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닥터
의사
의원
천문박사
천문
천문지리
지리
d라이브러리
"
박사
"(으)로 총 7,652건 검색되었습니다.
컴퓨터, 유해물질에 로그인!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난연제 성분이라도 검출해낼 수 있도록 더 정확한 기술이 개발돼야 합니다.”김
박사
는 이렇게 강조한다. 전자제품 관련 업체들과 환경전문가들의 적극적인 공동 대책이 시급하다.최근 세계의 눈이 우리나라의 전자제품을 주목하고 있다. 환경친화적으로 전자제품을 생산하고 폐전자제품을 ... ...
나만의 전속 영양사 - 유전자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apoE4) 유전자가 있는 사람의 혈중 콜레스테롤 농도를 떨어뜨리는데 유용하다.오르도바스
박사
는 “저지방 식이요법이 모든 사람의 콜레스테롤을 낮추지는 못한다는 것이 실험으로 확인됐다”며 “개인의 유전자 구성에 따라 효과가 다르기 때문”이라고 강조한다. 단 유전자와 식품 간 이 같은 ... ...
나노 세계의 마법사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03호
하고 있다는 얘기를 들은 교수님은 정말 기뻤답니다.훗날 로러
박사
는 동료인 비니히
박사
와 함께 주사형터널링현미경의 발명으로 노벨 물리학상을 받게 되었지요. 교수님 또한 순수 우리 기술을 이용한현미경의 개발을 시작하였어요.궁금한 점은 끝까지 파고들어요!결과는 대성공! 전세계의 ... ...
바다가재 색깔 비밀 양자이론으로 풀려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스펙트럼을 흡수한다고 여겼던 것.하지만 최근 네덜란드 라인덴대의 프란체스코 부다
박사
연구팀은 크루스타치아닌 단백질에 있는 아스타크산틴 분자들이 X자로 서로 교차해 쌍을 이루고 있고 중첩된 부분이 흡수하는 빛의 파장을 바꿔버리기 때문에 살아있는 바다가재는 검푸른 색을 띤다고 ... ...
포항공대, 결핵 DNA 백신 개발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만들어진 단백질은 항체로 작용, 면역 반응을 촉진한다. 영국 국립의료원 더를라스 로리
박사
는 “DNA 백신은 항생제에만 의지한 기존의 방법보다 더 빠르고 효과적인 치료방법이고 치료 후 재감염을 막는 길을 연 최초의 성과”라고 평가했다.한편 성 교수는 “동물실험 결과가 반드시 사람에게도 ... ...
빛을 나노 공간에 가둔다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배열함으로써 빛이 존재할 수 없는 지역을 만든 것으로 빛의 절연체라고도 불린다.송
박사
는 이 구조를 최적화시켜 수십나노초(1ns=10억분의 1초)동안 빛을 가둘 수 있음을 이론적으로 증명했다. 이 연구는 빛을 이용한 초소형 광장치를 개발하는데 이용될 것으로 보인다 ... ...
영화 말아톤의 감동은 진짜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젖어있다. 자폐아가 남을 배려하다니···.미국 워싱턴대 자폐증센터의 제랄딘 도슨
박사
팀의 연구결과는 위의 과정을 설명해준다. 연구자들은 기능성자기공명영상법(fMRI)을 통해 얼굴을 인식할 때 자폐증인 사람의 뇌 활동을 분석했다. 건강한 사람의 경우 얼굴을 볼 때 방추이랑이라는 부위가 ... ...
파리에 가다, 과학에 취하다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모두 파스퇴르 연구소 과학자들 집에서 지냈는데 다들 친절하게 대해줬어. 특히 문지용
박사
님 정말 고마워요. 하루 빨리 한국에도 파리처럼 좋은 과학관과 박물관이 더 많이 생겼으면 좋겠어. 그럼 안녕 ... ...
냄새로 천적을 끌어들이는 나비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말벌은 어떻게 짝짓기를 한 나비를 알아낼 수 있을까.독일 프라이이대 모니카 힐커
박사
팀은 짝짓기 중 암컷의 몸에 묻은 수컷의 분비물질에 주목했다. 이 물질은 암컷의 성욕을 떨어뜨려 추가로 짝짓기를 못하게 한다. 수컷이 자신의 유전자를 퍼뜨리기 위한 전략이다. 연구자들은 짝짓기를 하지 ... ...
제3의 시각세포 있다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정확히 어떻게 작용하는지는 밝혀지지 않은 상태였다.미국 소크연구소 사치다난다 판다
박사
팀은 멜라놉신이 정말 빛에 반응하는지 알아보기 위해 생쥐의 멜라놉신 유전자를 개구리 난모세포에서 발현시켰다. 그 결과 멜라놉신을 함유한 난모세포가 빛에 민감하게 반응함을 관찰했다. 또 ... ...
이전
508
509
510
511
512
513
514
515
516
다음
공지사항