동안 머무는 사람들을 위해 이용될 것이며 우주선 안의 환경을 조금이라도 지구와 비슷하게 만들 것”이라고 설명했다. 러시아 과학자들의 연구 결과 우주정원이 ... ...
체중조절 효과 있는 5색 식품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실’이 많을 수 있다”고 설명한다.우유로 다이어트 한다?올해 초 미국 테네시대 지멜
박사
는 우유를 많이 마시는 사람이 적게 마시는 사람보다 살이 찔 확률이 줄어든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칼슘이 불필요한 체지방을 몸밖으로 배출해주고 레시틴 단백질이 혈관에 축적된 지방을 녹이기 ... ...
냉중성자 연구로 나노혁명 이끈다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2008년까지 약 1000억원의 예산을 들여 냉중성자 연구시설을 새로 도입할 계획이다. 김영진
박사
는 “열중성자를 이용한 측정시설이 순수 연구목적용이라면, 냉중성자 연구시설은 본격적인 나노기술과 바이오기술 지원시설로 볼 수 있다”고 설명한다.초속 2200m로 날아가는 열중성자는 에너지가 너무 ... ...
이전
506
507
508
509
510
511
512
513
5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